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물을 위한 창조

가톨릭부산 2018.03.21 09:31 조회 수 : 57

호수 2481호 2018.03.25 
글쓴이 우리농 본부 

만물을 위한 창조
 

우리농 본부(051-464-8495) woori-pusan@hanmail.net
 

 “한 알은 새가 먹고, 한 알은 벌레가 먹고, 한 알은 사람이 먹는다.”재밌게도 우리가 잘 아는 이 속담과 비슷한 것이 일본에도 있습니다.“씨앗은 세 알을 심는다. 한 알은 신에게 바치고, 한 알은 사람이 먹고, 나머지 한 알은 새에게 준다.”인간만이 아니라 모든 자연 만물이 하느님 창조의 풍요로움을 고루 나누어 가지는 농사 정신이 담뿍 담긴 속담입니다. 아무리 빵을 자주 먹는다손 치더라도 변함없는 우리의 주식인 쌀을 맺는 벼를 보더라도 그렇습니다. 요즘 벼는 대부분이 키가 무릎 정도밖에 오지 않지만, 토종 벼는 허리 이상으로 자라 그 키가 요즘 벼보다 2배나 큽니다. 키가 작으면 줄기에 갈 양분이 이삭에 가서 열매도 많이 달리고, 바람이나 큰비에도 쉽게 쓰러지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이상하게 토종 벼는 키가 큽니다. 평생 농사를 지었을 조상들이 이 사실을 모를 리 없었을 텐데 키가 커서 수확도 적은 벼를 선택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비록 키가 커서 수확은 적어도 더 많은 볏짚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긴 볏짚으로 초가지붕을 얹고, 소먹이도 할 뿐만 아니라, 멍석이나 가마니, 짚신 등 생활 도구를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다시 그 볏짚을 땅으로 되돌려 다음 해 농사를 위한 거름으로 쓰기도 합니다. 어쩌면 우리는 정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모릅니다. 고작해야 당장에 필요한 열매를 맺는 것 외에는 다 부산물, 굳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여깁니다. 생명의 그물망이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여 만물을 그러모아 끊임없는 사슬로 엮어 서로 돕도록 창조되었다는 사실을 자주 잊곤 합니다. 모든 문명을 뒤집고 과거로 돌아가자는 것은 아니지만, 창조의 신비가 훨씬 더 살아있던 과거를 잊는 것도 결코 미래를 위한 좋은 선택이 될 수 없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45 2387호 2016.06.19  오래된 소명 우리농 본부  59
144 2060호 2010.08.01  시원한 감잎차와 야채효소 생명환경사목  59
143 1984호 2009.03.12  세상에서 가장 쉬운 환경운동 다섯 가지! 생명환경사목  58
» 2481호 2018.03.25  만물을 위한 창조 우리농 본부  57
141 2182호 2012.11.18  따뜻한 물 적게 쓰기 운동 우리농 본부  57
140 2444호 2017.07.23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 우리농 본부  56
139 2052호 2010.06.06  참나무는 없다 생명환경사목  56
138 2361호 2015.12.27  도시를 위한 또 하나의 가능성, 농촌 우리농 본부  54
137 2157호 2012.04.22  땅을 갈고 씨를 뿌리는 농부 우리농 본부  54
136 2432호 2017.04.30  감물에서 온 편지 - 원자시계와 하늘의 징조 김준한 신부  53
135 2238호 2013.10.06  조금 불편하게 살 수 있는 용기만 있으면 우리농 본부  53
134 2242호 2013.11.03  단 하나밖에 없는 가장 소중한 우리 집 우리농 본부  52
133 2121호 2011.08.28  안약은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생명환경사목  52
132 2054호 2010.06.20  나무를 심은 사람 생명환경사목  52
131 2036호 2010.02.14  된장, 최고의 발효식품 생명환경사목  52
130 1970호 2008.12.21  뚱뚱한 산타 할아버지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52
129 2436호 2017.05.28  아무도, 아무것도 우리농 본부  51
128 2233호 2013.09.08  사람과 자연을 살리는 아름다운 가게 우리농 본부  51
127 2283호 2014.07.27  유기농 커피가 없는 우리농매장 우리농 본부  50
126 1978호 2009.02.01  질병을 일으키는 공기청정기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5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