묵주기도 하기 좋은 날

가톨릭부산 2018.10.04 09:42 조회 수 : 124

호수 2509호 2018.10.07 
글쓴이 조수선 안나 

묵주기도 하기 좋은 날
 

조수선 안나 / 서면성당, 시인 suny4616@hanmail.net
 

   바람이 붑니다. 한여름날 불볕더위 속에서 그토록 바라던 청량한 가을바람입니다. 눈부시도록 맑고 푸른 날은 무엇보다도 감사한 마음이 앞서서 창을 활짝 열고 성모님 앞에 앉아 조근조근 기도의 꽃송이를 올립니다. 본당의 어르신들에 비하면 제 기도는 아무것도 아니구나 싶고 부끄럽기까지 하지만 그래도 성모님께서는 오냐오냐하시니 소박하나마 기쁜 마음으로 바칩니다.

   기도하는 신앙인의 모습은 아름답습니다. 가끔은 전철 안에서나 길을 가면서도 묵주기도를 하시는 분들을 만납니다. 사람들마다 생각이 다 다르겠지만 저는 그런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분들의 정성 어린 기도로 하여 제대로 기도에 전념하지 못하고 사는 저 같은 사람들이 주님의 평화 안에서 무사 무탈한 날들을 살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그런 많은 분들의 기도가 쌓이고 쌓여서 우리나라가, 우리 부산교구가 오늘도 도약의 발걸음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는지요. 진정한 하느님의 자녀들은 자신만을 위한 기도보다는 이웃을 위하고 나라를 위한 기도를 더 많이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불가능이 없으신 하느님을 굳게 믿으며 성모님과 함께 바치는 묵주기도의 힘을 믿습니다. 성모님께서 천사가 나타나 예수님의 탄생을 예고하였을 때 하느님의 말씀에 순명하지 않으셨다면 묵주기도의 신비도 생기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성모님께서는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라고 고백한 순간부터 모든 것을 하느님께 의탁하며 기도로써 마음을 무장하고, 기도로써 그 모든 고통을 다 이겨 내셨습니다. 확신에 찬 성모님의 믿음을 본받으렵니다.

   춥지도 덥지도 않은 지금은 묵주기도 하기 좋은 날.

   세상에서 가장 듣기 좋은 소리 아름다운 소리는 여럿이 함께 바치는 기도 소리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왕 하는 기도라면 가족들 모두 함께 모여 봉헌하는 묵주기도이면 참 좋겠습니다. 이 가을엔 집집마다 바치는 기도가 송이송이 꽃이 되어 파란 하늘 아래 코스모스처럼 하늘하늘 꽃물결을 이루었으면 좋겠습니다.

   올해 ‘믿음의 해’를 지내고 있는 우리 부산교구도 더욱 더 발전해 나가도록 교구 주보이신 성모님께 도움을 청하며 온 마음과 정성을 다해 묵주기도를 열심히 바칠 것을 다짐해 봅니다. 아멘.

호수 제목 글쓴이
2765호 2023. 7. 9  철부지들에게는 드러내 보이시니 최순덕 세실리아 
2635호 2021.01.24  하느님 세상의 미래는 아이들! 최범진 헬레나 
2609호 2020.08.09  하느님의 바람 최고은 소피아 
2380호 2016.05.01  특 집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 우리 성당 주일학교를 소개합니다 청소년사목국 
2390호 2016.07.10  특 집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 부산교구 청소년사목국의 청년들 청소년사목국 
2653호 2021.05.30  지구 청소년·청년 위원회(지청위) file 청소년사목국 
2426호 2017.03.19  “의로움의 열매는 평화를 이루는 이들을 위하여 평화 속에서 심어집니다.”(야고 3, 18) 차광준 신부 
2446호 2017.08.06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차광준 신부 
2474호 2018.02.04  “다른 이웃 고을들을 찾아가자. 그곳에도 내가 복음을 선포해야 한다.”(마르 1,38) 차광준 신부 
2495호 2018.07.01  “불법체류자? 불법인 사람은 없습니다.” 차광준 신부 
2514호 2018.11.11  “과연 우리에게 신앙생활은 몇 순위일까요?” 차광준 신부 
2345호 2015.09.13  낯선 곳에서 산다는 것 지은주 아델라 
2409호 2016.11.20  주님, 제가 여기 있습니다. 조원근 마르티노 
2509호 2018.10.07  묵주기도 하기 좋은 날 조수선 안나 
2687호 2022. 1. 9  예수님 꽃 피우기 조수선 안나 
2796호 2024. 1. 28.  “없는 이에게 베푸는 일을 미루지 마라.”(집회 4,3) 조수선 안나 
2298호 2014.11.02  정체성 찾기 조삼제 F.하비에르 
2719호 2022. 8. 21  “누가 우리의 이웃일까요?” 조광우 신부 
2762호 2023. 6. 18  친교의 길 조광우 신부 
2442호 2017.07.09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정효모 베드로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