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31호 2015.06.07 
글쓴이 홍경완 신부 

갈수록 정의보다는 불의가 더 힘을 발휘하는 세상에서 정의의 하느님이 계신다면 왜 가만히 계신 것일까 하는 의심이 점점 더 많이 듭니다. 불의가 하느님께서 계시지 않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은 아닌가요? 불의와 부조리 속에서 신앙을 지킬 힘은 점점 더 약해집니다.

홍경완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학장 mederico@cup.ac.kr

모두가 정의로운 사회를 꿈꾸지만 그 결과는 참혹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하느님께 대한 신앙마저 위협할 만큼 불의와 부조리가 우리 삶의 모든 영역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아우구스티노 성인은 그 까닭을 인간의 자유의지의 남용, 곧 인간에게 허락된 자유를 잘못 사용하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고 봅니다. 불완전한 인간 본성의 결과라는 것이지요. 이런 관점에서 보면 불의와 부조리가 하느님의 부재를 말해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느님의 현존을 더 강력하게 증언해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아무리 정의롭게 살아가려 해도 마지막까지 모두에게 완전히 정의롭게 대하지는 못합니다. 그건 우리 인간의 영역과 능력을 벗어나 있습니다. 그게 불완전한 우리 인간의 한계이기도 합니다. 완전한 정의는 인간의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것이고, 그런 점에서 완전히 정의로운 인간 사회는 하느님만이 이룩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교부 테르툴리아누스(Tertulianus)가 말하는‘나는 믿는다, 부조리하기 때문에(Credo, quia absurdem)’라는 오랜 신앙의 경구를 다시 귀담아들어야 할 이유도 여기 있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56 2261호 2014.02.23  사제를 꿈꾸던 한 예비신학생이 성적 미달로 신학교 입학이 좌절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속이 상했습니다. 소중한 성소를 이렇게 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옳은가요? 홍경완 신부  137
255 2265호 2014.03.23  십자가에 대해 묻습니다. 십자가를 두고 어떨 땐 희생이라고 하고, 어떨 땐 무거운 짐이라고도 하고, 또 어떨 땐 구원, 어떨 땐 영광이라고 합니다. 헷갈립니다. 홍경완 신부  233
254 2269호 2014.04.20  신천지와 같은 신흥 사이비 종교에 빠지는 사람들을 가끔 봅니다. 그들은 왜 말도 안 되는 교리를 떠드는 그런 사이비에 빠지는 것일까요? 홍경완 신부  382
253 2273호 2014.05.18  대형참사 앞에서 할 말을 잃었습니다. 가톨릭 신자의 눈으로 이런 인재를 어떻게 보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55
252 2277호 2014.06.15  신앙의 가르침을 따라 살아가기가 무척 힘이 듭니다. 현실은 많은 경우 적당히 타협도 하고 불의도 눈감아 주면서 살아가길 요구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고지식한 사람, 완고한 사람으로 따돌림을 받기도 합니다. 신앙의 가르침을 따르며 살고 싶은데 고지식하고 완고하다는 소리를 듣기는 싫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홍경완 신부  72
251 2281호 2014.07.13  같은 하느님을 주님으로 고백하면서도 오히려 비신자보다 못한 모습으로 우리 교회에 먹칠을 하는 사람을 보면 속이 상합니다. 신앙생활을 하면서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답답합니다. 홍경완 신부  125
250 2285호 2014.08.10  성경에 우상숭배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는 구절을 자주 접합니다. 어떤 행위들이 우상숭배가 되는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홍경완 신부  269
249 2289호 2014.08.31  대학생 아들이 성당에 다니지 않으려 합니다. 하느님은 믿지만 그렇다고 꼭 성당에 다녀야만 하느님을 믿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따지는데 답을 못했습니다. 홍경완 신부  173
248 2293호 2014.09.28  딸이 갑자기 물어왔습니다.‘엄마가 믿는 하느님은 어떤 하느님이야?’‘어떤 하느님이긴, 그냥 하느님이지’라고 서툴게 답하고 말았지만 실은 대답을 못 했습니다. 내가 믿는 하느님은 어떤 하느님인가요? 홍경완 신부  90
247 2297호 2014.10.26  대학생 아들에게 왜 냉담하냐고 물었더니, 교리를 합리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워, 믿어야 할 가치를 못 찾겠다고 합니다. 어떻게 답을 해 주어야 할지 난감합니다. 홍경완 신부  67
246 2301호 2014.11.23  그러지 말자고 하면서도 하느님의 존재를 자꾸 의심하게 됩니다. 의심하는 것이 죄라는 생각이 들어 괴롭기까지 합니다. 하느님을 의심하는 것이 정말 죄가 되나요? 홍경완 신부  202
245 2305호 2014.12.21  좀 더 가지고 싶고 채우고 싶은 욕심이 자꾸 생깁니다. 남들과 비교하게 되고, 내가 뒤처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허전한데, 그게 신앙인의 자세는 아닌 듯싶어 맘이 편치 않습니다. 홍경완 신부  145
244 2311호 2015.01.18  밖으로 보이는 것들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자꾸 옷이나 가방, 신발 등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고 남들과 비교를 하고 부러워합니다. 신앙인이라면 이런 것쯤은 무시하는 것이 옳은 것 같은데 잘 안됩니다. 홍경완 신부  70
243 2316호 2015.02.22  십일조와 관련해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교무금과 2차 헌금을 포함한 주일헌금, 불우이웃돕기 성금과 몇몇 단체에 정기적으로 후원금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액을 합하면 수입의 10분의 1 정도 됩니다. 하지만 어떤 이는 교무금만 10분의 1을 바쳐야 한다고 말을 하기에, 제가 십일조를 잘못하고 있지 않은가 하고 생각되어 여쭙니다. 홍경완 신부  147
242 2321호 2015.03.29  권위적인 교회, 권위적인 성직자들이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안타깝지만 제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습니다. 이 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홍경완 신부  71
241 2326호 2015.05.03  유물론이 무엇인지는 알고 있지만 신앙과 관련해서는 헷갈립니다. 우리 신앙과 유물론은 어떤 관련에 놓여 있는지요? 홍경완 신부  69
» 2331호 2015.06.07  갈수록 정의보다는 불의가 더 힘을 발휘하는 세상에서 정의의 하느님이 계신다면 왜 가만히 계신 것일까 하는 의심이 점점 더 많이 듭니다. 불의가 하느님께서 계시지 않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은 아닌가요? 불의와 부조리 속에서 신앙을 지킬 힘은 점점 더 약해집니다. 홍경완 신부  116
239 2336호 2015.07.12  하느님은 전지전능하셔서 온 누리에 다 계신데, 왜 ‘주님의 기도’에서는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라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홍경완 신부  89
238 2345호 2015.09.13  현실에 너무 매달려 있는 자신을 볼 때마다 이건 올바른 신앙인의 자세가 아니라는 생각은 들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는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81
237 2350호 2015.10.18  하느님을 떠올리면 두렵다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 성경에도 두려운 하느님과 자비로운 하느님이 같이 등장하는데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9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