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시멘트

가톨릭부산 2015.10.16 06:58 조회 수 : 33

호수 2013호 2009.09.24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물 맑고 공기 좋은 강원도 영월군 서면 지역에는 시멘트 공장이 세 곳이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시멘트의 20% 이상을 생산 하는 지역입니다. 국립 암 센타에 의하면 이 지역 주민들의 후두암 발생율이 다른 지역 보다 348%나 높았다고 합니다. 보통 후두암 하면 담배를 생각하지만, 유해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시멘트 분진도 후두암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1999년부터 우리나라 시멘트 제조 공정에 산업폐기물을 사용할 수 있게 폐기물 관리법이 개정되었다는 점입니다. 원료에도 산업폐기물을 넣어도 되고 유연탄 대신에 산업폐기물을 태워도 된다고 법을 개정한 것입니다. 정부로서는 골치 아픈 산업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어서 좋고 시멘트 업계에서는 원료와 연료비용을 줄일 수 있으니 모두에게 득이 되는 것이었지요. 그런데 어떤 산업 폐기물들이 들어가느냐면, 화력발전소에서 나온 석탄재나 제철소에서 나오는 폐 주물사와 철 쓰레기, 하수종말처리장의 하수찌꺼기, 소각장의 소각재 등이 다 들어갑니다. 모두 다 중금속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들이죠. 그리고 시멘트를 만드는 소성로를 가열시키는데 유연탄 대신, 폐타이어와 폐플라스틱, 폐비닐, 폐고무, 폐 페인트 등을 섞어서 태웁니다. 자, 그러면 이 모든 쓰레기들이 섞인 결과, 발암물질인 6가 크롬 등 유해물질이 다량 함유된 시멘트가 나오고, 그 시멘트로 집을 짓고 그 속에서 우리가 살아가게 됩니다. 또한 그 시멘트로 이제 물 속에 보를 만들어 4대강 정비를 하고나면 또 그 시멘트 물을 우리가 먹어야 됩니다. 과연 안전할까요?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음 호에 계속)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45 2052호 2010.06.06  참나무는 없다 생명환경사목  61
44 2050호 2010.05.23  4대강 생명 평화 미사 강론 생명환경사목  16
43 2048호 2010.05.09  할미꽃과 아카시아 생명환경사목  35
42 2046호 2010.04.25  맑은 실개천을 다시 볼 수 있을까? 생명환경사목  55
41 2044호 2010.04.11  이스터 섬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6
40 2042호 2010.03.28  무궁화와 버드나무 생명환경사목  106
39 2040호 2010.03.14  사순, 초록 회개와 서약 - 물과 먹을거리 생명환경사목  35
38 2038호 2010.02.28  엘리베이터 앞에서 생명환경사목  37
37 2036호 2010.02.14  된장, 최고의 발효식품 생명환경사목  61
36 2034호 2010.01.31  평화의 날 담화문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9
35 2032호 2010.01.17  쩨쩨해 보여서 싫은 가요? 생명환경사목  52
34 2030호 2010.01.03  2010년,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  10
33 2026호 2009.12.17  예수님의 성탄과 6도의 악몽 생명환경사목  30
32 2024호 2009.12.03  폐휴대폰 수거 캠페인 생명환경사목  50
31 2022호 2009.11.19  장난감 살 때는 KPS 마크를 확인하세요 생명환경사목  231
30 2020호 2009.11.05  수렵 제도 바로 알기 생명환경사목  50
29 2018호 2009.10.22  만땅, 혹은 가득 채워주세요 생명환경사목  151
28 2016호 2009.10.09  쓰레기 시멘트 2 생명환경사목  31
» 2013호 2009.09.24  쓰레기 시멘트 생명환경사목  33
26 2011호 2009.09.11  4대강 개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응답 생명환경사목  22
주보표지 강론 누룩 교구소식 한마음한몸 열두광주리 특집 알림 교회의언어 이달의도서 읽고보고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