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목자

가톨릭부산 2015.10.15 05:02 조회 수 : 33

호수 2158호 2012.04.29 
글쓴이 김태환 신부 

착한 목자

김태환 요셉 신부 / 공무원 및 경찰사목

오늘은 착한 목자이신 주님의 뒤를 따라 많은 젊은이들이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도록 특별한 기도를 바치는 날입니다.

옛날이나 현재나 권력을 지니고 있는 지배계급이 백성을 위해 봉사하는 일은 드뭅니다. 이런 통치자를 가리켜 주님은 그들은 목자가 아니라 삯꾼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삯꾼은 양 떼에 관심이 없습니다. 그래서 위험이 닥치면 자기 목숨을 건지기 위해 양 떼를 버리게 됩니다.

그러나 착한 목자는 목숨을 걸고 양 떼를 지킵니다. 목숨을 걸고 양 떼를 지키는 착한 목자의 모습은 소년 다윗을 통해 발견됩니다. 소년 다윗이 골리앗과 싸우게 해 달라고 사울 왕에게 청할 때, 자신이 양 떼를 어떻게 지켜왔는지 말합니다. “임금님의 종은 아버지의 양 떼를 쳐 왔습니다. 사자나 곰이 나타나 양 무리에서 새끼 양 한 마리라도 물어가면, 저는 그것을 뒤쫓아 가서 쳐 죽이고, 그 아가리에서 새끼 양을 빼내곤 하였습니다. 그것이 저에게 덤벼들면 턱수염을 휘어잡고 내리쳐 죽였습니다.”(1사무 17, 34∼35)

오늘 주님께서 당신을 착한 목자라고 말씀하십니다. 착한 목자의 특징은 자기 양을 위하여 자기 목숨을 바치는 것입니다. 주님은 양 떼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목자입니다. 목숨을 바치는 행위. 그것은 요한 복음 15장 13절에서 밝힌 “친구들을 위하여 목숨을 내놓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처럼 목숨을 바치는 것은 참된 사랑, 최고의 사랑, 무한한 사랑을 의미합니다. 예수님은 우리 각자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사랑을 주고 계십니다. 여기에서 주님과 우리 사이에 일치가 이루어집니다. 이 일치가 얼마나 완전한지 마치 삼위일체이신 하느님 아버지와 아들 하느님께서 성령 하느님을 통하여 이루시는 일치와 같다고 말씀하십니다. “나는 착한 목자다. 나는 내 양들을 알고 내 양들은 나를 안다. 이는 아버지께서 나를 아시고 내가 아버지를 아는 것과 같다.”(요한 10, 14∼15)

오늘 성소 주일은 우리 가정이 거룩해지기를 기도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우리 가정이 기도하는, 사랑으로 가득한 공동체가 될 때 우리 가운데 참으로 예수님의 사랑을 가진 착한 목자가 많이 탄생할 것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616호 2020.09.27  “이 둘 가운데 누가 아버지의 뜻을 실천하였느냐?” file 이장환 신부 
2797호 2024. 2. 4  사실 나는 복음을 선포하려고 떠나온 것이다. file 이장환 신부 
2798호 2024. 2. 10  주인이 종의 시중을 드는 이유 이장환 신부 
2200호 2013.01.27  구원사업에 나서신 예수님의 결의 이재만 신부 
2408호 2016.11.13  인내하는 자, 생명을 얻으리라 이재만 신부 
2571호 2019.12.01  깨어 있어라! file 이재만 신부 
2317호 2015.03.01  세상 속에서, 세상과 함께 이재석 신부 
2528호 2019.02.03  열린 귀, 열린 마음 file 이재석 신부 
2718호 2022. 8. 14  기도와 말씀, 사랑의 불 file 이재석 신부 
2391호 2016.07.17  필요한 것 한 가지 이재원 신부 
2027호 2009.12.25  예수 성탄 대축일 이재혁 신부 
2389호 2016.07.03  오늘날의 순교의 삶 이재혁 신부 
2694호 2022. 2. 27  “편하고 따뜻한 마음” file 이재혁 신부 
2531호 2019.02.24  여러분은 원숭이입니까? 하느님의 자녀입니까? file 이재현 신부 
2721호 2022. 9. 4  하느님 나라는 치열한? 계산된 포기의 결과이다. file 이재현 신부 
2111호 2011.06.26  성체성사가 완성되는 곳 이정민 신부 
2265호 2014.03.23  하느님을 목말라 하십시오. 이정민 신부 
2626호 2020.12.06  대림절, 다시 시작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file 이정민 신부 
2742호 2023. 1. 29  행복의 조건 file 이주홍 신부 
2239호 2013.10.13  그대 감사의 삶을 살고 있는가? 이차룡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