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04호 2016.10.16 
글쓴이 염철호 신부 

욥기를 읽다 보면 이런 의문이 듭니다. 욥은 하느님의 계명을 잘 지키며 의롭게 살았는데 왜 그토록 많은 고통을 당하는 건가요?

염철호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jubo@catb.kr

  고통과 죽음은 인간의 죄 때문이며, 죄로 인한 고통과 죽음은 자신뿐만 아니라 이웃, 더 나아가 자신이 모르는 이에게까지 전가된다는 것이 성경의 생각입니다.(로마 5, 12 참조) 죄가 없는 의인이더라도 타인의 탓으로 인해 고통을 당하는 것이 인간이 처한 현실입니다. 세상을 왜 이렇게 만드셨는지 하느님께 따져 물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성경은 모든 것이 하느님 탓이 아니라 인간의 탓임을 분명히 밝힙니다. 하느님께서 인간을 당신 모상에 따라 창조하셨지만 인간은 피조물이기에 넘지 말아야 할 선(선악과)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 스스로 선을 넘기에 고통과 죽음이 세상에 넘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성경은 종종 선을 넘지 않고 하느님의 뜻, 계명에 충실한 욥과 같은 의인을 소개합니다. 이런 의인들은 대개 타인의 죄로 인해 고통을 겪는 것도 부족해서 어떤 이는 예수님처럼 죽음에 이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인내와 용서로 타인의 죄의 대가를 대신 치르는 의인들이 있기에 하느님께서는 세상을 영원히 파멸하지 않으십니다. 욥기는 자신의 탓이 아닌데도 고통을 당하는 의인의 고통에 관해 의인의 관점에서 독특하게 설명해 냅니다. 모든 것은 신비에 가려져 있기에 왜 굳이 자신에게 고통이 주어지는지를 온전히 이해할 수는 없지만, 오랜 갈구 속에 하느님을 만나게 되면 결국 자신에게 떨어지는 고통과 십자가를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는 것이 욥기의 가르침입니다.(욥기 42, 2∼6 참조)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56 2234호 2013.09.15  저는 오랫동안 주일 학교에서 교사로 봉사 활동을 하였습니다. 저의 봉사와 희생이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저의 삶에 아무 이익이 되지 않는 시간 낭비였다는 회의가 옵니다. 권순호 신부  122
255 2484호 2018.04.15  저는 알코올 중독자는 아닙니다만, 술을 좋아해서 가끔 건강이 염려됩니다. 배도 점점 나오고, 술 마신 다음 날은 많이 피곤합니다.‘술을 좀 줄여야 하나?’라는 생각이 드는데, 금단현상 같은 것은 없지만, 사람들과의 관계가 어려워질까 봐 그러지를 못합니다. 홍성민 신부  122
254 2242호 2013.11.03  아는 분의 갑작스런 죽음 앞에 모든 것이 혼란스럽습니다. 산다는 것이 이렇게 허망한 것인지 새삼 느낍니다.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24
253 2281호 2014.07.13  같은 하느님을 주님으로 고백하면서도 오히려 비신자보다 못한 모습으로 우리 교회에 먹칠을 하는 사람을 보면 속이 상합니다. 신앙생활을 하면서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답답합니다. 홍경완 신부  124
252 2490호 2018.05.27  아이에게 평소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지만, 제가 다른 사람들을 만나거나, 일해야 할 때는 스마트폰을 주곤 하였는데 후회하고 있습니다. 점점 빠져드는 아이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125
251 2519호 2018.12.16  예수님께서 원수를 사랑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원수를 미워하지 않기도 어려운데 사랑까지 하라니 힘든 계명입니다. 이 계명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실천할 수 있을까요? 권순호 신부  125
250 2256호 2014.01.26  내 주변 사람들, 특히 자식과 배우자를 믿지 못하고 의심할 때가 많습니다. 의심하는 것은 죄란 생각이 들어 괴롭습니다. 홍경완 신부  126
249 2298호 2014.11.02  예수님이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을 약속하신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과학이 실제로 우리 인간의 무병장수의 꿈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결국 예수님이 아니라 과학 기술이 영원한 생명을 인간에 가져다주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26
248 2365호 2016.01.17  짜증이 너무나 많이 납니다. 자연히 술, 담배도 늘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짜증이 없어질까요? 홍성민 신부  126
247 2157호 2012.04.22  남편이 계속해서 같은 잘못을 합니다. 신앙인이기에 남편의 잘못을 용서하려고 노력해왔지만, 항상 같은 모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남편을 보면서, ‘잘못한 이들을 용서하라는 말씀이 오히려 잘못된 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홍성민 신부  127
246 2191호 2012.12.09  이웃사랑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디까지가 내가 사랑해야 할 이웃인가요? 홍경완 신부  127
245 2498호 2018.07.22  인간들이 자유를 잘못 사용할 때마다 하느님이 바로잡아 주면, 죄를 짓지 않을 테고 죄로 인한 고통도 당하지 않을 텐데 왜 그렇게 하지 않나요? 장재봉 신부  127
244 2513호 2018.11.04  어느 신문에서 외국의 가톨릭 성직자들이 아동 성추행 사건을 일으키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아마도 이런 문제들도 가톨릭 성직자들이 자연의 본성에 반해서 독신생활을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가톨릭교회에서 이제 성직자의 독신제에 다시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27
243 2310호 2015.01.11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방학 때에는 어린이 미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있습니다. 물론“부모님과 주일미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당부를 하지만 부모님이 신자가 아닌 아이들의 처지는 난처해집니다. 교사 휴가를 위한 측면이라면 합반해서 운영해도 무리가 없지 않겠습니까? 오히려 방학에는 미사 개근상을 만들어서 부모님과 방학휴가 계획조차 세울 수 없는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활기를 주고 싶은 것이 제 개인적인 소망입니다. 장재봉 신부  128
242 2206호 2013.03.10  기도를 하면 분심에 시달리거나 심지어는 나쁜 생각이 들 때도 있습니다. 분심이나 나쁜 생각을 아예 없앨 수는 없는가요? 권순호 신부  129
241 2332호 2015.06.14  요즘에 시대가 변해 결혼을 하려는 사람도 줄고 이혼도 많이 늘었습니다. 결혼 전 동거를 해보는 것이 미리 서로를 잘 알게 하여 결혼을 하더라도 유익하다고 생각합니다. 천주교도 시대에 흐름에 맞게 엄격한 결혼관을 버리고 동거 생활을 허용하는 것이 어떨까요? 권순호 신부  129
240 2468호 2017.12.31  성경을 읽으며 하느님에 대해 상상하곤 합니다. 그런데 이런 상상이 위험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상상하는 일이 신앙에 도움이 될까요? 홍경완 신부  129
239 2520호 2018.12.23  예수님께서는 돌아가시면서 “저의 하느님, 저의 하느님, 어찌하여 저를 버리셨습니까?”(마르 15,34; 마태 27,46)라고 외칩니다. 스스로 원하신 수난인데 왜 이렇게 외치셨을까요? 하느님을 원망하며 인간적 약점을 드러낸 말인지요? 염철호 신부  130
238 2443호 2017.07.16.  성경을 읽어 보면, 예수님께서 천국을 아침에 와서 일한 사람이나, 점심에 와서 일한 사람이나, 저녁에 와서 일한 사람이나 다 똑같은 임금을 주시는 주인으로 묘사하던데요. 요즘에 정의롭지 못한 정치인들이 비판을 많이 받는데, 하느님 또한 이들과 무엇이 다릅니까? 권순호 신부  132
237 2465호 2017.12.17  예전부터 두통이 있거나, 몸살이 오면 진통제를 먹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약 없이 못 살 것 같아서 불안합니다. 안 먹어보려고도 했는데, 그러면 통증 때문에 견디기가 어렵습니다. 약을 좀 더 쉽게 끊는 방법은 없을까요? 홍성민 신부  13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