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21호 2011.08.28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안약은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슬퍼지면 누구나 눈물을 흘립니다. 엉엉 소리내어 울다보면 눈물 콧물 범벅이 됩니다. 목으로도 눈물이 넘어가죠. 입은 다물면 되는데, 눈은 늘 뜨고 있으니까 이물질이 들어오면 눈물을 흘려보내서 씻어야 하는데 이게 잠자기 전까지는 계속해야 합니다. 그러다 보니까, 눈에 눈물이 부족해져서 눈이 뻑뻑해지고 충혈되고 피곤해집니다. 이럴 때, 안약을 사용합니다. 안약을 점안액이라고도 하고 인공 눈물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의사의 처방전이 없어도 약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안약은 눈물과 같은 성분으로 만들어서 눈에 넣어도 불편하지가 않습니다. 눈에 그냥 안약을 넣으면 잠시 시원하고 눈도 맑아지는 것 같고 시야도 밝아집니다. 그러다 보니까 안약을 곁에 두고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게 위험한 일입니다. 안약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결막색소 침잠이라고 해서 흰자위가 누렇게 변할 수도 있고요. 또 안약 중에는 스테로이드 성분이 들어있는 게 많은데, 이 스테로이드 성분이 안압을 높이고 시신경을 손상시켜서 백내장이나 녹내장에 걸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안약은 눈병이 난 경우에 의사의 처방전을 받아서 사용하는 약이지, 반창고나 빨간약 처럼 집에 두고 수시로 사용하는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게다가 한번 사용한 안약을 집에 놔두고 있다가 나중에 눈이 피로하면 다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것도 위험합니다. 안약은 무균 생산을 합니다. 보통 방부제가 들어있지만, 무균 상태를 유지하려면 냉장보관을 해야 하고 한번 개봉하면 2주 정도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안약은 두고두고 다 쓸 때까지 사용하는 게 아닙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05 2218호 2013.06.02  우리 모두 ‘도시락 싸기 운동’을 우리농 본부  48
104 2220호 2013.06.16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돌잔치 우리농 본부  98
103 2222호 2013.06.30  올 여름은 자연과 이웃과 더불어 우리농 본부  19
102 2224호 2013.07.14  한평생 자연에 기대어 살았으니 우리농 본부  20
101 2226호 2013.07.28  우리 모두 여름휴가를 친환경 휴가로 우리농 본부  13
100 2228호 2013.08.11  쓰레기통에 넣기 전에 우리농 본부  14
99 2231호 2013.08.25  함께 걸어보실까요? 우리농 본부  15
98 2233호 2013.09.08  사람과 자연을 살리는 아름다운 가게 우리농 본부  51
97 2236호 2013.09.22  정성이 가득한 잔치 우리농 본부  31
96 2238호 2013.10.06  조금 불편하게 살 수 있는 용기만 있으면 우리농 본부  53
95 2240호 2013.10.20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십자가 우리농 본부  8
94 2242호 2013.11.03  단 하나밖에 없는 가장 소중한 우리 집 우리농 본부  52
93 2244호 2013.11.17  ‘나 하나쯤이’ 아니라 ‘나 하나라도’ 우리농 본부  40
92 2246호 2013.12.01  숲은 보기만 해도 신비스럽습니다 우리농 본부  41
91 2248호 2013.12.15  수입 식품을 함부로 구입해서는 안 될 이유 우리농 본부  94
90 2251호 2013.12.29  새해에는 절망을 희망으로 우리농 본부  9
89 2254호 2014.01.12  일회용품 사용과 형제의 설거지 우리농 본부  32
88 2256호 2014.01.26  먹고살기 힘들기에 친환경! 우리농 본부  30
87 2259호 2014.02.09  유기농이 아닌 우리농! 우리농 본부  121
86 2261호 2014.02.23  위생적인 것은 언제나 깨끗한 것일까? 우리농 본부  28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