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86호 2018.04.29 
글쓴이 장재봉 신부 

레지오 회합에서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구원송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장재봉 신부 / 선교사목국장 gajbong@hanmail.net
 

  1917년 파티마의 성모님 발현 이후에 널리 알려진‘구원송’은 1956년 교황청의 인준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레지오 마리애는‘구원송’이 포함되지 않은 묵주기도를 계속 해오고 있었지요. 1998년 한국 세나뚜스 협의회는 한국의 레지오 마리애가 전 세계 레지오 마리애와 일치를 도모하는 차원에서 설립 초기부터 바치던 묵주기도와 그 전 후에 바치는 시작기도, 까떼나, 마침기도 안에 구원송의 내용이 함축적으로 포함된 사실에 의거하여 한국의 모든 레지오의 회합이나 행사에서 묵주기도 중‘구원송’을 바치지 않도록 결정했습니다. 사실 구원송에“예수님 저희 죄를 용서하시며 저희를 지옥 불에서 구하시고”라는 부분은 마침기도의“어둠과 죽음의 그늘 밑에 있는 모든 이를 깨우치렵니다.”와“죄로 죽은 영혼들을 다시 살아나게 하렵니다.”는 부분과 흡사합니다. 구원송의“연옥 영혼을 돌보시며 가장 버림받은 영혼을 돌보소서.”라는 부분 또한“세상을 떠난 모든 신자들의 영혼이 하느님의 자비로 평화의 안식을 얻게 하소서.”라는 마침기도와 뜻을 같이 합니다. 하지만 부산 바다의 별 레지아 산하 레지오 마리애는“각 본당의 영적 지도자의 요청이 있을 시에 해당 평의회나 행사에서‘구원송’을 바칠 수도 있다.”라고 명시하여 필요에 따르도록 지시하였습니다. 물론 레지오 단원, 개인이 바치는 묵주기도에서도‘구원송’을 바칠 수 있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36 2347호 2015.09.27  시몬 베드로의 장모 치유 이야기(마르 1, 29∼31)에서 장모의 열병은 처자식 내팽개치고 예수님만 따라다니던 사위 때문에 얻은 화병인가요? 염철호 신부  461
335 2436호 2017.05.28  성전에 비치하는 것은 몰라도 성수를 가정에 두는 것은 왠지 기복적인 느낌이 듭니다. 장재봉 신부  459
334 2398호 2016.09.04  저는 성당에서 주일학교 교사로 봉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성당에서 학생들이나 다른 사람들에게는 정말 친절한데, 집에서 자녀나 남편, 부모 등 가족에게는 함부로 대하는 저의 모습을 발견하게 됩니다. 가족을 더 사랑해야 하는데 마음대로 되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권순호 신부  445
333 2327호 2015.05.10  저는 묵주기도나 9일기도 등 다양한 기도를 매일 열심히 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다 보니 기도 지향도 많아지고 기도 시간도 많이 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기도가 부담스럽고 기도에 지친다는 느낌이 듭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권순호 신부  441
332 2401호 2016.09.25  지는 게 싫었고 능력 있는 친구를 보면 미웠고 이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예능전공이라서 의사 친구들보다 못한 처지로 살게 하다니, 하느님은 너무 불공평합니다. 하느님께서 옆에 있으면 진짜 한 대 확 때리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440
331 2351호 2015.10.25  진복팔단(마태 5, 3∼12; 루가 6, 20∼23)을 읽을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예수님께서 가난한 사람이나 슬퍼서 우는 사람들이 행복하다고 말씀하셨는데, 그 반대가 행복한 것이 아닌가요? 권순호 신부  438
330 2458호 2017.10.29  아들 둘을 키우고 있는 어머니입니다. 큰아들은 공부도 잘하고 항상 제 말을 잘 듣는 반면 둘째는 공부도 못하고 항상 말썽만 부리고 반항만 합니다. 자연히 두 아들을 비교하게 되고, 큰아들에게 애정이 더 가게 됩니다.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436
329 2219호 2013.06.09  마음에 평화를 얻기 위해 성당에 와 세례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신앙생활을 해도 여전히 마음에는 갈등이 생기고, 상처도 생깁니다. 생활 속에서 부딪히는 어려움 때문에 마음이 괴로울 때도 잦습니다. 어떻게 하면 마음이 평화로울 수 있을까요? 홍성민 신부  428
» 2486호 2018.04.29  레지오 회합에서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구원송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장재봉 신부  427
327 2456호 2017.10.15  복사도 하고 착하기만 하던 아이가 중학생이 된 후에는“왜 종교를 강요하느냐?”며 따집니다. 무어라 답을 해야 좋을지 모르겠고 속상합니다. 도와주세요. 장재봉 신부  417
326 2373호 2016.03.13  매월 한 번 봉사 활동을 하러 근처 요양병원에 갑니다. 하지만, 노인들을 위해 봉사할 때 마음속에 우러나오는 사랑의 감정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저의 본 모습을 숨기고, 가식적으로 그들을 위하는 척할 수도 없고, 그럴 바엔 봉사를 그만두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416
325 2231호 2013.08.25  성령 강림 대축일에 성당에서 성령 카드 뽑기를 하였는데, 제가 뽑은 성령의 은사는 ‘두려움’이었습니다. 그런데 저는 두려움이 성령의 은사라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반대로 하느님을 더 친근하게 느끼고, 두려운 마음이 사라져야 은총 아닌가요? 홍성민 신부  406
324 2400호 2016.09.18  감사드리며 살고자 하지만 요즘 제 삶에는 감사드릴 만한 일이 없습니다. 하는 일마다 잘 안 되고, 가족간에도 크고 작은 갈등이 늘 있어 괴롭습니다. 하루를 시작하면 제발 오늘 하루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기를 더 바라는 저에게 감사는 사치같이 느껴집니다. 홍성민 신부  399
323 2466호 2017.12.24  본당에서 직책을 피하려는 추세에 사목위원을 맡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군림하려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장재봉 신부  390
322 2446호 2017.08.06  미사에서 초를 켜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장재봉 신부  387
321 2366호 2016.01.24  하느님은 사랑이라고 하셨는데 천주교 신자들은 너무 쌀쌀맞습니다. 신심단체도 권위적이고 계급사회 같아 상처를 많이 받았습니다. 장재봉 신부  387
320 2161호 2012.05.20  제 남편은 술을 거의 매일 먹습니다. 건강이 걱정되기도 해서 잔소리를 하지만, 오히려 화를 내어서 말을 하려다 그냥 넘어가는 날이 많습니다. 요즘 알코올 중독이라는 말이 자주 들리던데, 혹시 제 남편이 중독은 아닌가 싶어서 걱정되기도 합니다. 술을 매일 마시면 알코올 중독자인가요? 홍성민 신부  387
319 2269호 2014.04.20  신천지와 같은 신흥 사이비 종교에 빠지는 사람들을 가끔 봅니다. 그들은 왜 말도 안 되는 교리를 떠드는 그런 사이비에 빠지는 것일까요? 홍경완 신부  382
318 2396호 2016.08.21  집을 방문한 지인이“성당 가니까 안 믿겠지만 우산걸이를 현관에 놓아두면 복이 나간다”는 말이 있으니 자신도 믿는 건 아니지만“치우는 게 좋지 않겠냐?”고 했습니다. 자주 오시는 분이라 상대가 편하기를 바라면서 옮겼는데, 혹시 제가 미신을 믿는 것처럼 보였을까봐 걱정이 됩니다. 장재봉 신부  375
317 2184호 2012.10.21  불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새 신자입니다. 불교에서 1년에 한 번 절에 가면 되는 데 천주교에서 왜 굳이 일주일에 한 번은 성당에 나오라고 하며 귀찮게 하는지요? 권순호 신부  374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