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89호 2018.05.20 
글쓴이 염철호 신부 

창세기 1장 26절에 하느님께서 직접 주님 스스로를 칭하시며“우리”라는 표현을 사용하셨는데, 이 구절을 삼위일체 하느님에 대한 주님의 계시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염철호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jubo@catb.kr
 

 성경 전체를 하나의 이야기, 곧 하나의 드라마라고 생각한다면 충분히 가능한 해석입니다. 모든 드라마가 그러하듯 성경도 한 편의 긴 드라마라고 한다면 당연히 첫 장면에서 모든 정보를 다 제공하지는 않겠지요. 드라마의 앞부분은 앞으로 일어날 일들을 암시해 줄 뿐인데, 성경의 경우는 하느님의 말씀이나, 예언자들의 예언들, 그리고 여러 사건들이 그러한 역할을 합니다. 이제 앞서 암시된 요소들은 이야기가 진행되며 하나씩 그 의미를 드러낼 것인데, 창세 1,26의“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물론, 독자는 이 대목을 읽기 전에 이미 하느님의 영이“우리”에 해당하는 구성원임은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창세 1,2 참조) 그리고 이 성령께서는 구약과 신약을 넘나들며 성경 드라마 전체에서 다양하게 활동하시며, 예수님을 잉태하는데도 큰 역할을 하고 계시다는 점을 알고 있습니다.“우리”에 예수님도 포함된다는 것은 신약성경을 읽을 때 비로소 알게 되는바 입니다. 신약성경은 육을 취하신 예수님이 바로 태초부터 하느님 곁에 계셨던 말씀, 곧 하느님이었음을 명시적으로 알려주기 때문입니다.(요한 1,1∼18) 이렇게 보니, 신약성경까지 다 읽게 된 독자는“우리”가 삼위일체 하느님을 암시한 것이라고 충분히 생각할 수 있습니다. 어찌 보면 신약의 빛으로 구약의 모든 구절을“다시 읽기”하는 이들이 그리스도인이며, 오직 성령의 인도로 예수님을 주님이라 믿고 고백하는 이들, 곧 구약의 모든 이야기가 예수님께로 귀결된다는 것을 믿는 이들만이“우리”라는 표현에서 삼위일체의 신비를 읽어낼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96 2409호 2016.11.20  겸손하라는 성경 말씀이 있습니다.(1베드 5, 5 참조) 어느 정도 겸손해야 하나요? 요즘은 자기 표현(PR)시대인데 교만하지만 않으면 되지 않나요? 염철호 신부  318
95 2414호 2016.12.25  성경의 가르침과 현실 사이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 일인지 분간이 잘 가지 않습니다. 염철호 신부  121
94 2419호 2017.01.29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용서는 무조건적인 용서를 말하나요? 불의는 당연히 발고(發告)하고 벌을 받는 것이 맞는데 용서를 해야 한다니 현실적이지 못한 것이 아닌지요? 염철호 신부  191
93 2424호 2017.03.05  왜 하느님은 카인과 아벨 가운데 아벨의 제물만 굽어보시는 건가요? 하느님은 사람을 차별하는 분이신가요? 염철호 신부  316
92 2429호 2017.04.09  하느님은 인간을 당신 모습에 따라 창조하셨다고 말하면서(창세 1, 27 참조), 왜 당신처럼 완전무결하게 만들지 않으셨는지 궁금합니다. 염철호 신부  140
91 2434호 2017.05.14  창세기에서 야곱은 어머니 레베카의 계략에 따라 형 에사우의 복을 가로챕니다. (창세 27, 1∼40 참조) 인간적 술수로 하느님의 축복을 가로챌 수 있는 것인가요? 염철호 신부  277
90 2439호 2017.06.18  레지오 중 묵주기도를 하는데, 기도문을 바꾸어도 괜찮다고 해서 기도문 중“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를“가시관 쓰신 예수님은 복되시나이다.”혹은“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은 복되시나이다.”등으로 바꿔 기도합니다. 괜찮을까요? 염철호 신부  189
89 2444호 2017.07.23  개신교에서는 하느님의 이름이 여호와라고 그러고 가톨릭은 야훼라고 그러는데 왜 그런가요?' 염철호 신부  179
88 2449호 2017.08.27  마리아와 마르타 이야기(루카 10, 38∼42)에서 말씀만 듣는 마리아가 열심히 시중드는 마르타보다 더 좋은 몫을 택했다는 예수님 말씀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염철호 신부  349
87 2454호 2017.10.01  욥기를 읽다 보면 친구들이 하는 말이 얄밉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틀린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하느님은 왜 욥의 친구들을 야단치실까요? 염철호 신부  141
86 2459호 2017.11.05  주님의 기도에“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라는 대목이 나옵니다. 다른 사람을 용서하지 않으면 나도 용서받지 못하는 걸까요? 염철호 신부  198
85 2464호 2017.12.10  무거운 고통이 주어질 때 욥처럼 하느님께 온전히 의탁하며 참을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요? 현실적이지 못한 말씀인 듯합니다. 참으면 복이 온다는 식의 이야기는 아니겠지요? 염철호 신부  169
84 2471호 2018.01.14  로마서 10장 10절을 보면 “마음으로 믿어 의로움을 얻고, 입으로 고백하여 구원을 얻습니다.”라는 말이 나오는데, 우리가 행하는 실천은 구원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건가요? 염철호 신부  265
83 2477호 2018.02.25  요나 4장 1절에서 예언자 요나는 니네베 사람들이 회개하여 하느님께서 재앙을 거두시자 매우 언짢아 화를 내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119
82 2483호 2018.04.08  마지막 날 부활 때 헤어진 가족들을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부모님께서 아프실 때 해드리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쉽습니다. 다시 만나면 꼭 해드리고 싶은 것이 있어요. 염철호 신부  305
» 2489호 2018.05.20  창세기 1장 26절에 하느님께서 직접 주님 스스로를 칭하시며“우리”라는 표현을 사용하셨는데, 이 구절을 삼위일체 하느님에 대한 주님의 계시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염철호 신부  113
80 2495호 2018.07.01  창세 18,2에 아브라함을 찾아온 세 분의 천사가 하느님으로 밝혀지는데, 주님께서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습으로 찾아오신 것으로 이해하면 되는지요? 염철호 신부  161
79 2502호 2018.08.19  여러 책에서 아마겟돈에서 인류 최후의 전쟁이 벌어진다고들 말하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염철호 신부  108
78 2508호 2018.09.30  하느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이 사이에서 태어난 나필족(창세 6,4)이 하늘에서 떨어진 타락한 천사들이라는데, 정말인가요? 염철호 신부  326
77 2514호 2018.11.11  최근 들어 자신들이 하느님인양 죽지 않는다고 믿는 이들이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5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