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적 예수의 부활

가톨릭부산 2015.10.13 09:43 조회 수 : 18

호수 1988호 2009.04.12 
글쓴이 생명환경사목 

1992년 독일 환경상 ‘골덴네 슈발베’를 수상한 ‘생태주의자 예수, 의 저자 프란츠 알트는티베트의 최고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와의 TV 인터뷰에서 이렇게 물었습니다. “오늘날 종교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이 물음에 대해 달라이 라마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창조질서의 보전을 위해 함께 일하는 종교만이 오늘날 종교라는 명칭을 온전히 달고 다닐 수 있습니다.” 생태 위기의 시대에는 생태적 종교만이 치유의 종교가 될 수 있으며, 사람과 자연 생태계 전체를 건강하게 되살릴 수 있습니다. 성 골롬반 수도회 사제이며 생태 신학자인 ‘숀 맥도나휴’는 새로운 창조를 살기 위한 신앙인들의 소명을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모든 생물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라, 자연 질서와 야생의 황야를 소중히 여기라, 너희 일손으로 더럽혀지지 않은 대지의 아름다움을 소중히 여기라, 내가 이 사물들 안에 쏟아 부은 성스러움, 내가 이 사물들에게 불어넣은 빛은 소중히 여기라, 이 사물들을 온전히 보존하라.” 예수님의 부활과 함께 시작된 모든 창조물과의 평화는 봄날의 새순 속에서 창조주 하느님을 만나고 느끼는 생태적 감수성에서 시작됩니다. 생태적 감수성은 창조 질서 보전을 위해 함께 일하는 생태적 예수의 부활로 드러나고 이는 곧 모든 창조물의 부활이며, 새로운 창조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25 2508호 2018.09.30  가장 큰 거짓말 감물생태학습관  291
224 2367호 2016.01.31  감물에서 온 편지 - 미래를 위한 스펙 김준한 신부  161
223 2384호 2016.05.29  감물에서 온 편지 - 주님을 만나는 들녘 김준한 신부  75
222 2393호 2016.07.31  감물에서 온 편지 - 군식구는 없다 김준한 신부  163
221 2406호 2016.10.30  벼가을은 다 했나? 김준한 신부  77
220 2419호 2017.01.29  감물에서 온 편지 - 겨울 단상 김준한 신부  79
219 2432호 2017.04.30  감물에서 온 편지 - 원자시계와 하늘의 징조 김준한 신부  53
218 2458호 2017.10.29  감물에서 온 편지 - 불편한 동거, 생명의 창문 김준한 신부  204
217 2468호 2017.12.31  먹는 신앙 김준한 신부  69
216 2499호 2018.07.29  감물에서 온 편지 - 여름의 의미 김준한 신부  82
215 2486호 2018.04.29  감물에서 온 편지 - 농부의 시간 김준한 신부  98
214 1982호 2009.03.01  녹색 성인 힐데가르트와 초록 회개 생명환경사목  20
213 1984호 2009.03.12  세상에서 가장 쉬운 환경운동 다섯 가지! 생명환경사목  58
» 1988호 2009.04.12  생태적 예수의 부활 생명환경사목  18
211 1990호 2009.04.26  우리농 시민 초청 강연회 생명환경사목  41
210 1992호 2009.05.10  벌새 크리킨디 이야기 생명환경사목  269
209 1994호 2009.05.24  5월, 우리 아이 몸속 수은 줄이기 생명환경사목  47
208 1996호 2009.06.14  환경의 날 - 당신은 지금 무얼 하고 계십니까? 생명환경사목  97
207 1998호 2009.06.21  환경호르몬의 공포 생명환경사목  38
206 2000호 2009.07.05  환경호르몬의 피해 예방법 생명환경사목  3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