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심은 사람

가톨릭부산 2015.10.19 06:38 조회 수 : 52

호수 2054호 2010.06.20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나무를 심은 사람

30년 동안 3,000만 그루의 나무를 심어 노벨 평화상을 받은 사람이 있습니다. 케냐의 왕가리 마타이. 그녀가 누구인지 노벨상을 받기 전에는 잘 몰랐습니다. 누군가는 말합니다. “나무심기가 평화에 기여하는 것인가?” “노벨 평화상이지 노벨 환경상인가?” 그러나 오늘날, 무분별한 개발 사업으로 산림이 파괴되고 기상이변이 일어나 인류가 빈곤과 기아에 빠지면 지역 간 국가 간 갈등이 증폭 되는 게 사실입니다.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해 노력하는 생태환경운동가가 노벨 평화상을 받은 것이 그리 어색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나무를 심은 사람'이라는 애니메이션이 있습니다. 성베네딕토수도원에서 나왔는데, 아마 보신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 2차 대전 후 생명이 사라진 황무지에 어느 양치기 노인이 말없이 나무를 심습니다. 40년이 지나서야 황무지는 숲으로 바뀌고 사람들이 들어오면서 마을이 생깁니다. 이 애니메이션을 그린 프레데릭 벡은 '나무를 심은 사람'의 주인공과 많이 닮았다고 합니다. 5년 동안 20,000장의 그림을 혼자서 그립니다. 그러느라 시력을 거의 잃어버립니다. 애니메이션이라면 로봇이 날아다니고 총을 쏘고 마법을 부리는 게 다라고 생각하는 아이들에게 이걸 보여주면, 아마도 열에 아홉은 지루해서 하품을 할 겁니다. 하지만 지루해 하면서도 속으로는 충격을 받습니다. '나무를 심은 사람'은 아이들의 마음에 생명을 존중하고 평화을 사랑하는 씨앗을 심어줍니다. 이 조용한 충격은 오래 가고, 그 중에는 마타이처럼 그 씨앗을 소중하게 키워나가는 아이들도 생겨날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25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우리농 본부  144
224 2512호 2018.10.28  논과 밭이 사라진다면 우리농 본부  166
223 2508호 2018.09.30  가장 큰 거짓말 감물생태학습관  296
222 2507호 2018.09.23  청소 시간 우리농 본부  96
221 2503호 2018.08.26  작은 희망 우리농 본부  140
220 2499호 2018.07.29  감물에서 온 편지 - 여름의 의미 김준한 신부  85
219 2498호 2018.07.22  세상은 이미 넘쳐나는데 우리농 본부  45
218 2494호 2018.06.24  겸손과 순명 우리농 본부  99
217 2490호 2018.05.27  시장과 문명 우리농 본부  44
216 2486호 2018.04.29  감물에서 온 편지 - 농부의 시간 김준한 신부  101
215 2485호 2018.04.22  우리가 가진 열쇠 우리농 본부  62
214 2481호 2018.03.25  만물을 위한 창조 우리농 본부  59
213 2477호 2018.02.25  마지막 나무를 자른 이의 심정은 어떠했을까요? 우리농 본부  70
212 2473호 2018.01.28  환경, 믿음의 영역 우리농 본부  69
211 2468호 2017.12.31  먹는 신앙 김준한 신부  76
210 2466호 2017.12.24  낮은 곳에서 높은 곳을 향하여 우리농 본부  79
209 2462호 2017.11.26  흘러넘치는 생명 우리농 본부  113
208 2458호 2017.10.29  감물에서 온 편지 - 불편한 동거, 생명의 창문 김준한 신부  208
207 2457호 2017.10.22  자연에 대한 예의 우리농 본부  96
206 2453호 2017.09.24  가장 많이 피는 꽃 우리농 본부  109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