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073호 2010.10.24 |
---|---|
글쓴이 | 생명환경사목 |
배추대란과 정부의 4대강 사업
얼마 전까지만 해도 주부들은 치솟는 배추 값에 숨이 턱턱 막혔습니다. 식당에서 김치를 더 먹으려면 눈치가 이만 저만 보이는 게 아니고 차리리 고기를 더 드릴 테니 김치는 찾지 말라는 식당 주인도 있었습니다. 대통령도 “요즘 배추가 비싸니 내 식탁에는 배추김치 대신 양배추김치를 올려라” 고 지시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양배추 값 역시 만만찮았습니다. 폭등해서 한 포기에 만 원가량 합니다. 정부도 뒤늦게 중국에서 배추를 긴급 수입하는 등 뒷북을 쳤습니다. 그러자 이번에는 김장철 배추 폭락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지금 4대강 주변의 드넓은 농지에는 중장비만 가득합니다. 4대강 사업으로 전체 채소재배지의 12%가 사라졌고 시설채소 재배지는 20%가 줄었습니다. 매년 김장철 영남지역에서 소비하는 배추의 30%가 낙동강 변에서 재배되었는데, 올해는 4대강 사업으로 몽땅 사라졌습니다. 또한 서울 유기농산물 소비의 60%를 담당해온 팔당 유기농 단지도 사라질 위기에 쳐했습니다.
전 지구적 생태기후변화로 모든 국가가 식량자원 확보에 힘쓰는데, 식량 자급률 25%도 되지 않는 우리나라는 이제 더 많은 농산물을 수입에 의존하게 되었습니다. 농토를 밀어낸 자리에 관광시설을 짓고 오리배를 띄우겠다는 4대강 사업은 벌써 우리의 밥상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번호 | 호수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
65 | 2096호 2011.03.13 | 사순 시기와 언플러그 운동 | 생명환경사목 | 36 |
64 | 2094호 2011.02.27 | 구제역과 ‘우리 소 키우기 운동’ | 생명환경사목 | 131 |
63 | 2092호 2011.02.13 |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 생명환경사목 | 10 |
62 | 2089호 2011.01.30 |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 생명환경사목 | 12 |
61 | 2087호 2011.01.16 | 감기와 항생제 | 생명환경사목 | 123 |
60 | 2085호 2011.01.02 | 2011년, 새해 결심 | 생명환경사목 | 10 |
59 | 2081호 2010.12.19 | 전기 흡혈귀 | 생명환경사목 | 20 |
58 | 2079호 2010.12.05 | 형광등과 형광증백제 | 생명환경사목 | 129 |
57 | 2077호 2010.11.21 | 햄과 소씨지 | 생명환경사목 | 133 |
56 | 2075호 2010.11.07 | 도토리와 다람쥐 | 생명환경사목 | 45 |
» | 2073호 2010.10.24 | 배추대란과 정부의 4대강 사업 | 생명환경사목 | 4 |
54 | 2071호 2010.10.10 | 편리한 건전지, 무서운 건전지 | 생명환경사목 | 114 |
53 | 2069호 2010.09.26 | 중국산 불량 수입 식품은 누구 탓인가요? | 생명환경사목 | 34 |
52 | 2066호 2010.09.12 | 밀에는 있고 쌀에는 없는 것 | 생명환경사목 | 33 |
51 | 2064호 2010.08.29 | 일회용 기저귀, 천 기저귀 | 생명환경사목 | 66 |
50 | 2062호 2010.08.15 | 무쇠로 만든 프라이팬 | 생명환경사목 | 150 |
49 | 2060호 2010.08.01 | 시원한 감잎차와 야채효소 | 생명환경사목 | 59 |
48 | 2058호 2010.07.18 | 생명의 밥상과 농민주일 | 생명환경사목 | 63 |
47 | 2056호 2010.07.04 | 피라미드의 신비, 양파의 신비 | 생명환경사목 | 123 |
46 | 2054호 2010.06.20 | 나무를 심은 사람 | 생명환경사목 | 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