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새해 결심

가톨릭부산 2015.10.13 09:26 조회 수 : 12

호수 1974호 2009.01.04 
글쓴이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한해가 시작되었습니다. 매년 새해가 밝아오면 환경과 생명에서 한 가지씩 실천하기를 당부 드립니다. 작년에는 통조림 제품을 먹지 말자고 했습니다. 통조림이나 캔은 제품을 오래 보관하기 위해서 방부제를 넣는 것이 보통이고 부식을 막기 위해서 용기 안쪽에 코팅을 하는데, 여기에 발암물질이며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를 사용합니다. 재작년에는 껍질을 먹자고 했습니다. 모든 곡식은 영양소의 대부분이 껍질에 몰려있습니다. 그래서 백미만 먹을 게 아니라, 현미를 먹어야 하고 도정하지 않은 통곡식인 잡곡을 많이 넣어 먹자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올해는 '야채를 많이 먹자'입니다. 60년대에는 식물성 음식을 97% 먹고 동물성 음식을 3% 먹었는데, 요즘은 거의 반반씩 먹습니다. 채식 반, 육식 반. 얼핏 보면 균형이 잘 맞으니까 건강에도 좋을 것 같은데, 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고단백, 고지방의 서구식 식생활로 변해가면서 고혈압, 당뇨, 심장병 같은 성인병이 급증했습니다. 힘들게 살다 보니까, 고기 먹을 기회가 별로 없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 시기에 형성된 야채와 육류에 대한 편견이 아직까지도 이어져오는 것 같습니다. 보통 채식을 많이 하면 단백질 섭취가 부족해진다고 하는데, 이것은 오해입니다. 쌀에도 단백질이 있으며 콩에는 고기의 몇 배나 되는 단백질이 들어 있습니다. 또 채식만 하면 칼슘이 부족해서 골다공증에 걸린다고 하는데, 김이나 다시마, 미역에는 소고기보다 20에서 30배까지 칼슘이 들어있고 야채를 통해서 섭취되는 칼슘은 육류를 통해서 얻는 칼슘보다 인체에 흡수도 잘 됩니다. 건강을 위해서라도 금년에는 야채를 많이 먹어줍시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45 1965호 2008.11.16  약 먹을 때 돼지고기 못 먹는 이유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355
144 1966호 2008.11.23  껍질 옆에서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31
143 1968호 2008.12.07  귤은 껍질도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78
142 1969호 2008.12.14  약은 약사에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23
141 1970호 2008.12.21  뚱뚱한 산타 할아버지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52
» 1974호 2009.01.04  또다시,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12
139 1975호 2009.01.11  야채와 친해지는 법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20
138 1977호 2009.01.25  와리바시, 소독저, 나무젓가락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197
137 1978호 2009.02.01  질병을 일으키는 공기청정기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50
136 1980호 2009.02.15  잘 탄다, 번개탄! 속 탄다, 번개탄!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96
135 2351호 2015.10.25  생태적 빚 우리농 본부  74
134 2157호 2012.04.22  땅을 갈고 씨를 뿌리는 농부 우리농 본부  54
133 2159호 2012.05.06  오월, 지금은 모종을 심을 때 우리농 본부  96
132 2161호 2012.05.20  육식은 이제 그만 우리농 본부  12
131 2163호 2012.06.03  밥상을 받을 자격 우리농 본부  5
130 2165호 2012.06.17  살림살이에 보탬이 되는 길 우리농 본부  30
129 2167호 2012.07.01  작은 실천이 모여 지구를 살립니다 우리농 본부  20
128 2169호 2012.07.15  농민이 없는 농민 주일 우리농 본부  26
127 2171호 2012.07.29  우리가 조금만 눈을 돌리면 우리농 본부  44
126 2173호 2012.08.12  큰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를 위해 우리농 본부  3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