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한 그루

가톨릭부산 2015.10.19 07:30 조회 수 : 12

호수 2098호 2011.03.27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나무 한 그루 

예전에 이런 말씀을 드렸습니다. 가족이 나들이 갈 때, 물놀이 할 수 있는 곳이나 놀이 공원만 가지 말고 수목원에도 한번 가보시면 좋겠다고요. 

수목원 가기 전에는 ‘나무를 심는 사람’ 비디오를 보고 갑니다. 아이들에게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고 평화를 사랑하는 마음의 씨앗을 뿌릴 수 있는 훌륭한 작품입니다. 수목원에 갈 때는 ‘어린이 식물 도감’을 가져 갑니다. 보통 식물 도감은 어려운 언어로 설명되어 있어 어른들도 보기 힘들지만 ‘어린이 식물 도감’은 아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사용하고 세밀화로 직접 그려서 풀과 꽃, 나무에 대해 설명 하는 책이기 때문에 아이들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감동적인 비디오를 보는 것도 좋고, 잘 만든 책을 보는 것도 좋고, 숲 속을 거니는 것도 좋지만 뭐니뭐니 해도 가장 좋은 것은 내 손으로 나무 한 그루 심어보는 일입니다. 나무를 심고 싶어도 어떻게 심는 건지 모르는 분들이 많은 데요. 나무를 심을 구덩이는 뿌리의 한배 반 크기로 파줍니다. 구덩이에 밑거름을 넣어주고 흙을 조금 뿌려 준 다음, 뿌리를 곧게 세워 구덩이의 삼분지 이쯤 흙으로 덮어줍니다. 그리고 나무를 위로 살짝 잡아당겨 주면서 발로 흙을 밟아 뿌리가 땅에 밀착되게 해주고 물을 충분히 준 다음 나머지 흙을 채우고 다시 물을 충분히 줍니다. 그리고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낙엽으로 주변을 덮어주면 끝납니다. 마지막으로 나무가 잘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기도를 해주면 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05 2044호 2010.04.11  이스터 섬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2
204 2089호 2011.01.30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생명환경사목  12
» 2098호 2011.03.27  나무 한 그루 생명환경사목  12
202 2161호 2012.05.20  육식은 이제 그만 우리농 본부  12
201 2034호 2010.01.31  평화의 날 담화문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3
200 2149호 2012.02.26  농민들의 아픔을 우리들의 아픔으로 우리농본부  13
199 2226호 2013.07.28  우리 모두 여름휴가를 친환경 휴가로 우리농 본부  13
198 2228호 2013.08.11  쓰레기통에 넣기 전에 우리농 본부  14
197 2231호 2013.08.25  함께 걸어보실까요? 우리농 본부  15
196 2288호 2014.08.24  음식은 과학이 아닙니다! 우리농 본부  16
195 2342호 2015.08.23  인간을 품고도 넉넉한 자연 우리농 본부  16
194 2279호 2014.06.29  도시의 생존 전략 우리농 본부  17
193 2281호 2014.07.13  쌀에 대한 단상 우리농 본부  17
192 1988호 2009.04.12  생태적 예수의 부활 생명환경사목  18
191 2011호 2009.09.11  4대강 개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응답 생명환경사목  18
190 2136호 2011.12.04  작은 것이 아름답습니다 우리농본부  18
189 2145호 2012.01.29  2012년, 이 시대 진정한 영웅 우리농본부  18
188 2206호 2013.03.10  망설이지 마시고 우리농 본부  19
187 2222호 2013.06.30  올 여름은 자연과 이웃과 더불어 우리농 본부  19
186 2294호 2014.10.05  한 뼘 더 소중한 것 우리농 본부  1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