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73호 2014.05.18 
글쓴이 홍경완 신부 

대형참사 앞에서 할 말을 잃었습니다. 가톨릭 신자의 눈으로 이런 인재를 어떻게 보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학장 mederico@cup.ac.kr

세월호 침몰과 같은 대형참사는 깊은 역사적 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급속하게 진행된 자본주의의 과정에서,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이익을 창출한다는 경제적 사고나, 동물적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고자 최고의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과학 기술적 사고는 갈수록 발전하는 반면, 정의로운 거래나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배려, 생명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사고, 공동체 정신과 같은 사회적이고 도덕적인 발전은 거기에 한참 뒤처져 따라가지 못하게 되면서 사회 구석구석에서 균열이 생겨납니다. 이번 참사는 그 균열의 대표적인 현상입니다. 이게 대한민국의 부끄러운 현실입니다. 그렇지만 지금이야말로 그리스도인이 부여받은 예언자적 소명을 발휘할 때이기도 합니다. 그 소명은 정의롭지 못한 일에 눈감지 않고, 경쟁이 아니라 공존을 기치로 하는 복음적 가르침으로 내 주변을 바꾸는 작업입니다. 그게 곧 부활의 삶이기도 합니다. 부활은 겉으로는 하나도 바뀐 것이 없지만, 그 뿌리에서부터 소리 없이 조용히 변화시키는 힘입니다. 눈으로 보기에는 이전과 하나도 다르지 않지만, 모든 것이 새롭게 바뀌는 엄청난 사건이 부활입니다. 우리는 이런 부활을 고백하는 신앙인들이고, 이 고백은 온 나라가 초상집인 지금의 현실이 아무리 부끄럽고 어둡더라도 찬란한 빛을 발하는 그런 고백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56 2205호 2013.03.03  교우와의 의견이 맞지 않아 다투었습니다. 마음이 편치 않지만 그렇다고 제 생각이 잘못되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홍경완 신부  29
355 2290호 2014.09.07  저는 매일 양심성찰을 통해 자신이 죄인임을 잊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래서 항상 회개의 삶을 살려고 노력합니다. 그런데 양심 성찰 중에 어떤 잘못이 떠오르면 그것에 대한 후회 때문에 나 자신이 완전히 형편없는 사람 같아서 잠을 못 이루는 경우도 있습니다. 회개의 삶이 오히려 저를 더 우울하고 불행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권순호 신부  38
354 2303호 2014.12.07  저 자신의 모습이 못나 보여서 우울한 기분이 듭니다. 주위의 사람들이 잘되면 진심으로 축하해주고 싶은데, 제 처지랑 비교하다 보니 오히려 배가 아픕니다. 그리고 이런 제 모습이 더 못나 보여서 더 우울해집니다. 홍성민 신부  42
353 2334호 2015.06.28  화를 내면 참아주고, 항상 먼저 양보해주었더니 그것을 사람들이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습니다. 가끔은 저도 화가 나는데, 싸우기가 싫어서 그냥 혼자 분을 삭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제 안에서 화가 점점 치밀어 올라 참기가 힘이 든다는 것입니다. 홍성민 신부  46
352 2211호 2013.04.14  군대 제대하고 복학한 아들이 있는데, 중학교 때부터 컴퓨터 게임을 좋아하더니, 지금은 밖에도 나가지 않고 거의 컴퓨터 앞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학교도 잘 가지 않고, 학점도 엉망입니다. 마음 같아서는 집에서 컴퓨터를 없애버리고 싶은데, 그러면 집을 나갈까 봐 그저 기도만 드리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홍성민 신부  48
351 2224호 2013.07.14  예비신자입니다. 앞으로 신자로서 죄에 대해서 어떻게 다루고 처리해야 할까요? 장재봉 신부  49
350 2171호 2012.07.29  예전보다 생각이 많이 굳어버렸다는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 경직된 사고는 옳은 판단을 저해하는 요소라고 생각되어 없애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51
349 2514호 2018.11.11  최근 들어 자신들이 하느님인양 죽지 않는다고 믿는 이들이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52
» 2273호 2014.05.18  대형참사 앞에서 할 말을 잃었습니다. 가톨릭 신자의 눈으로 이런 인재를 어떻게 보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55
347 2159호 2012.05.06  길을 찾는 그대에게라는 컬럼제목이 눈길을 잡았습니다. 그러면서 드는 생각이 길을 찾기 위해 맨 먼저 해야 할 일이 무엇일까 라는 의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57
346 2296호 2014.10.19  성당에 다니고 싶어서 사무실로 문의하니까“교리반 모집이 끝났으니 다음에 오라.”고 하더랍니다. 너무 답답합니다. 장재봉 신부  60
345 2272호 2014.05.11  어떻게 하느님의 목소리를 알아들을 수 있을까요? 어떤 방식으로 응답해 주시는 걸까요? 응답해 주시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 건 아닐까요? 답답합니다. 장재봉 신부  62
344 2189호 2012.11.25  하느님과 약속을 한 것이 있는데 계속 지키지 못해 죄책감이 듭니다. 왠지 벌 받을 것 같은 느낌도 들고, 그래서 마음이 더 불안하고, 하느님이 두렵게 느껴집니다. 하느님과 약속하는 것이 죄가 되나요? 홍성민 신부  65
343 2515호 2018.11.18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가난한 마음이 다른 종교에서 말하는 ‘마음을 비움’(空)과 비슷해 보이는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홍성민 신부  66
342 2267호 2014.04.06  저는 고3 학생인데, 제가 요즘 스마트 폰 게임에 너무 집착하는 것 같아 고민입니다. 조금 줄여야겠다고 생각은 하는데 왜 그런지 마음대로 되지를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  67
341 2297호 2014.10.26  대학생 아들에게 왜 냉담하냐고 물었더니, 교리를 합리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워, 믿어야 할 가치를 못 찾겠다고 합니다. 어떻게 답을 해 주어야 할지 난감합니다. 홍경완 신부  67
340 2169호 2012.07.15  고해성사를 본지 너무 오래되었는데, 막상 보려니 부끄러워 고해소에 들어가지 못하겠습니다. 어떡해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69
339 2326호 2015.05.03  유물론이 무엇인지는 알고 있지만 신앙과 관련해서는 헷갈립니다. 우리 신앙과 유물론은 어떤 관련에 놓여 있는지요? 홍경완 신부  69
338 2311호 2015.01.18  밖으로 보이는 것들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자꾸 옷이나 가방, 신발 등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고 남들과 비교를 하고 부러워합니다. 신앙인이라면 이런 것쯤은 무시하는 것이 옳은 것 같은데 잘 안됩니다. 홍경완 신부  70
337 2321호 2015.03.29  권위적인 교회, 권위적인 성직자들이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안타깝지만 제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습니다. 이 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홍경완 신부  7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