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등과 형광증백제

가톨릭부산 2015.10.19 07:14 조회 수 : 129

호수 2079호 2010.12.05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형광등과 형광증백제

요즘은 형광등도 재활용합니다. 깨지기 쉬워서 힘들지만, 수은이 위험하기 때문에 재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형광등에 수은 말고 형광물질도 들어 있는데, 이게 형광등 속에 있을 때는 고마운 물질이지만, 밖으로 나오면 위험합니다. 발암성 논란도 있고, 접촉하면 피부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으면 화장지를 주는데, 여기에도 형광물질이 들어갑니다. 질이 떨어지는 종이를 사용해서 만들다보니까, 형광물질을 넣어서 하얗게 만듭니다. 이를 형광증백제라 하는데, 이런 휴지를 계속 사용하다보면 피부병이 올 수 있습니다. 이제 화장지를 주유소에서 주더라도 받지 마세요. 그래야 만들지 않습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휴지에는 형광증백제 사용이 법으로 규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부엌에서 사용하는 키친 타올은 이상하게도 규제대상이 아닙니다. 그러니까 형광증백제가 기준치도 없이 사용된 종이로 그릇의 물기를 닦는 셈입니다. 게다가 형광증백제가 사용된 제품에서는 100% 포름알데히드가 검출됩니다.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물질이 바로 포름알데히드라는 거, 기억하실 겁니다. 키친 타올 대신에 예전처럼 마른 행주를 사용하고, 꼭 키친 타올이 필요한 경우에는 우리농에서 공급하는 안전한 걸 사용하시는 게 낫습니다. 
아동복 같은 경우에도 포름알데히드 기준치가 있는데, 영유아 옷에는 이상하게도 기준치가 없습니다. 영유아들은 빨리 자라기 때문에 새 옷을 입혀봐야 일 년을 넘지 못합니다. 다행히 형광증백제가 거의 검출되지 않는 옷이 있는데, 바로 헌옷입니다. 세탁을 많이 하다보면 형광증백제가 제거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영유아 옷은 물려받거나 얻어 입는 게 좋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45 1996호 2009.06.14  환경의 날 - 당신은 지금 무얼 하고 계십니까? 생명환경사목  97
44 2220호 2013.06.16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돌잔치 우리농 본부  98
43 2486호 2018.04.29  감물에서 온 편지 - 농부의 시간 김준한 신부  98
42 2042호 2010.03.28  무궁화와 버드나무 생명환경사목  99
41 2126호 2011.09.25  위험한 헤나 생명환경사목  99
40 2453호 2017.09.24  가장 많이 피는 꽃 우리농 본부  102
39 2128호 2011.10.09  위험한 피어싱 우리농본부  106
38 2296호 2014.10.19  우리농과 가톨릭 유아생태교육 우리농 본부  107
37 2355호 2015.11.22  작은 것에서 출발하기 우리농 본부  107
36 2106호 2011.05.22  곰국을 끓이면 생명환경사목  108
35 2263호 2014.03.09  우리농은 “우리 교회 각 사제관의 부엌에서부터” 우리농 본부  109
34 2462호 2017.11.26  흘러넘치는 생명 우리농 본부  109
33 2112호 2011.07.03  통밀과 백밀 생명환경사목  113
32 2071호 2010.10.10  편리한 건전지, 무서운 건전지 생명환경사목  114
31 2002호 2009.07.19  농민주일과 윤봉길 의사의 '농민 독본' 생명환경사목  115
30 2259호 2014.02.09  유기농이 아닌 우리농! 우리농 본부  121
29 2056호 2010.07.04  피라미드의 신비, 양파의 신비 생명환경사목  123
28 2087호 2011.01.16  감기와 항생제 생명환경사목  123
» 2079호 2010.12.05  형광등과 형광증백제 생명환경사목  129
26 2397호 2016.08.28  김영란법과 농민 우리농 본부  13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