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89호 2012.11.25 
글쓴이 정영한 신부 

그리스도 왕은 진리와 사랑의 봉사자이시다

정영한 루도비코 신부 / 화명성당 주임

빌라도는 종교 문제에 간여할 아무런 책임이 없었지만, 예수님에 대한 고소가 정치 그리고 공공질서와 관련이 있었기 때문에 예수님께 심문하기 시작합니다. “당신이 유다인들의 임금이오?” 빌라도의 질문에 예수님께서는 다른 질문으로 답하십니다. “그것은 네 생각으로 하는 말이냐? 아니면 다른 사람들이 나에 관하여 너에게 말해 준 것이냐?” 예수님께서는 대답을 거부하시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사명은 어디까지나 영적인 차원의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하시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실 빌라도의 질문은 쉽게 답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왜냐하면, 한편으로 이방인에게 유다인의 임금은 로마 제국에 반역하는 인물을 뜻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유다인들에게는 메시아 (임금)로서 로마로부터 유다인들의 자유를 쟁취할 정치적, 종교적 해방자였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 빌라도에게 설명하시듯, 그리스도의 메시아 직분은 이 두 관념을 모두 넘어서는 것입니다. 빌라도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 말씀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죽음과 부활로 당신에 대한 고소가 거짓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주셨습니다. 진리를 말하는 이는, 당신을 재판하는 자나 고소하는 자들이 아니라, 바로 당신이심을 보여주신 것입니다.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왕권은 역설적으로 보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분은 돌아가셨지만 영원히 살아계십니다. 그분은 패배하시고 십자가에 못 박히셨지만 마침내 승리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 빌라도의 법정에 죄수로 나타나시어 ‘나는 오직 진리를 증언하려고 났으며 그 때문에 세상에 왔다.’(요한 18, 37 참조)고 대답하시지 않았던가? 사도들 이래로 그 많은 세기를 두고 그 많은 세대를 거치면서 진리 때문에 심판을 받는 사람들의 곁에 늘 예수 그리스도께서 가까이 계시지 않았던가? 그분께서 ‘영과 진리 안에서’(요한 4, 23) 사는 사람들을 위하여 꾸준히 대변하시고 변호하시는 일을 중단하신 적이 있던가? 그리고 교회도, 교회의 인간적 역사의 일부를 이루는 온갖 약점에도, 그분의 뒤를 따라 같은 말을 그치지 않는다.”(요한 바오로 2세 ‘인간의 구원자’ 12항)
결국 그리스도의 왕국은 “진리와 생명의 나라요, 거룩함과 은총의 나라이며, 정의와 사랑과 평화의 나라”입니다. 그리스도는 당신이 계시하신 진리를, 곧 세상에 대한 당신 아버지의 사랑을 받아들이고 실천하는 사람들을 다스리는 분이십니다. 그리스도의 진리와 사랑의 왕권을 인정하는 사람들은 그분의 권위를 받아들입니다. 그리하여 그리스도께서 영원하고 보편된 왕국에서 그들을 다스리시는 것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420호 2017.02.05  빛과 소금의 생활 임영민 신부 
2583호 2020.02.09  소금과 빛의 소명 file 임영민 신부 
2764호 2023. 7. 2  교황 주일을 지내며 file 임영민 신부 
2074호 2010.10.31  고집하시겠습니까? 임형락 신부 
2223호 2013.07.07  영성 생활은 잘하고 계십니까? 임형락 신부 
2428호 2017.04.02  부활의 리허설 그리고 빈무덤 file 임형락 신부 
2591호 2020.04.05  예수라면 어떻게 했을까? file 임형락 신부 
2772호 2023. 8. 27  주어진 운명대로 file 임형락 신부 
2151호 2012.03.11  십자가는 하느님의 사랑입니다. 장민호 신부 
2369호 2016.02.14  광야란? 장민호 신부 
2668호 2021.09.12  “내 뒤에 서서 나를 따르라.” file 장민호 신부 
1981호 2009.02.22  얘야, 너는 죄를 용서 받았다(마르 2, 6) 장세명 신부 
2097호 2011.03.20  하느님의 힘에 의지하여 복음을 위한 고난에 동참 하십시오(2디모 1,8) 장세명 신부 
2249호 2013.12.22  젊은 요셉의 절망과 결심, 그리고… 장세명 신부 
2449호 2017.08.27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file 장세명 신부 
2612호 2020.08.30  하느님의 일과 사람의 일 file 장세명 신부 
2793호 2024. 1. 7  잠 못 이루는 예루살렘 file 장세명 신부 
2059호 2012.05.06  열매 맺음 장용진 신부 
2377호 2016.04.10  부활, 제 차례지 말입니다 장용진 신부 
2676호 2021. 11. 7  다른 이들보다 더 하는 삶, 믿음을 더하는 삶을 위하여 file 장용진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