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069호 2010.09.26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중국산 불량 수입 식품은 누구 탓인가요?

중국산 수입 식품의 품질에 관한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초기에는 국산에 비해 많이 쌌기 때문에 인기가 좋았던 적도 있었지만, 오래가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중국산을 국산으로 속여서 유통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소비자들이 힘들어졌죠. 구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재래시장의 인기가 떨어진 게 이런 점도 한 몫 거든 거 같습니다. 판매자들도 힘들긴 마찬가지죠. 국산을 파는데도 소비자들이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니 얼마나 힘들겠습니까? 거기에다 중국산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국산까지 아예 구매를 중단해 버리죠. 이게 누구의 잘못일까요? 먼저 중국 농어민의 잘못일까요? 재배하는 과정에서 농약을 많이 뿌리는 경우도 있지만, 사람이 먹는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민에게 잘못을 물을 수는 없는 거 같습니다. 그럼 중국 유통 상인의 잘못일까요? 그들에게 일정 정도의 잘못은 있지만, 전적인 책임을 물을 수는 없습니다. 문제는 수입 업자들입니다. 일본 업자들은 먼저 품질 기준을 제시한 뒤에 가격 흥정을 하는데 반해, 한국 업자들은 먼저 가격을 제시하고 거기에 맞춰 물건을 보내달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 거죠. 그래서 한국 수입업자들에게 1차적인 책임을 물어야 하고요. 그리고 불량 식품을 단속할 의무가 있는 당국의 책임도 분명히 있지만, 열 사람이 지켜도 도둑 하나를 못 막는다고 하는데,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죠. 하지만 한국 소비자, 바로 우리 자신은 책임이 없을까요? 수확기를 맞이해서 한번 묵상해 보셨으면 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05 2244호 2013.11.17  ‘나 하나쯤이’ 아니라 ‘나 하나라도’ 우리농 본부  40
104 2379호 2016.04.24  선물인 세상 우리농 본부  39
103 2000호 2009.07.05  환경호르몬의 피해 예방법 생명환경사목  39
102 1998호 2009.06.21  환경호르몬의 공포 생명환경사목  38
101 2427호 2017.03.26  안식 없는 사회 우리농 본부  37
100 2186호 2012.11.04  이 많은 쓰레기를 어찌할 것인가 우리농 본부  37
99 2498호 2018.07.22  세상은 이미 넘쳐나는데 우리농 본부  36
98 2096호 2011.03.13  사순 시기와 언플러그 운동 생명환경사목  36
97 2316호 2015.02.22  94명을 위한 6명의 노고 우리농 본부  35
96 2132호 2011.11.06  소리없는 살인자, 석면 2 우리농본부  35
95 2009호 2009.08.27  에너지를 절약하는 자동차 정비 생명환경사목  35
94 2338호 2015.07.26  때론 잘 먹으려고 살아야 할 우리 우리농 본부  34
» 2069호 2010.09.26  중국산 불량 수입 식품은 누구 탓인가요? 생명환경사목  34
92 2418호 2017.01.22  생명을 위한 안식 우리농 본부  33
91 2173호 2012.08.12  큰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를 위해 우리농 본부  33
90 2066호 2010.09.12  밀에는 있고 쌀에는 없는 것 생명환경사목  33
89 2007호 2009.08.16  천렵과 낚시 생명환경사목  33
88 2254호 2014.01.12  일회용품 사용과 형제의 설거지 우리농 본부  32
87 2236호 2013.09.22  정성이 가득한 잔치 우리농 본부  31
86 2176호 2012.08.26  오늘은 채식 식당에 가볼까요? 우리농 본부  3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