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운 성당 종소리

가톨릭부산 2016.05.18 10:44 조회 수 : 305

호수 2383호 2016.05.22 
글쓴이 김상진 요한 

그리운 성당 종소리

김상진 요한 / 언론인 daedan57@hanmail.net

 “뎅, 뎅, 데∼엥”
  낮 12시. 멀리서 은은하게 성당 종소리가 들려오면 집안일을 하시던 어머니는 일을 멈추고 삼종기도를 바치셨다. 그리고는 부엌으로 가셔서 점심을 차렸다. 어릴 적에 하루 세 번 들리는 성당 종소리는 우리집 시계였다. 그때 동래성당은 복천동 작은 산꼭대기에 있었고, 높은 건물이 없어 3㎞쯤 떨어진 우리집까지 잘 들린 것으로 생각된다.
  잊었던 성당 종소리가 떠오른 것은 얼마 전 울주군으로 귀농한 친구집을 방문하면서다. 친구집 뒤에 언양성당 하선필 공소가 있었다. 성당 입구의 종루는 당당했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은 듯 녹이 슬어있었다.
  요즈음 성당 종소리 듣기가 쉽지 않다. 소음민원이 늘면서 자치단체마다 종교시설에 대한 소음규제를 강화하는 바람에 성당도 함부로 종을 칠 수 없게 된 것이다.
  어릴 적 동래성당에서는 복사(현재 사무장) 할아버지가 종을 치셨다. 성체조배를 한 뒤 종을 치는 할아버지 모습은 경건했다. 한번은 복사 할아버지가 바쁘신 탓인지 성당마당에서 놀고 있는 우리들에게 종을 쳐달라고 하셨다. 주일학교의 덩치 큰 형과 함께 종탑으로 올라갔다. 키가 작아 의자를 놓고 두 명이 종 줄을 잡았다. 종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울리는 동안 우리는 종 줄에 매달려 정신없이 아래위로 오르내렸다. 몇 번을 쳤는지도 모르고 하늘이 노래서 내려온 기억이 있다.
  지금도 오래된 성당에는 종탑이 있다. 커다란 십자가 아래 네모난 구멍이 숭숭 뚫린 사각형 또는 원형 건물이 다 종탑이다. 중앙성당은 낮 12시, 오후 6시 두 번 종을 친다. 종탑이 있는 다른 성당들은 장례미사나 특별한 행사 때만 종을 친다. 옛날처럼 마음대로 종을 칠 수는 없다. 아쉽게도 요즈음 짓는 성당은 아예 종탑도 없다.
  예수 그리스도의 잉태와 강생의 신비를 깨우치고 성모님께 저희를 위하여 빌어주시라고 애원하던 삼종기도(三鐘祈禱). 그 기도 시각을 알리는 오전 6시, 낮 12시, 오후 6시면 종소리와 함께 하던 일을 멈추고 기도를 바쳤다.
  사라진 성당의 종소리가 유튜브에는 살아있었다. 반가움에 볼륨을 올리니 그렇게 평화로울 수가 없었다.
  영화‘냉정과 열정 사이’의 무대였던 이탈리아 피렌체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에는 종소리를 듣기 위해 관광객이 몰리고 있다 한다. 하지만 우리는 소음규제 때문에 성당 종도 함부로 칠 수 없다. 성당 종소리와 함께 기도 소리가 퍼지는 평화스런 모습이 그립다.

호수 제목 글쓴이
2307호 2014.12.28  스탈린이 신학생에서 독재자로 바뀐 이유 김상진 요한 
2323호 2015.04.12  노동착취 당했던 주일학교 김상진 요한 
2338호 2015.07.26  한센인 신자들의 영성을 배웁니다. 김상진 요한 
2368호 2016.02.07  장궤틀의 추억 김상진 요한 
2383호 2016.05.22  그리운 성당 종소리 김상진 요한 
2398호 2016.09.04  미국이 부러운 이유 김상진 요한 
2413호 2016.12.18  연도는 무형문화재다 김상진 요한 
2428호 2017.04.02  복자 유항검의 딸 섬이를 아시나요 김상진 요한 
2443호 2017.07.16.  어린 시절 라틴어 미사가 그립다 김상진 요한 
2458호 2017.10.29  발로 바치는 기도 김상진 요한 
2479호 2018.03.11  나도 기적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김상진 요한 
2488호 2018.05.13  SNS 전교 김상진 요한 
2497호 2018.07.15  감자밭에 계신 하느님 김상진 요한 
2507호 2018.09.23  하느님 네비게이션 김상진 요한 
2516호 2018.11.25  동방의 예루살렘-북한? 김상진 요한 
2417호 2017.01.15  사랑하고 깨어있으라 김상원 요셉 
2499호 2018.07.29  초심을 잊지 말아야 하느님을 신뢰 할 수 있다 김상원 요셉 
2721호 2022. 9. 4  베풂의 사랑 김상원 요셉 
2634호 2021.01.17  한 걸음의 용기를 ... 김삼숙 아녜스 수녀 
2778호 2023. 10. 8.  저는 돌아갈 곳이 있습니다. 김부수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