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073호 2010.10.24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배추대란과 정부의 4대강 사업

얼마 전까지만 해도 주부들은 치솟는 배추 값에 숨이 턱턱 막혔습니다. 식당에서 김치를 더 먹으려면 눈치가 이만 저만 보이는 게 아니고 차리리 고기를 더 드릴 테니 김치는 찾지 말라는 식당 주인도 있었습니다. 대통령도 “요즘 배추가 비싸니 내 식탁에는 배추김치 대신 양배추김치를 올려라” 고 지시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양배추 값 역시 만만찮았습니다. 폭등해서 한 포기에 만 원가량 합니다. 정부도 뒤늦게 중국에서 배추를 긴급 수입하는 등 뒷북을 쳤습니다. 그러자 이번에는 김장철 배추 폭락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지금 4대강 주변의 드넓은 농지에는 중장비만 가득합니다. 4대강 사업으로 전체 채소재배지의 12%가 사라졌고 시설채소 재배지는 20%가 줄었습니다. 매년 김장철 영남지역에서 소비하는 배추의 30%가 낙동강 변에서 재배되었는데, 올해는 4대강 사업으로 몽땅 사라졌습니다. 또한 서울 유기농산물 소비의 60%를 담당해온 팔당 유기농 단지도 사라질 위기에 쳐했습니다. 

전 지구적 생태기후변화로 모든 국가가 식량자원 확보에 힘쓰는데, 식량 자급률 25%도 되지 않는 우리나라는 이제 더 많은 농산물을 수입에 의존하게 되었습니다. 농토를 밀어낸 자리에 관광시설을 짓고 오리배를 띄우겠다는 4대강 사업은 벌써 우리의 밥상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25 2030호 2010.01.03  2010년,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  2
» 2073호 2010.10.24  배추대란과 정부의 4대강 사업 생명환경사목  4
223 2163호 2012.06.03  밥상을 받을 자격 우리농 본부  5
222 2050호 2010.05.23  4대강 생명 평화 미사 강론 생명환경사목  6
221 2208호 2013.03.24  참 편리한 그러나 참 ‘불편한’ 우리농 본부  7
220 2155호 2012.04.08  부활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우리농본부  8
219 2240호 2013.10.20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십자가 우리농 본부  8
218 2269호 2014.04.20  가족농, 농촌의 미래 우리농 본부  8
217 2312호 2015.01.25  강 건너 불구경 우리농 본부  8
216 2116호 2011.07.31  더위가 찾아오네요 생명환경사목  9
215 2147호 2012.02.12  다시 우리밀 살리기 운동을… 우리농본부  9
214 2251호 2013.12.29  새해에는 절망을 희망으로 우리농 본부  9
213 2085호 2011.01.02  2011년,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  10
212 2092호 2011.02.13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생명환경사목  10
211 2134호 2011.11.20  석면 없는 세상을 바라며 우리농본부  10
210 2178호 2012.09.09  함께 잘 살 수 있는 지름길 우리농 본부  10
209 2214호 2013.05.05  내일이면 늦습니다 우리농 본부  10
208 2300호 2014.11.16  저당 잡힌 풍년 우리농 본부  10
207 2114호 2011.07.17  농민의 주님 생명환경사목  11
206 1974호 2009.01.04  또다시,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1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