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명사가 아닌 동사

가톨릭부산 2015.10.15 05:16 조회 수 : 62

호수 2186호 2012.11.04 
글쓴이 최득수 신부 

사랑은 명사가 아닌 동사

최득수 안드레아 신부 / 사직성당 주임

오늘 독서와 복음 말씀은 한결같이 사랑에 관한 말씀을 들려주고 있습니다. 유대인들에게는 정확하게 말을 하면 613가지나 되는 율법들이 있었습니다. 율법이 이렇게 많다 보니, 사람들은 어느 것이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한지 그리고 율법의 핵심이 무엇인지 알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율법학자 한 사람이, 체면 불고하고 예수님께 다가와 첫째가는 계명이 무엇입니까? 하고 질문을 했던 것입니다.

그러자 예수님은 정말 명쾌하게 ‘첫째가는 계명은 이것이다.’ 하면서 그 모든 계명을 소쿠리에 담아서 걸러내고 걸러내면 마지막으로 남는 것이, 사랑이라고 하는 이 두 글자만 남게 된다고 하신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참으로 더 중요한 것은, 그 사랑은 명사가 아니라 동사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사랑이 모든 덕의 절정이며 모든 문제의 종결자가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사랑이 결코 감상적이거나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실천적이고 현실적이라는 것입니다.

오늘날 이 지구에는 수많은 종교가 있고 믿음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종교와 신앙이 우리 삶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은, 종교가 가르치는 그 사랑이 이론적인 것에 머물러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울지마 톤즈’라는 영화가 종교의 벽을 넘어서 조계종의 스님들에게까지 감동을 주었던 그 이유는 바로 실천하는 사랑의 위대함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사랑은 명사가 아니라 동사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이 세상을 사랑하여 외아들을 보내주셨습니다. 세상이 더럽고 죄가 크기에 세상을 버리고 자기에게 오라고 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이 땅으로 내려오셨고, 인간을 섬기고 더러운 세상을 깨끗하게 하려고 이 땅에 오셨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더러 ‘누구든지 나를 따르려거든 자신을 버리고 나를 따르라’는 말씀을 하십니다. 그러기에 이런 사랑에 반대 방향으로 살아가는 이는, 천 리 길을 가고 만 리 길을 가도 하느님을 만날 수 없고, 아무런 열매도 거두지 못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하느님을 본 사람은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서로 사랑하면 하느님께서 우리 안에 머무르시고 그분 사랑이 우리에게서 완성됩니다.”(1요한 4, 12)

호수 제목 글쓴이
2418호 2017.01.22  회개는 기쁜 소식인가? 이성균 신부 
2582호 2020.02.02  아버지의 집, 성전에서 file 이성균 신부 
2763호 2023. 6. 25  화해와 일치 file 이성균 신부 
2258호 2014.02.02  초 그리고 봉헌 이성주 신부 
2456호 2017.10.15  초대장을 받고서... file 이성주 신부 
2619호 2020.10.18  “정말 그것이 문제입니까?” file 이성주 신부 
2801호 2024. 2. 25  세례받은 자, 본래의 모습으로 file 이성주 신부 
2011호 2009.09.11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 이세형 신부 
2137호 2011.12.11  “당신은 누구요?”“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다.” 이세형 신부 
2285호 2014.08.10  그분만 바라보라 이세형 신부 
1976호 2009.01.18  와서 보아라! 이수락 신부 
2093호 2011.02.20  사랑의 심화와 확장 이수락 신부 
2207호 2013.03.17  죄 없는 자가 먼저 저 여자에게 돌을 던져라! 이수락 신부 
2445호 2017.07.30  하늘나라의 보물 file 이수락 신부 
2608호 2020.08.02  부족함과 감사의 기도 file 이수락 신부 
2791호 2023. 12. 31  아름다운 가정 file 이수락 신부 
2792호 2024. 1. 1  그리스도 우리의 평화 이수락 신부 
2076호 2010.11.14  하느님의 나라가 완성될 때까지 이승훈 신부 
2226호 2013.07.28  기도하는 것 이승훈 신부 
2431호 2017.04.23  평화가 너희와 함께! file 이승훈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