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069호 2010.09.26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중국산 불량 수입 식품은 누구 탓인가요?

중국산 수입 식품의 품질에 관한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초기에는 국산에 비해 많이 쌌기 때문에 인기가 좋았던 적도 있었지만, 오래가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중국산을 국산으로 속여서 유통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소비자들이 힘들어졌죠. 구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재래시장의 인기가 떨어진 게 이런 점도 한 몫 거든 거 같습니다. 판매자들도 힘들긴 마찬가지죠. 국산을 파는데도 소비자들이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니 얼마나 힘들겠습니까? 거기에다 중국산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국산까지 아예 구매를 중단해 버리죠. 이게 누구의 잘못일까요? 먼저 중국 농어민의 잘못일까요? 재배하는 과정에서 농약을 많이 뿌리는 경우도 있지만, 사람이 먹는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민에게 잘못을 물을 수는 없는 거 같습니다. 그럼 중국 유통 상인의 잘못일까요? 그들에게 일정 정도의 잘못은 있지만, 전적인 책임을 물을 수는 없습니다. 문제는 수입 업자들입니다. 일본 업자들은 먼저 품질 기준을 제시한 뒤에 가격 흥정을 하는데 반해, 한국 업자들은 먼저 가격을 제시하고 거기에 맞춰 물건을 보내달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 거죠. 그래서 한국 수입업자들에게 1차적인 책임을 물어야 하고요. 그리고 불량 식품을 단속할 의무가 있는 당국의 책임도 분명히 있지만, 열 사람이 지켜도 도둑 하나를 못 막는다고 하는데,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죠. 하지만 한국 소비자, 바로 우리 자신은 책임이 없을까요? 수확기를 맞이해서 한번 묵상해 보셨으면 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65 2096호 2011.03.13  사순 시기와 언플러그 운동 생명환경사목  36
64 2094호 2011.02.27  구제역과 ‘우리 소 키우기 운동’ 생명환경사목  131
63 2092호 2011.02.13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생명환경사목  10
62 2089호 2011.01.30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생명환경사목  12
61 2087호 2011.01.16  감기와 항생제 생명환경사목  123
60 2085호 2011.01.02  2011년,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  10
59 2081호 2010.12.19  전기 흡혈귀 생명환경사목  20
58 2079호 2010.12.05  형광등과 형광증백제 생명환경사목  129
57 2077호 2010.11.21  햄과 소씨지 생명환경사목  133
56 2075호 2010.11.07  도토리와 다람쥐 생명환경사목  45
55 2073호 2010.10.24  배추대란과 정부의 4대강 사업 생명환경사목  4
54 2071호 2010.10.10  편리한 건전지, 무서운 건전지 생명환경사목  114
» 2069호 2010.09.26  중국산 불량 수입 식품은 누구 탓인가요? 생명환경사목  34
52 2066호 2010.09.12  밀에는 있고 쌀에는 없는 것 생명환경사목  33
51 2064호 2010.08.29  일회용 기저귀, 천 기저귀 생명환경사목  66
50 2062호 2010.08.15  무쇠로 만든 프라이팬 생명환경사목  150
49 2060호 2010.08.01  시원한 감잎차와 야채효소 생명환경사목  59
48 2058호 2010.07.18  생명의 밥상과 농민주일 생명환경사목  63
47 2056호 2010.07.04  피라미드의 신비, 양파의 신비 생명환경사목  123
46 2054호 2010.06.20  나무를 심은 사람 생명환경사목  52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