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93호 2016.07.31 
글쓴이 김준한 신부 

군식구는 없다

김준한 신부 / 감물생태학습관 행정부관장 jhkim7291@gmail.com

 해발 300m의 감물생태학습관은 조용한 시골 마을을 낀 둘레길 너머로 적당히 큰 저수지를 곁에 두고 있습니다. 평지보다 훨씬 쾌적한 기후다 보니 여름 모기가 그리 기승을 부리지 않는 것도 한 가지 좋은 점이라고 하겠습니다. 이곳에서 살며 깨닫게 되는 것 중 하나는 자연은 식물만이 아니라 자세히 들여다보면 곤충도, 동물도 참 많다는 당연한 사실입니다. 꽃과 나무의 아름다움을 예찬하던 이들도 이름 모를 벌레며 곤충, 거기다 산짐승이라도 출몰하게 되면 기겁을 하게 됩니다. 혹 그중 하나가 내 옷 속으로 들어오거나 입으로 들어가는 날이면 큰일이라도 일어난 양 온갖 호들갑을 떨어서라도 그 악의 무리를 제거하려고 애쓰게 됩니다. 바로 그것이 오랜 시간 우리가 익혀온 근대적 위생관념의 기본이었는지도 모릅니다. 서양의 한 생태학 교과서에 우리가 숨을 쉴 때 허파로 들어오는 무수한 탄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나폴레옹의 몸을 잠시 구성했다는 말이 적혀 있답니다. 도대체 이 자연 속에서 인간과 다른 피조물을 갈라 세워 그 불결함을 주장할 근거가 어디에도 없다는 것입니다. 미국 출신의 백인 여의사 말로 모건이 호주 원주민들과 함께 걸어서 대사막을 횡단하는 여행 중 겪은 일을 기록한『무탄트 메시지』를 보면 수백만 마리의 덤불파리에 대한 체험, 곧 온몸을 뒤덮을 뿐만 아니라 코와 귀와 입속까지 밀려드는 파리에 대한 끔찍한 체험이 나옵니다. 그러나 원주민은 귀와 코와 피부를 포함한 몸 구석구석을 다니며 노폐물을 제거해주는 파리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지혜를 가르쳐줍니다. 참으로“하느님께서 깨끗하게 만드신 것을 속되다고 하지 마라.”(사도 10, 15)는 말씀을 다시 기억하게 합니다. 그렇게 감물생태학습관이 전하는 아주 작은 메시지는 이처럼 이 세상 어떤 것도 군식구는 없다는 것, 다 그 존재 자체로 의미 있고 소중한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5 2098호 2011.03.27  나무 한 그루 생명환경사목  12
24 2100호 2011.04.10  친환경 재생용지 생명환경사목  251
23 2102호 2011.04.24  부활의 기도 생명환경사목  23
22 2104호 2011.05.08  방사능을 예방하는 게 가능할까? 생명환경사목  26
21 2106호 2011.05.22  곰국을 끓이면 생명환경사목  108
20 2108호 2011.06.05  토마토가 빨갛게 익으면 생명환경사목  157
19 2110호 2011.06.19  보리는 고개를 숙이지 않습니다 생명환경사목  146
18 2112호 2011.07.03  통밀과 백밀 생명환경사목  113
17 2114호 2011.07.17  농민의 주님 생명환경사목  11
16 2116호 2011.07.31  더위가 찾아오네요 생명환경사목  9
15 2118호 2011.08.14  냉장고 속 의약품 생명환경사목  23
14 2121호 2011.08.28  안약은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생명환경사목  52
13 2123호 2011.09.11  도자기! 알고 씁시다. 생명환경사목  76
12 2126호 2011.09.25  위험한 헤나 생명환경사목  99
11 2367호 2016.01.31  감물에서 온 편지 - 미래를 위한 스펙 김준한 신부  161
10 2384호 2016.05.29  감물에서 온 편지 - 주님을 만나는 들녘 김준한 신부  75
» 2393호 2016.07.31  감물에서 온 편지 - 군식구는 없다 김준한 신부  163
8 2406호 2016.10.30  벼가을은 다 했나? 김준한 신부  77
7 2419호 2017.01.29  감물에서 온 편지 - 겨울 단상 김준한 신부  79
6 2432호 2017.04.30  감물에서 온 편지 - 원자시계와 하늘의 징조 김준한 신부  5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