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시멘트 2

가톨릭부산 2015.10.16 06:59 조회 수 : 25

호수 2016호 2009.10.09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시멘트에 산업폐기물을 넣어서 만든다는 애기를 지난번에 했습니다. 정부나 시멘트 업계에서는 골치 덩어리인 국내의 산업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으니까, 그 정도는 감수해야 한다고 하지만, 사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만 처리하는 게 아니라, 외국에서 발생한 산업 쓰레기도 돈을 받고 수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전에는 일본의 화력발전소에서 타고 남은 석탄재를 수입해서 시멘트를 만들었는데, 그 석탄재에는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기준치를 훨씬 초과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런데도 연간 100만 톤이나 수입합니다. 정부나 시멘트 업계에서는 선진국에서도 시멘트를 만드는데 산업폐기물을 투입한다고 주장합니다. 맞는 애기입니다. 하지만, 외국은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기준치를 넘어가는 제품은 시장 출하를 금지시킨 게 벌써 20년 전 일입니다. 먼지부터 중금속, 방사성물질까지 수십 가지의 항목에 일일이 기준치를 정하고 검사를 합니다. 그러니까, 일본이나 미국산 시멘트에서는 발암물질인 전혀 나오지 않거나 극히 미량이 나오는데, 우리나라의 시멘트는 납, 카드뮴, 수은, 니켈, 같은 중금속에 발암물질인 6가 크롬이 외국의 기준치를 훨씬 초과해서 검출됩니다. 몇 년 전부터 이런 쓰레기 시멘트에 대해서 문제점과 그 대안을 제시한 한 시민이 있습니다. blog.daum.nat/cbs5012 이곳에 들어가면 쓰레기 시멘트 문제뿐 아니라 지금 정부에서 4대강에 벌이려는 시멘트 공사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상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45 1996호 2009.06.14  환경의 날 - 당신은 지금 무얼 하고 계십니까? 생명환경사목  97
44 2220호 2013.06.16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돌잔치 우리농 본부  98
43 2486호 2018.04.29  감물에서 온 편지 - 농부의 시간 김준한 신부  98
42 2042호 2010.03.28  무궁화와 버드나무 생명환경사목  99
41 2126호 2011.09.25  위험한 헤나 생명환경사목  99
40 2453호 2017.09.24  가장 많이 피는 꽃 우리농 본부  102
39 2128호 2011.10.09  위험한 피어싱 우리농본부  106
38 2296호 2014.10.19  우리농과 가톨릭 유아생태교육 우리농 본부  107
37 2355호 2015.11.22  작은 것에서 출발하기 우리농 본부  107
36 2106호 2011.05.22  곰국을 끓이면 생명환경사목  108
35 2263호 2014.03.09  우리농은 “우리 교회 각 사제관의 부엌에서부터” 우리농 본부  109
34 2462호 2017.11.26  흘러넘치는 생명 우리농 본부  109
33 2112호 2011.07.03  통밀과 백밀 생명환경사목  113
32 2071호 2010.10.10  편리한 건전지, 무서운 건전지 생명환경사목  114
31 2002호 2009.07.19  농민주일과 윤봉길 의사의 '농민 독본' 생명환경사목  115
30 2259호 2014.02.09  유기농이 아닌 우리농! 우리농 본부  121
29 2056호 2010.07.04  피라미드의 신비, 양파의 신비 생명환경사목  123
28 2087호 2011.01.16  감기와 항생제 생명환경사목  123
27 2079호 2010.12.05  형광등과 형광증백제 생명환경사목  129
26 2397호 2016.08.28  김영란법과 농민 우리농 본부  13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