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지면 위험한 비소

가톨릭부산 2015.10.13 09:23 조회 수 : 46

호수 1964호 2008.11.09 
글쓴이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예전에는 아이들이 동네골목길이나 공터에서 뛰어 놀았지만, 요즘 도시에서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공간은 동네 놀이터입니다.
그런데 거의 대부분의 놀이터에는 비소가 함유된 방부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도 비소가 독성물질이라는 것을 인정합니다만, 비소를 강한 압력으로 목재 내부에 침투시키고 양생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밖으로 새어나올 염려는 없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미국, 독일, 핀란드, 칠레, 타이 같은 나라는 놀이터나 조경시설, 주거지 담장 같이 사람이 직접 접촉하는 시설물에는 방부목을 사용하지 못하게 법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덴마크, 스위스, 인도네시아 같은 나라는 아예 비소가 함유된 방부목은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있고요. 업계에서는 비소가 새어나올 염려가 없다고 하지만, 외국에서는 그럴 위험이 있다고 인정하기 때문에 사용을 금지하고 제한합니다. 선진국 가운데 비소가 함유된 방부목사용을 규제하지 않는 나라는 이제 우리나라 밖에 없습니다. 대안이 없어서 그런 것도 아닙니다. 중금속이나 비소가 들어 있지 않은 방부제를 사용해서 방부목을 만들 수 있는데도 이러고 있습니다. 게다가 오랜 기간 사용한 방부목은 비소가 새어나올 위험이 더욱 증가하게 되는데도 재활용까지 합니다. 잘게 부셔서 목재 칩을 만들어서 조경용 퇴비로 사용합니다. 화분을 구입했을 때 보면 까만색 목재 칩이 뿌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게 바로 비소가 함유된 방부목을 재활용한 것입니다. 먹지 않더라도 만지기만 해도 위험한 것이 비소입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들이 놀이터에 가지 못하게 할까요?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65 2089호 2011.01.30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생명환경사목  12
164 2092호 2011.02.13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생명환경사목  10
163 2094호 2011.02.27  구제역과 ‘우리 소 키우기 운동’ 생명환경사목  131
162 2096호 2011.03.13  사순 시기와 언플러그 운동 생명환경사목  36
161 2098호 2011.03.27  나무 한 그루 생명환경사목  12
160 2100호 2011.04.10  친환경 재생용지 생명환경사목  251
159 2102호 2011.04.24  부활의 기도 생명환경사목  23
158 2104호 2011.05.08  방사능을 예방하는 게 가능할까? 생명환경사목  26
157 2106호 2011.05.22  곰국을 끓이면 생명환경사목  108
156 2108호 2011.06.05  토마토가 빨갛게 익으면 생명환경사목  157
155 2110호 2011.06.19  보리는 고개를 숙이지 않습니다 생명환경사목  146
154 2112호 2011.07.03  통밀과 백밀 생명환경사목  113
153 2114호 2011.07.17  농민의 주님 생명환경사목  11
152 2116호 2011.07.31  더위가 찾아오네요 생명환경사목  9
151 2118호 2011.08.14  냉장고 속 의약품 생명환경사목  23
150 2121호 2011.08.28  안약은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생명환경사목  52
149 2123호 2011.09.11  도자기! 알고 씁시다. 생명환경사목  76
148 2126호 2011.09.25  위험한 헤나 생명환경사목  99
147 1963호 2008.11.02  먹으면 죽는 비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89
» 1964호 2008.11.09  만지면 위험한 비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4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