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있다!

가톨릭부산 2016.07.06 10:09 조회 수 : 83

호수 2390호 2016.07.10 
글쓴이 조영만 신부 

사람이 있다!

조영만 신부 / 메리놀병원 행정부원장 bapcho@hanmail.net

  누군가 쓰러져 신음소리를 내고 있다면, 그래서‘많이 다쳤나?’걸음을 멈추게 되었다면, 더 이상 그가 누구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인간의 신음 앞에선 개별적 인격이 아니라 보편적 생명이 늘 우선이기 때문입니다. 나 홀로 사마리아 사람이 될 수 없다면 최소한“여기 사람이 있다!”소리치겠지요, 일반적이라면. 
  신음소리를 내는 현장들의 공통점은“여기 사람이 있습니다!”노동자는 기계가 아니라고 외쳤던 청계천 봉제공장에서부터, 삶터와 일터에서 쫓겨나던 목동 철거민, 도시 노점상, 용산 세입자, 해고 노동자, 세월호 가족들 모두,“사람이 여기 있다!”는 겁니다.
  그 소리에 귀를 막고 도리어 몽둥이를 드는 집단들, 자본, 권력, 방송, 종교. 비록 고등교육을 받고 좋은 양복은 걸칠지 몰라도 야만의 민낯을 숨길 재주는 없나 봅니다. 자나 깨나 국가 안보를 걱정하고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한다는 이들의 입에서‘사람’이 나온 적은 없는 까닭은“그렇게밖에는 못 살아봤기 때문”입니다.
  자기가 살아본. 내지 살고 싶은, 사상과 자본과 권력 외에는 공감력을 상실한 이들이 의지하는 코드는 단순합니다.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봅니다. 율법학자와 레위인이 그랬던 것처럼. 그래서 그들은 오늘도‘보도지침’을 하달하고‘전관예우’를 옹호하며 밤낮으로 나라 걱정을 하십니다.
  갈수록 사람 설 자리가 없어지는 것, 그리고 사람과 이웃이 사라지는 것. 정작 해야 할 걱정을 하지 않는 사이, 그 나라 사람들 자살률은 여전히 세계 최고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6 2363호 2016.01.03  사실 혹은 진실 조영만 신부  44
35 2389호 2016.07.03  나를 바칠 그 무엇 - “내 이름 때문에” (마태 10, 22) 김상호 신부  55
34 2376호 2016.04.03  자비와 관심 조영만 신부  57
33 2357호 2015.12.06  복음이 꾸는 꿈 조영만 신부  59
32 2368호 2016.02.07  최저시급 조영만 신부  61
31 2372호 2016.03.06  돌아갈 수 있을까? 조영만 신부  65
30 2386호 2016.06.12  감춤 & 드러냄 조영만 신부  65
29 2373호 2016.03.13  힘의 방향 - “끌고 와서”(요한 8, 3) 김상효 신부  67
28 2359호 2015.12.20  외양간에서 나신, 집 없는 예수님 조욱종 신부  69
27 2365호 2016.01.17  남의 일로 공생활을 시작하신 예수님 조욱종 신부  75
26 2408호 2016.11.13  복음 정신 조영만 신부  81
» 2390호 2016.07.10  사람이 있다! 조영만 신부  83
24 2377호 2016.04.10  현실과 비현실 -“나는 고기 잡으러 가네.”(요한 21, 3) 김상효 신부  86
23 2395호 2016.08.14  반공의 국익 조영만 신부  86
22 2381호 2016.05.08  매체와 메시지 -“왜 하늘을 쳐다보며 서 있느냐?”(사도 1, 11) 김상효 신부  87
21 2358호 2015.12.13  자선의 경제학 -“못 가진 이에게 나누어 주어라.”(루카 3,11) 김상효 신부  88
20 2364호 2016.01.10  지금 여기에 -“예수님께서도 세례를 받으시고”(루카 3, 21) 김상효 신부  88
19 2394호 2016.08.07  사드(THAAD)와 금송아지 김상효 신부  91
18 2404호 2016.10.16  그대, 잘 지내시는지요? 이균태 신부  94
17 2370호 2016.02.21  영광스런 변모와 자비의 특별희년과의 연관관계 찾아보기 조욱종 신부  9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