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089호 2011.01.30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이번 겨울, 참 춥습니다. 국토의 최남단 마라도까지 온 나라가 영하권으로 내려가고, 중부 지방은 폭설과 기록적인 한파가 이어졌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지구는 점점 더워지고 있다는데, 왜 그럴까요. 사실 북극해 온도는 예년보다 10도 이상 높다고 합니다. 그런데 북극의 온도가 올라가면 북극 상공에 있어야 할 찬 공기가 도리어 위도가 낮은 남쪽으로 내려온다는군요. 겨울철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삼한사온을 밀어내고 연일 계속되는 올 겨울 한파도 결국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라는 것이 정설입니다.

겨울 한파와 함께 찾아온 구제역으로 온 나라가 또 난리입니다. 살처분된 가축만 이미 200만을 넘어섰고, 집단 매몰로 인한 지하수 오염 등 2차 피해까지 우려되는 실정입니다. 구제역의 근본적인 원인은 대규모 공장식 축산과 초국가적인 장거리 유통 등을 꼽을 수 있는데요, 이는 구제역뿐 아니라 탄소를 대량 발생시켜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 시키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결국 창조 질서를 거스르고, 뭇 생명에 대한 극단적인 착취를 통해 탐욕을 채우는 현대 세계의 생산과 유통 방식이 지구온난화, 구제역, 조류 독감, 신종플루 등으로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고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도·농 생명공동체’를 통해 로컬푸드, 지산지소, 소농중심의 우리농 축산 등 지역에서 생산된 안전한 먹을거리를 중심으로 생명의 밥상을 차리는 우리 농촌 살리기 운동은 가족의 건강뿐 아니라 겨울 한파를 녹이고 지구를 살리는 녹색운동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05 2044호 2010.04.11  이스터 섬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2
» 2089호 2011.01.30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생명환경사목  12
203 2098호 2011.03.27  나무 한 그루 생명환경사목  12
202 2161호 2012.05.20  육식은 이제 그만 우리농 본부  12
201 2034호 2010.01.31  평화의 날 담화문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3
200 2149호 2012.02.26  농민들의 아픔을 우리들의 아픔으로 우리농본부  13
199 2226호 2013.07.28  우리 모두 여름휴가를 친환경 휴가로 우리농 본부  13
198 2228호 2013.08.11  쓰레기통에 넣기 전에 우리농 본부  14
197 2231호 2013.08.25  함께 걸어보실까요? 우리농 본부  15
196 2288호 2014.08.24  음식은 과학이 아닙니다! 우리농 본부  16
195 2342호 2015.08.23  인간을 품고도 넉넉한 자연 우리농 본부  16
194 2279호 2014.06.29  도시의 생존 전략 우리농 본부  17
193 2281호 2014.07.13  쌀에 대한 단상 우리농 본부  17
192 1988호 2009.04.12  생태적 예수의 부활 생명환경사목  18
191 2011호 2009.09.11  4대강 개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응답 생명환경사목  18
190 2136호 2011.12.04  작은 것이 아름답습니다 우리농본부  18
189 2145호 2012.01.29  2012년, 이 시대 진정한 영웅 우리농본부  18
188 2206호 2013.03.10  망설이지 마시고 우리농 본부  19
187 2222호 2013.06.30  올 여름은 자연과 이웃과 더불어 우리농 본부  19
186 2294호 2014.10.05  한 뼘 더 소중한 것 우리농 본부  1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