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094호 2011.02.27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구제역과 ‘우리 소 키우기 운동’

지난 번에 구제역의 근본적인 원인은 대규모 공장식 축산과 초국가적인 장거리 유통이라 말씀을 드렸는데요. 그런 생산과 유통 방식은 구제역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기도 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리농 본부에서는 ‘우리 소 키우기 운동’, 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본당의 교우들이 본부를 통해 공소의 농민들에게 암송아지를 한 마리 사줍니다. 농민들은 유기 순환적인 생명 농사 지으면서 나온 부산물 등으로 그 소를 친환경적으로 키우고, 그 소의 배설물을 모아 유기농업용 퇴비를 만듭니다. 이렇게 만든 진짜 퇴비가 있어야 땅을 살리는 생명 농사를 제대로 지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키운 생명 농산물은 우리농 매장을 통해 교우들에게 공급됩니다. 

그리고 본당에서 사준 소가 자라 새끼를 두 번 낳고 난 다음에는 본당으로 다시 돌려줍니다. 그러면 본당 교우들은 명절 소 나눔 등을 통해 암소 한 마리를 나눠 먹을 수 있습니다. 그것도 수입 사료를 먹여서 키운 쇠고기가 아니라 유기 축산으로 키운 쇠고기를 말입니다. 본당 교우들은 송아지 값을 미리 지불하는 것을 불안해 하지 않고, 농민들은 애써 키운 소를 그냥 주는 것을 아까워하지 않습니다. 우리 소가 자라는 동안 공동체 간의 믿음도 자라고, 우리 소가 새끼를 낳는 동안에 공동체 간의 사랑도 태어나기 때문입니다. 우리농 본부를 통해 본당 교우들과 가톨릭 농민들이 손을 잡고 함께 하는 ‘우리 소 키우기 운동’은 우리농이 추구하는 ‘도·농 생명 공동체 운동’의 작은 실천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65 2096호 2011.03.13  사순 시기와 언플러그 운동 생명환경사목  36
» 2094호 2011.02.27  구제역과 ‘우리 소 키우기 운동’ 생명환경사목  131
63 2092호 2011.02.13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생명환경사목  10
62 2089호 2011.01.30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생명환경사목  12
61 2087호 2011.01.16  감기와 항생제 생명환경사목  123
60 2085호 2011.01.02  2011년,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  10
59 2081호 2010.12.19  전기 흡혈귀 생명환경사목  20
58 2079호 2010.12.05  형광등과 형광증백제 생명환경사목  129
57 2077호 2010.11.21  햄과 소씨지 생명환경사목  133
56 2075호 2010.11.07  도토리와 다람쥐 생명환경사목  45
55 2073호 2010.10.24  배추대란과 정부의 4대강 사업 생명환경사목  4
54 2071호 2010.10.10  편리한 건전지, 무서운 건전지 생명환경사목  114
53 2069호 2010.09.26  중국산 불량 수입 식품은 누구 탓인가요? 생명환경사목  34
52 2066호 2010.09.12  밀에는 있고 쌀에는 없는 것 생명환경사목  33
51 2064호 2010.08.29  일회용 기저귀, 천 기저귀 생명환경사목  66
50 2062호 2010.08.15  무쇠로 만든 프라이팬 생명환경사목  150
49 2060호 2010.08.01  시원한 감잎차와 야채효소 생명환경사목  59
48 2058호 2010.07.18  생명의 밥상과 농민주일 생명환경사목  63
47 2056호 2010.07.04  피라미드의 신비, 양파의 신비 생명환경사목  123
46 2054호 2010.06.20  나무를 심은 사람 생명환경사목  52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