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생명

가톨릭부산 2016.07.20 10:19 조회 수 : 76

호수 2392호 2016.07.24 
글쓴이 우리농 본부 

더불어 생명

우리농 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얼룩백이 황소가 /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정지용 시인의 시,‘향수(鄕愁)’ 1연의 한 구절입니다. 해설피, 곧 해가 질 무렵 저녁놀에 물든 하늘을 바라보며 큰 소가 긴 울음을 우는 목가적인 분위기가 물씬 풍겨, 참으로 농촌을 사랑하게 만드는 시입니다. 농사일의 시작과 마찬가지인 논과 밭의 흙을 갈아엎는 일에 한몫을 하는 소가 젖소마냥 얼룩덜룩하다는 사실이 신기합니다. 일제가 1920년대 말부터 우리나라 소를 누런색으로 통일시키고, 1970년대 한우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한우 개량 사업이라는 걸 펼치면서 누런색 소만 남았지만 그전까지는 소의 색깔이 다양했다는 증거입니다. 물론 이 시의 얼룩백이 황소는 충청도의 칡소로 그 명맥을 간신히 잇고 있지만 다양한 소는 어느새 소리소문없이 다 사라지고 만 것입니다. 어차피 인간에 기대어 살게 된 짐승이라도 그 다양성을 파괴하는 것은 결코 건강한 일일 수는 없습니다. 한 가지 작물이 똑같은 색깔과 모습으로 광활한 들판, 이 끝에서 저 끝까지 가득 채우는 것이 능사만은 아닙니다.‘대파 옆의 토마토’처럼 함께 어울릴 때, 대파 특유의 냄새로 토마토에 꼬이는 벌레를 막아주고, 뿌리를 깊게 내리는 토마토와 뿌리를 얕게 내리는 대파가 서로 뿌리를 통해 영양분을 주고받으며, 지주를 세워 곧게 위로 자라는 토마토 곁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키 작은 대파가 자라게 할 수 있습니다. 그 외‘고추와 들깨’,‘참깨와 호박’처럼 서로의 존재만으로 힘이 되고 격려가 되는 생명의 원리는 우리를 나 아닌 다른 이와의 관계 속에서 더 건강하게 살아가게 해줍니다. 이처럼 더불어 살아가는 하느님 나라는 개인 간의 관계에 대한 고도의 심리적인 진단을 거치지 않고서도 때론 이처럼 농촌에서 펼쳐지는 창조의 신비 앞에서 그 빛을 발할 수 있음을 기억했으면 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45 2081호 2010.12.19  전기 흡혈귀 생명환경사목  20
44 1982호 2009.03.01  녹색 성인 힐데가르트와 초록 회개 생명환경사목  20
43 1975호 2009.01.11  야채와 친해지는 법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20
42 2347호 2015.09.27  동상이몽(同床異夢) 우리농 본부  19
41 2321호 2015.03.29  새벽형 인간 우리농 본부  19
40 2294호 2014.10.05  한 뼘 더 소중한 것 우리농 본부  19
39 2222호 2013.06.30  올 여름은 자연과 이웃과 더불어 우리농 본부  19
38 2206호 2013.03.10  망설이지 마시고 우리농 본부  19
37 2145호 2012.01.29  2012년, 이 시대 진정한 영웅 우리농본부  18
36 2136호 2011.12.04  작은 것이 아름답습니다 우리농본부  18
35 2011호 2009.09.11  4대강 개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응답 생명환경사목  18
34 1988호 2009.04.12  생태적 예수의 부활 생명환경사목  18
33 2281호 2014.07.13  쌀에 대한 단상 우리농 본부  17
32 2279호 2014.06.29  도시의 생존 전략 우리농 본부  17
31 2342호 2015.08.23  인간을 품고도 넉넉한 자연 우리농 본부  16
30 2288호 2014.08.24  음식은 과학이 아닙니다! 우리농 본부  16
29 2231호 2013.08.25  함께 걸어보실까요? 우리농 본부  15
28 2228호 2013.08.11  쓰레기통에 넣기 전에 우리농 본부  14
27 2226호 2013.07.28  우리 모두 여름휴가를 친환경 휴가로 우리농 본부  13
26 2149호 2012.02.26  농민들의 아픔을 우리들의 아픔으로 우리농본부  1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