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가톨릭부산 2015.10.19 07:22 조회 수 : 10

호수 2092호 2011.02.13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구제역은 원래 동남아나 아프리카 몇몇 나라에서만 발생하는 오래된 풍토병이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1934년에 발생하고 60년간 발생 보고가 없다가 2000년 이후에 네 차례 발생했으나 이번처럼 초유의 대재앙은 일찍이 없었습니다. 전문가들 말에 따르면, 살처분은 구제역의 초기 대응 방식인데, 그게 일단 실패로 돌아갔으면 즉시 살처분을 멈췄어야 했는데, 구제역 청정국가 유지를 위해 무리하게 밀어 부쳐, 결국 두 마리 토끼를 다 놓쳤다니 기가 막힙니다. 구제역의 근본적인 원인은 대규모 공장식 축산인데요, 공장식 축산이란 가축으로서 최소한의 본능도 누리지 못하는 밀폐된 공간에서 항생제, 성장 촉진제 등 온갖 약물 투여와 인공 시술로 가축을 마치 공장에서 찍어내듯 제조하는 사육 방식입니다. 가령 돼지의 경우, 돼지는 원래 가족끼리 유대가 좋고, 소문과 달리 청결하고 영리한 동물인데, 새끼를 깔아뭉갤 수 있다는 이유로 격리시켜, 앉았다 일어섰다만 겨우 할 수 있는 좁은 틀 속에 갇혀 평생을 보냅니다. 물론 바닥도 시멘트라 땅을 파헤쳐 먹이를 먹는 본능도 포기 당한 채, 육질 개선을 위해 거세당하고, 개체 식별을 위해 귀까지 잘립니다. 이런 사육 환경은 당연히 극심한 스트레스와 면역력을 저하시켜, 구제역의 원인이 됩니다. 여기에다 초국가적인 장거리 유통이 문제를 악화시킵니다. 전 세계 먹을거리를 뭐든지, 언제든지 수입해서 먹을 수 있는 세상이 좋아 보이지만 그것은 필연적으로 전염병의 세계화와 지구 온난화를 초래합니다. 그러면 어떡해야 할까요?
(다음호에 계속)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25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우리농 본부  144
224 2512호 2018.10.28  논과 밭이 사라진다면 우리농 본부  166
223 2508호 2018.09.30  가장 큰 거짓말 감물생태학습관  296
222 2507호 2018.09.23  청소 시간 우리농 본부  96
221 2503호 2018.08.26  작은 희망 우리농 본부  140
220 2499호 2018.07.29  감물에서 온 편지 - 여름의 의미 김준한 신부  85
219 2498호 2018.07.22  세상은 이미 넘쳐나는데 우리농 본부  45
218 2494호 2018.06.24  겸손과 순명 우리농 본부  99
217 2490호 2018.05.27  시장과 문명 우리농 본부  44
216 2486호 2018.04.29  감물에서 온 편지 - 농부의 시간 김준한 신부  101
215 2485호 2018.04.22  우리가 가진 열쇠 우리농 본부  62
214 2481호 2018.03.25  만물을 위한 창조 우리농 본부  59
213 2477호 2018.02.25  마지막 나무를 자른 이의 심정은 어떠했을까요? 우리농 본부  70
212 2473호 2018.01.28  환경, 믿음의 영역 우리농 본부  69
211 2468호 2017.12.31  먹는 신앙 김준한 신부  76
210 2466호 2017.12.24  낮은 곳에서 높은 곳을 향하여 우리농 본부  79
209 2462호 2017.11.26  흘러넘치는 생명 우리농 본부  113
208 2458호 2017.10.29  감물에서 온 편지 - 불편한 동거, 생명의 창문 김준한 신부  208
207 2457호 2017.10.22  자연에 대한 예의 우리농 본부  96
206 2453호 2017.09.24  가장 많이 피는 꽃 우리농 본부  109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