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이를 구원하시는 하느님

가톨릭부산 2015.10.16 07:32 조회 수 : 38

호수 2287호 2014.08.17 
글쓴이 도정호 신부 

모든 이를 구원하시는 하느님 

도정호 신부 / 장림성당 주임

세상을 창조하고 우주를 창조하신 하느님은 모든 인류의 하느님이십니다. 인간을 사랑해서 인간에게 모든 것을 주신 하느님은 어느 한 민족만의 하느님이 아닙니다. 아랍인, 유대인을 차별하고 구분하는 분이 아니고 모든 인간을 구원하시려는 하느님이십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예수님은 그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살아 계시다고, 하느님 나라가 우리 가운데에 있다고 쉽게 설명해 주시고, 알려주시고, 보여주신 분이십니다. 하느님을 보여주기 위해 죽은 사람도 살리시고, 아픈 사람을 치유해주시고, 용서를 베풀면서 사람답게 살 수 있도록 해 주신 분이십니다. 그래서 예수님을 만난 모든 사람들은 예수님을 선하고 인자하고 자비롭고 좋은 분이라고 증언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복음 말씀에 나오는 예수님은 우리가 평소 알고 있던 예수님의 모습이 아닌 것 같습니다. 귀찮아하는 듯, 사람을 구분하는 듯, 어려움에 처한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자비를 베풀고 싶지 않은 듯한 인상마저 주고 있습니다. 

예수님과 가나안 여인이 만난 시대는 가나안 사람들이 이스라엘 민족으로부터 온갖 멸시를 받고 무시를 당했던 시대였고, 구원에서조차 제외된 것인 양 유대 종교 지도자들이 이야기하던 시대였습니다. 이스라엘 민족들은 자기 민족이 아니면 (오늘 복음의 표현에 따르면) 강아지 취급을 했었던 시대였습니다. 유대인이었던 예수님께서 가나안 여인과 대화도 하고 여인의 간청도 들어준 이 일은 그 시대의 상황을 참고로 한다면 당시 사회에 엄청난 물의를 일으키신 셈입니다. 예수님은 가나안 여인에게 왜 그렇게 하셨을까요?

예수님은 당시 사람들이 가졌던 사고의 틀을 깨고자 하신 듯합니다. 사람들은 편을 가르고 자기 민족과 다른 민족을 구분 짓고 있지만, 하느님 당신께는 모두가 사랑하는 자녀들입니다. 하느님 당신께는 모두가 구원하시려는 자녀들입니다. 그래서 하느님은 이스라엘 민족이니까 챙기고 가나안 사람이라서 차별하는 분이 아니라고, 하느님은 당신을 믿는 사람과 믿지 않는 사람도 차별하지 않으시는 분이라고, 모든 이의 하느님이시라고 가르쳐주고 계시는 겁니다. 가나안인, 유대인 구분한 것은 사람이었습니다. 가진 것이 없다고 무시하고, 힘이 없다고 무시한 것은 같은 사람이었지 하느님이 아니었습니다. 하느님께는 차이가 없는 똑같은 사람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잘못된 판단과 시각, 사고방식을 깨뜨리고 계십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607호 2020.07.26  기쁨의 삶 file 김정욱 신부 
2573호 2019.12.15  2019년 12월 15일 대림 제3주일(자선 주일) file 문성호 신부 
2330호 2015.05.31  삼위일체 대축일 김윤근 신부 
2322호 2015.04.05  부활의 삶을 사는 그리스도인 황철수 주교 
2306호 2014.12.25  예수님을 만나는 성탄 황철수 주교 
2287호 2014.08.17  모든 이를 구원하시는 하느님 도정호 신부 
2216호 2013.05.19  교회의 역할 그리고 소통 김성남 신부 
2208호 2013.03.24  십자가로 생명을 얻는 부활 오창일 신부 
2149호 2012.02.26  새로운 삶을 시작할 기회인 사순 시기 전열 신부 
2058호 2010.07.18  빼빼로에 가려진 농민 이동한 신부 
2001호 2009.07.12  인생 여행 권경렬 신부 
1985호 2009.03.22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하느님(요한 3, 16) 백성환 신부 
1964호 2008.11.09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이윤벽 신부 
2669호 2021.09.19  신앙이 다시 불타오르기를 file 김형길 신부 
2660호 2021.07.18  “좀 쉬어라.” file 노우재 신부 
2638호 2021.02.14  내 안의 코로나 file 김종엽 신부 
2632호 2021.01.03  이제는 우리의 공현을··· file 김원석 신부 
2597호 2020.05.17  그분이 나에게 하신 일들을 들려주리라. file 김성규 신부 
2577호 2020.01.01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53차 세계 평화의 날 담화 (요약) 프란치스코 교황 
2335호 2015.07.05  거룩한 죽음 김근배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