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가톨릭부산 2015.10.19 07:22 조회 수 : 10

호수 2092호 2011.02.13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구제역은 원래 동남아나 아프리카 몇몇 나라에서만 발생하는 오래된 풍토병이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1934년에 발생하고 60년간 발생 보고가 없다가 2000년 이후에 네 차례 발생했으나 이번처럼 초유의 대재앙은 일찍이 없었습니다. 전문가들 말에 따르면, 살처분은 구제역의 초기 대응 방식인데, 그게 일단 실패로 돌아갔으면 즉시 살처분을 멈췄어야 했는데, 구제역 청정국가 유지를 위해 무리하게 밀어 부쳐, 결국 두 마리 토끼를 다 놓쳤다니 기가 막힙니다. 구제역의 근본적인 원인은 대규모 공장식 축산인데요, 공장식 축산이란 가축으로서 최소한의 본능도 누리지 못하는 밀폐된 공간에서 항생제, 성장 촉진제 등 온갖 약물 투여와 인공 시술로 가축을 마치 공장에서 찍어내듯 제조하는 사육 방식입니다. 가령 돼지의 경우, 돼지는 원래 가족끼리 유대가 좋고, 소문과 달리 청결하고 영리한 동물인데, 새끼를 깔아뭉갤 수 있다는 이유로 격리시켜, 앉았다 일어섰다만 겨우 할 수 있는 좁은 틀 속에 갇혀 평생을 보냅니다. 물론 바닥도 시멘트라 땅을 파헤쳐 먹이를 먹는 본능도 포기 당한 채, 육질 개선을 위해 거세당하고, 개체 식별을 위해 귀까지 잘립니다. 이런 사육 환경은 당연히 극심한 스트레스와 면역력을 저하시켜, 구제역의 원인이 됩니다. 여기에다 초국가적인 장거리 유통이 문제를 악화시킵니다. 전 세계 먹을거리를 뭐든지, 언제든지 수입해서 먹을 수 있는 세상이 좋아 보이지만 그것은 필연적으로 전염병의 세계화와 지구 온난화를 초래합니다. 그러면 어떡해야 할까요?
(다음호에 계속)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65 2089호 2011.01.30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생명환경사목  12
» 2092호 2011.02.13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생명환경사목  10
163 2094호 2011.02.27  구제역과 ‘우리 소 키우기 운동’ 생명환경사목  131
162 2096호 2011.03.13  사순 시기와 언플러그 운동 생명환경사목  36
161 2098호 2011.03.27  나무 한 그루 생명환경사목  12
160 2100호 2011.04.10  친환경 재생용지 생명환경사목  251
159 2102호 2011.04.24  부활의 기도 생명환경사목  23
158 2104호 2011.05.08  방사능을 예방하는 게 가능할까? 생명환경사목  26
157 2106호 2011.05.22  곰국을 끓이면 생명환경사목  108
156 2108호 2011.06.05  토마토가 빨갛게 익으면 생명환경사목  157
155 2110호 2011.06.19  보리는 고개를 숙이지 않습니다 생명환경사목  146
154 2112호 2011.07.03  통밀과 백밀 생명환경사목  113
153 2114호 2011.07.17  농민의 주님 생명환경사목  11
152 2116호 2011.07.31  더위가 찾아오네요 생명환경사목  9
151 2118호 2011.08.14  냉장고 속 의약품 생명환경사목  23
150 2121호 2011.08.28  안약은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생명환경사목  52
149 2123호 2011.09.11  도자기! 알고 씁시다. 생명환경사목  76
148 2126호 2011.09.25  위험한 헤나 생명환경사목  99
147 1963호 2008.11.02  먹으면 죽는 비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89
146 1964호 2008.11.09  만지면 위험한 비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4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