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60호 2014.02.16 
글쓴이 김명선 신부 

율법, 그리스도인에게 걸림돌인가?

김명선 사도요한 신부 / 영성의집 원장

오늘 복음은 마태오 복음의 설교 가운데 산상설교(5장~7장)의 일부분으로 구약에서 언급된 율법의 계명에 예수님의 새로운 계명을 첨가하여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라는 말씀입니다. 복음의 첫 부분인 율법에 관한 말씀의 바탕에는 예수님을 율법의 파괴자로 보고 있는 바리사이와 율법학자들에게, 당신은 율법을 어기는 분이 아니라 율법을 완성하러 오신 분으로, 구세사 안에서 구약의 계명과 완전히 단절된 것이 아니라 구약과 연계된 새로운 구원의 완성을 위하여 오신 분임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율법에 대한 유다인의 태도에 대해서는 율법의 시편이라고 할 수 있는 시편 119장에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그 내용 안에서 율법은 하느님께 나아가는 길이요 그분의 가르침(1절 참조)임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율법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짐이나 괴로움이 아니라 바로 그들의 큰 재산이요 기쁨(14절)임을 드러냅니다. 그들은 율법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으며, 사랑하고(47절) 있으며, 율법의 실천으로 구원을 얻을 수 (166절)있다고 합니다.

유다인들은 율법을 이렇게도 긍정적으로 모든 구원의 근본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신약성경에서는 예수님께서 율법에 대한 많은 부분을 비판하시는 모습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는 과연 율법이 그리스도인들에게 걸림돌이기 때문일까요?

그렇지는 않음을 오늘 복음 말씀에서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비판적으로 말씀하시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예수님께서는 율법 자체를 문제시하거나 무시하지 않았습니다. 율법 안에도 하느님의 뜻이 담겨져 있으며, 약간의 불완전함을 지니고 있지만 당신께서 새 계명과 더불어 완성되어 구원에 이르는 길임을 오늘 복음 말씀에서 드러내고 있습니다. “내가 율법이나 예언서들을 폐지하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마라. 폐지하러 온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완성하러 왔다.”(마태 5, 17) 하심으로써 율법의 연속성 안에서 하느님의 뜻을 제대로 알고 하느님에 대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사랑을 실천하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렇다면 예수님께서는 왜 복음서 안에서 율법과 바리사이나 율법학자들에 대하여 비판적인 견해를 보이신 것일까요? 이는 율법 안에 들어있는 하느님의 뜻을 찾아 모든 이들이 편안하게 삶을 살아가게 하기보다는, 율법의 시행 세칙에 매달려 인간을 위해서 만들어주신 하느님의 계명을 사람들의 삶 속에서 오히려 올가미로 만들어버리는 ‘율법주의’를 질타하고 계심이 분명합니다. 그러므로 율법이 그리스도인에게 걸림돌이 아니라 주님 사랑의 계명의 기초이며 완성으로 나아가는 길임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083호 2010.12.26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 조동성 신부 
2049호 2010.05.16  승천하시어 우리와 함께 계시는 주님 이찬우 신부 
2033호 2010.01.24  중용의 길을 가신 스승님!(루카 4, 14∼21) 석찬귀 신부 
2018호 2009.10.22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 박갑조 신부 
2639호 2021.02.21  희망의 사순절을 만들어 갑시다. file 김현일 신부 
2616호 2020.09.27  “이 둘 가운데 누가 아버지의 뜻을 실천하였느냐?” file 이장환 신부 
2294호 2014.10.05  두 개 혹은 세 개의 세상 조영만 신부 
2277호 2014.06.15  성령, 신비, 전례 신호철 신부 
2274호 2014.05.25  세상을 향한 주님의 믿음 김종엽 신부 
2270호 2014.04.27  하느님의 자비는 하느님의 기쁨에서 나옵니다. 김원석 신부 
2260호 2014.02.16  율법, 그리스도인에게 걸림돌인가? 김명선 신부 
2039호 2010.03.07  하느님의 자비와 사랑 정영한 신부 
2024호 2009.12.03  인권과 정의 강영돈 신부 
1963호 2008.11.02  화무십일홍 정승환 신부 
2761호 2023. 6. 11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있는 빵이다. 누구든지 이 빵을 먹으면 영원히 살 것이다.”(요한 6,51) file 김두윤 신부 
2740호 2023. 1. 15  “보라, 하느님의 어린양이시다.” file 변성수 신부 
2717호 2022. 8. 7  내가 선택하지 않으면 남의 선택을 따르게 됩니다. file 이요한 신부 
2651호 2021.05.16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file 오용환 신부 
2313호 2015.02.01  치유, 하느님의 선물 강우현 신부 
2251호 2013.12.29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우종선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