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학교 단상(斷想)

가톨릭부산 2016.05.25 11:14 조회 수 : 137

호수 2384호 2016.05.29 
글쓴이 전영주 바오로 

주일학교 단상(斷想)

전영주 바오로 / 교구평협 홍보분과위원장 libys@hanmail.net

  한참 어릴 때의 일이다.
  개구쟁이처럼 천방지축으로 골목을 누비며 뛰어놀던 어린아이에게 주일학교에 가는 일은 정말 큰 기쁨이었다. 같은 학년의 친구들과 성경 말씀과 연관된 재미있는 놀이를 하고, 구약성경을 만화책으로 엮은 교재가 너무나 흥미롭고 재미가 있었다. 천지창조, 아담과 하와, 노아의 방주, 모세의 이집트 탈출 이야기 등을 몇 번이나 읽으며 아주 작은 신앙의 싹을 틔우기 시작했었다. 또 신부님과 수녀님들은 언제나 웃으면서 반갑게 우리를 맞아 주셨고, 성탄절이면 여러 장기자랑과 어설픈 성극(聖劇)을 하면서도 내가 성경의 주인공이 된 듯 뿌듯함이 있었다.
  또 학교 선생님과는 달리 정겹고, 넉넉하고, 항상 눈높이를 맞춰주던 주일학교 선생님의 관심과 사랑이 그렇게 좋을 수가 없었다. 초등학교 시절 주일학교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이제는 나이가 들어 형님, 동생 하는 아주 돈독한 형제의 연(緣)으로 계속되고 있다. 세월이 흘러 중년이 되고 어린 자녀들이 어느덧 청년이 된 것을 보면서, 나의 어린 시절을 되돌아보게 되고 자연스레 지난날의 주일학교 시절이 떠오른다. 아무런 근심걱정 없이 성당 마당에서 친구들과 즐겁게 뛰놀고, 방학이면 여름성경학교에 참가하여 아주 순수한 마음으로 예수님과 만나기 위해 두 손 모아 기도했던 추억들이 아련하다.
  가톨릭 가정에서 태어나면서부터 자연스럽게 신앙을 가지게 되었고, 지금껏 큰 감응 없이 의례적인 신앙생활을 하여왔다. 너무나 익숙하였기에 감사함 없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교만함에 가득 차 있었다. 하지만 주일학교를 비롯한 어린 시절의 종교교육이 밑바탕으로 깔려있기에, 부족하지만 신앙인으로서 지금의 내가 존재함은 부정할 수 없다. 이런 참 신앙을 물려주신 부모님께 큰 감사를 드린다. 어린 시절부터 가족들이 모두 모여 아침, 저녁기도를 드리고, 언제나 자식들을 위해‘자녀를 위한 기도’를 큰소리로 바치시던 어머니의 모습이 그리워진다. 지금도 하늘나라 성모님 곁에서 장성한 자식과 손주를 위해 기도해 주고 계실 것이다.
  세태가 변하고 점점 각박해져 가는 세상에‘우리 자식의 신앙을 위해 나는 무엇을 했는가?’하는 반성을 해 본다. 어릴 적 나의 모습을 반추하며 열심히 기도하고, 매사에 감사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지금껏 주님께로부터 받은 은총에 조금이나마 보답하는 것이고 우리 자식들에게는 신앙의 모범이자 유산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호수 제목 글쓴이
2343호 2015.08.30  위대한 약속 도용희 T.아퀴나스 
2418호 2017.01.22  미사 안내를 하고 나서 박주영 첼레스티노 
2099호 2011.04.03  침묵피정 떠나실래요? [1] 김양희 레지나 
2426호 2017.03.19  “의로움의 열매는 평화를 이루는 이들을 위하여 평화 속에서 심어집니다.”(야고 3, 18) 차광준 신부 
2348호 2015.10.04  너 어디 있느냐? 이종인 디오니시오 
2499호 2018.07.29  초심을 잊지 말아야 하느님을 신뢰 할 수 있다 김상원 요셉 
2398호 2016.09.04  미국이 부러운 이유 김상진 요한 
2304호 2014.12.14  성당 문 열어놓기 김기영 신부 
2354호 2015.11.15  당신의 도구로 살기까지 김기영 신부 
2363호 2016.01.03  마음의 수분크림 탁은수 베드로 
2471호 2018.01.14  바티칸 라디오(RADIO VATICANA) 김수환 신부 
2407호 2016.11.6  온누리에 햇살 고루 나누어 주시는 주님 공복자 유스티나 
2374호 2016.03.20  성지가지를 바라보면서 류명선 스테파노 
2371호 2016.02.28  사람아, 흙으로 다시 돌아갈 것을 생각하여라! 변미정 모니카 
2375호 2016.03.27  특집 -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 -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를 맞는 평신도의 역할 도용희 토마스 아퀴나스 
2277호 2014.06.15  앗쑴! 히로시마 김기영 신부 
2236호 2013.09.22  별이 되고 꽃이 되고 박옥위 데레사 
2384호 2016.05.29  주일학교 단상(斷想) 전영주 바오로 
2397호 2016.08.28  한 개의 빵은 어디에? 정재분 아가다 
2267호 2014.04.06  진주 운석은 하느님의 편지 김상진 요한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