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79호 2012.09.16 
글쓴이 김윤근 신부 

고난받는 야훼의 종과 십자가를 지는 나

김윤근 베드로 신부 / 성가정성당 주임

오늘 제1독서는 이사야 예언자의 ‘고난받는 야훼의 종’ 이야기 네 개 가운데서 세 번째 이야기로 “그 종은 때려도 가만히 있고, 침을 뱉어도 피하지 않으며, 수염을 뽑아도 대들지 않고 바보처럼 당하기만 하는 종”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은 “그 종이 과연 누구일까?”하고 시대와 인물이 바뀔 때마다 비교해 왔지만 찾을 수 없었고 또한 “하느님이 사랑하는 종이라면 왜 그렇게 억울한 고난을 받아야 하지?” 하며 의아해했습니다.
오늘 복음 말씀에서 예수님께서는 베드로에게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라고 물으십니다. 베드로가 “스승님은 그리스도이십니다.”라고 대답하자 예수님께서는 당신이 “사람들에게 잡혀 버림을 받아 죽는다.”라고 하시면서 이사야의 고난 받는 “야훼의 종”(제1독서)을 상기시킵니다. 그러자 베드로는 “절대로 그런 일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라고 말합니다. 예수님은 베드로의 믿음의 눈을 훌륭히 여기셨지만, 예수님을 현세적 해결사로 보았던 베드로의 야심과 탐욕을 나무라시면서 “사탄아, 물러가라.”라고 하십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구원을 위해서 고난받는 종이었으며, 십자가를 짊어지는 메시아였습니다. 그래서 “나를 따르려는 사람은 누구든지 자기를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 따라야 한다.”라고 하십니다.
유대인들은 이 말씀 때문에 예수님이 메시아라는 사실을 강력하게 부인했으며 지금도 메시아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사야가 예언한 대로 예수님은 아무런 죄도 없이 끌려가시어 얻어맞고, 가시관을 썼으며, 십자가에 못 박혀 처절하게 운명하셨습니다. 사람들은 일찍이 그들의 메시아가 고난받는 종의 모습으로 오셨다는 사실을 몰랐습니다. 이것이 신앙의 아이러니입니다.
십자가는 실로 구원의 표시입니다. 예수님은 십자가의 방법으로 우리를 구원하셨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예수님처럼 십자가를 짊어지는 것에는 갈등이 많습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아프고, 억울하고, 서럽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십자가를 거부하면 거부한 사실 때문에 사탄이 됩니다. 즉, 하느님을 거부하는 자가 됩니다.
당신은 십자가의 예수님을 정말 구세주로 믿습니까? 믿는다면 행복합니다. 그러나 당신도 십자가를 져야 합니다. 여기에 놀라운 구원의 힘이 있습니다. 바로 그때 예수님께서는 당신 안에서 큰일을 하실 것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197호 2013.01.06  그리스도를 찾음과 드러냄 김영곤 신부 
2196호 2013.01.01  교황님 담화 전산홍보국 
2195호 2012.12.30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 김평겸 신부 
2194호 2012.12.25  하느님의 성탄절 선물 황철수 주교 
2193호 2012.12.23  아기 예수님을 이웃에 모셔가자, 성모님처럼… 김영호 신부 
2192호 2012.12.16  그러면 저희가 어떻게 해야 합니까 김두완 신부 
2191호 2012.12.09  주님의 길을 곧게 하라 김옥수 신부 
2190호 2012.12.02  주님 앞에 깨어있는 은혜로운 신앙의 한 해를 이기정 신부 
2189호 2012.11.25  그리스도 왕은 진리와 사랑의 봉사자이시다 정영한 신부 
2187호 2012.11.11  사랑하는 만큼 내어 놓기 박태식 신부 
2186호 2012.11.04  사랑은 명사가 아닌 동사 최득수 신부 
2185호 2012.10.28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 김근배 신부 
2184호 2012.10.21  복음의 증거자 김승주 신부 
2183호 2012.10.14  영원한 생명을 위한 삶 이찬우 신부 
2182호 2012.10.07  교구 수호자 묵주기도의 복되신 동정마리아 대축일 표중관 신부 
2181호 2012.09.30  한가위에 드리는 감사와 청원 권지호 신부 
2180호 2012.09.23  순교자의 피는 그리스도교인의 씨앗이다 윤경철 신부 
2179호 2012.09.16  고난받는 야훼의 종과 십자가를 지는 나 김윤근 신부 
2178호 2012.09.09  에파타 조옥진 신부 
2177호 2012.09.02  바리사이적인 권총 강도 염봉덕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