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토리와 다람쥐

가톨릭부산 2015.10.19 07:11 조회 수 : 45

호수 2075호 2010.11.07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도토리와 다람쥐

산으로 들로 나가면 먹을 것도 지천이니 가을은 그저 감사의 계절입니다. 산에서 나는 먹을거리로는 봄에는 산나물이요 가을에는 밤과 도토리입니다. 그 중에 다람쥐들의 식량인 도토리는 참나무라고 불리는 나무들의 열매입니다.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를 통틀어서 참나무라고 부르는데요. 마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상수리나무로 도토리가 가장 큽니다. 하지만 다람쥐들이 가장 좋아하는 도토리는 모양이 길쭉한 졸참나무 도토리입니다. 사람들 입맛도 다르지 않아서 졸참나무 도토리로 만든 묵을 제일로 칩니다.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다람쥐는 세 종류인데요. 누런색 바탕에 줄이 가 있는 다람쥐가 우리 토종 다람쥐로 가장 흔하고요. 몸 전체가 검은색으로 꼬리도 풍성하니 큰 게 청설모입니다. 그리고 가끔 날개를 쫙 펴고 날아다니는 날다람쥐가 있는데 요즘 보기가 좀 어렵죠. 가을이 되면 다람쥐들은 정말 바빠집니다. 겨울에는 먹이를 구할 수 없기 때문에 가을에 미리 여퉈놔야 하거든요. 땅에 작은 구덩이를 여러 개 파고 도토리를 몇 개씩 넣어 둡니다. 그리고 낙엽으로 덮어놓고는 자기만 아는 방식으로 표시를 해둡니다. 아주 영리하죠. 하지만, 이걸 모두 다 기억할 수는 없어서 잊어버린 도토리는 다음해에 싹이 나서 참나무로 성장하게 됩니다. 가을 산에 가시면 다람쥐의 식량은 손대지 마시고 가을정취만 마음에 가득 담아 돌아오면 좋겠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85 2044호 2010.04.11  이스터 섬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2
184 2046호 2010.04.25  맑은 실개천을 다시 볼 수 있을까? 생명환경사목  49
183 2048호 2010.05.09  할미꽃과 아카시아 생명환경사목  27
182 2050호 2010.05.23  4대강 생명 평화 미사 강론 생명환경사목  6
181 2052호 2010.06.06  참나무는 없다 생명환경사목  56
180 2054호 2010.06.20  나무를 심은 사람 생명환경사목  52
179 2056호 2010.07.04  피라미드의 신비, 양파의 신비 생명환경사목  123
178 2058호 2010.07.18  생명의 밥상과 농민주일 생명환경사목  63
177 2060호 2010.08.01  시원한 감잎차와 야채효소 생명환경사목  59
176 2062호 2010.08.15  무쇠로 만든 프라이팬 생명환경사목  150
175 2064호 2010.08.29  일회용 기저귀, 천 기저귀 생명환경사목  66
174 2066호 2010.09.12  밀에는 있고 쌀에는 없는 것 생명환경사목  33
173 2069호 2010.09.26  중국산 불량 수입 식품은 누구 탓인가요? 생명환경사목  34
172 2071호 2010.10.10  편리한 건전지, 무서운 건전지 생명환경사목  114
171 2073호 2010.10.24  배추대란과 정부의 4대강 사업 생명환경사목  4
» 2075호 2010.11.07  도토리와 다람쥐 생명환경사목  45
169 2077호 2010.11.21  햄과 소씨지 생명환경사목  133
168 2079호 2010.12.05  형광등과 형광증백제 생명환경사목  129
167 2081호 2010.12.19  전기 흡혈귀 생명환경사목  20
166 2085호 2011.01.02  2011년,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  1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