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밀인가 가라지인가

가톨릭부산 2016.06.29 10:25 조회 수 : 99

호수 2389호 2016.07.03 
글쓴이 이재웅 안토니오 

나는 밀인가 가라지인가                                             

이재웅 안토니오 / 교구평협 부회장 hadan23@naver.com

  아침 일찍 서둘러 버스를 타고 도착한 구포역의 구조는 예전의 모습이 아니었다. 혼자 기차를 타본 지 20여 년이나 지났음을 새삼 느끼며, 시복시성기원 도보성지순례 출발지점인 삼랑진역을 향해 기차에 몸을 실었다. 묵주를 손에 쥔 채 바라본 창밖의 모습도 예전의 기억과는 너무나 변해 있었다.‘참 많은 세월이 흘렀구나.’생각하며 눈을 감았다. 꿈인가? 환시인가? 피범벅이 된 예수님과 그 모습을 바라보며 오열하시는 어머니의 모습이 보였다. 아니 함께 있었다. 가혹한 채찍질과 십자가 무게에 짓눌린 예수님께서 넘어지셨다. 그것도 세 번씩이나... 내 안에 있는 가시가 너무나 크고, 덩어리로 뭉쳐진 이기심, 죄의 생각과 행위가 주님을 피멍 들게 하지만, 그분께서는 십자가 형상의 그 가시덩어리를 사랑으로 껴안고 비틀거리는 모습으로 또다시 일어나셨다. 주님의 십자가... 결국 내 모습이었다. 주님이 짊어지신 그 무거운 십자가는 다름 아닌 바로 나였던 것이다.
  베네딕토 16세 전 교황님께서 추기경이던 시절 예수님이 세 번째 넘어지셨던 그 자리에서 기도하셨다는 글이 뇌리를 스쳤다.“주님, 주님의 교회는 물이 가득 차 가라앉으려는 배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주님의 밀밭에는 밀보다 가라지가 더 많아 보입니다.”지금 묵주를 손에 쥐고 있는 나는 밀일까, 가라지일까? 대답할 자신이 없었다. 내 것만 찾아 달려온 지난날이고, 그분의 길이 아닌 샛길을 따라 걸어왔음을 떠올렸기 때문이다. 밀이고 싶지만, 가라지가 아니라고 말할 수 없었다. 밀밭에 염치없이 들어온 가라지이지만, 잊고 지낸 것이 분명했다. 시복시성을 기원하면서 걷는 중에도 이런 생각이 가시지 않았다. 가라지가 스스로 밀이 될 수는 없을까? 깜부기가 보리가 될 수 있는 길은 없는 것일까? 아무리 생각해도 이 세상의 자명한 이치는 불가능이었다. 그분 능력에 힘입어 변화시켜 주시길 간절한 마음으로 청했다. 절반쯤 걸었을까. 어느 순간 위안과 평화의 그분 말씀이 한 줄기 빛으로 내 안에 들어왔다.“좋은 씨는 하늘나라의 자녀들이고 가라지들은 악한 자의 자녀들이며, 가라지를 뿌린 원수는 악마다.”(마태 13, 38∼39)
  주님! 염치없지만 저는 가라지가 아니고 싶습니다. 그 이유는 제가 가라지여서 제 부모까지 가라지로 만들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당신께서도 손수 뿌리신 씨앗이 가라지가 아니길 바라실 것입니다. 지금 비록 가라지 같은 모습일지라도 꼭 밀의 본 면목을 되찾을 것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388호 2016.06.26  힘들 때 쪼르르 달려갈 곳 박주영 첼레스티노 
2488호 2018.05.13  SNS 전교 김상진 요한 
2016호 2009.10.11  가을 타는 남자 탁은수 베드로 
2473호 2018.01.28  말하는 것의 차이 박주영 첼레스티노 
2372호 2016.03.06  응답하라 나의 추억 정재분 아가다 
2245호 2013.11.24  한 해를 보내며 … [2] 박주영 첼레스티노 
2176호 2012.08.26  수다 떠는 신부들 이창신 신부 
2387호 2016.06.19  고우십니다 김양희 레지나 
2081호 2010.12.19  성모님의 삶을 묵상하며 기도합니다. 하창식 프란치스코 
1968호 2008.12.07  ‘십당구락’과 화개 장터 이원우 아우구스티노 
2331호 2015.06.07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 김검회 엘리사 
2408호 2016.11.13  불확실한 세상, 확실한 하느님 탁은수 베드로 
2389호 2016.07.03  나는 밀인가 가라지인가 이재웅 안토니오 
2364호 2016.01.10  세례의 추억 하창식 프란치스코 
2297호 2014.10.26  두려움을 용기로 바꾸는 방법 박주영 첼레스티노 
2228호 2013.08.11  텃밭에서 만난 하느님 김상진 요한 
2559호 2019.09.08  7 rings(7개 반지)라는 팝송을 아시나요 박선정 헬레나 
2517호 2018.12.2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코헬렛 3장) ~ 어느날의 인사 김효희 젤뚜르다 
2046호 2010.04.25  교회에서 그런 일을 왜 합니까! 김종일 
2495호 2018.07.01  “불법체류자? 불법인 사람은 없습니다.” 차광준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