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21호 2011.08.28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안약은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슬퍼지면 누구나 눈물을 흘립니다. 엉엉 소리내어 울다보면 눈물 콧물 범벅이 됩니다. 목으로도 눈물이 넘어가죠. 입은 다물면 되는데, 눈은 늘 뜨고 있으니까 이물질이 들어오면 눈물을 흘려보내서 씻어야 하는데 이게 잠자기 전까지는 계속해야 합니다. 그러다 보니까, 눈에 눈물이 부족해져서 눈이 뻑뻑해지고 충혈되고 피곤해집니다. 이럴 때, 안약을 사용합니다. 안약을 점안액이라고도 하고 인공 눈물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의사의 처방전이 없어도 약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안약은 눈물과 같은 성분으로 만들어서 눈에 넣어도 불편하지가 않습니다. 눈에 그냥 안약을 넣으면 잠시 시원하고 눈도 맑아지는 것 같고 시야도 밝아집니다. 그러다 보니까 안약을 곁에 두고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분들이 있는데요. 이게 위험한 일입니다. 안약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결막색소 침잠이라고 해서 흰자위가 누렇게 변할 수도 있고요. 또 안약 중에는 스테로이드 성분이 들어있는 게 많은데, 이 스테로이드 성분이 안압을 높이고 시신경을 손상시켜서 백내장이나 녹내장에 걸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안약은 눈병이 난 경우에 의사의 처방전을 받아서 사용하는 약이지, 반창고나 빨간약 처럼 집에 두고 수시로 사용하는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게다가 한번 사용한 안약을 집에 놔두고 있다가 나중에 눈이 피로하면 다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것도 위험합니다. 안약은 무균 생산을 합니다. 보통 방부제가 들어있지만, 무균 상태를 유지하려면 냉장보관을 해야 하고 한번 개봉하면 2주 정도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안약은 두고두고 다 쓸 때까지 사용하는 게 아닙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65 2087호 2011.01.16  감기와 항생제 생명환경사목  123
164 2089호 2011.01.30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생명환경사목  12
163 2092호 2011.02.13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생명환경사목  10
162 2094호 2011.02.27  구제역과 ‘우리 소 키우기 운동’ 생명환경사목  131
161 2096호 2011.03.13  사순 시기와 언플러그 운동 생명환경사목  36
160 2098호 2011.03.27  나무 한 그루 생명환경사목  12
159 2100호 2011.04.10  친환경 재생용지 생명환경사목  251
158 2102호 2011.04.24  부활의 기도 생명환경사목  23
157 2104호 2011.05.08  방사능을 예방하는 게 가능할까? 생명환경사목  26
156 2106호 2011.05.22  곰국을 끓이면 생명환경사목  108
155 2108호 2011.06.05  토마토가 빨갛게 익으면 생명환경사목  157
154 2110호 2011.06.19  보리는 고개를 숙이지 않습니다 생명환경사목  146
153 2112호 2011.07.03  통밀과 백밀 생명환경사목  113
152 2114호 2011.07.17  농민의 주님 생명환경사목  11
151 2116호 2011.07.31  더위가 찾아오네요 생명환경사목  9
150 2118호 2011.08.14  냉장고 속 의약품 생명환경사목  23
» 2121호 2011.08.28  안약은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생명환경사목  52
148 2123호 2011.09.11  도자기! 알고 씁시다. 생명환경사목  76
147 2126호 2011.09.25  위험한 헤나 생명환경사목  99
146 2128호 2011.10.09  위험한 피어싱 우리농본부  10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