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64호 2014.03.16 
글쓴이 장재봉 신부 

외인인 남편이 성지순례 중에 테러가 일어났다는 소식에 “하느님이 계신다면 이런 사고는 막아주어야 하지 않느냐?”고 하는데, 대답을 못 했습니다. 어떻게 이해시켜야 할까요?

장재봉 신부 / 활천성당 주임 gajbong@hanmail.net

얄궂고 험한 일이 생기면 하느님께 언성을 높이는 세상을 생각합니다. 그리고 틀림없는 ‘인재’의 책임마저 하느님께 돌리는 이유가 무엇인지, 왜 세상의 갖은 불상사를 하느님께서 몽땅 책임져야 하는지, 되묻고 싶습니다. 이렇게 질책당하는 주님이 얼마나 억울할까 싶습니다. 어느 누구도 하느님의 뜻을 완전히 파악하여 설명할 재간은 없습니다. 그날 그 귀한 여정이 무슨 연유로 그렇게 처참한 결과를 맞은 것인지 끝내 알아낼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그 고통의 자리에 주님이 함께 계셨다는 것은 분명히 말할 수 있습니다. 아비규환의 현장에서 가장 큰 고통을 당하셨다는 것을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주님은 고통을 치워주는 분이 아니라 사랑과 연민으로 거칠고 무거운 우리의 십자가를 함께 짊어지는 분이심을 전해주세요. 주님의 정의는 슈퍼맨처럼 악의 세력을 일망타진하는 것이 아니며 주님의 자비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것을 알려주세요. 붙여서 주님의 사랑은 세상의 모든 이를 구원하기 위해서 우리 모두가 악의 세력을 이기고 당신께 돌아서기를 기다린다는 사실도 말씀드리세요. 물론 상대에게 우리의 의탁하는 믿음과 포기하지 않는 희망을 느끼게 하도록 행동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 잊지 마시고요.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56 2444호 2017.07.23  개신교에서는 하느님의 이름이 여호와라고 그러고 가톨릭은 야훼라고 그러는데 왜 그런가요?' 염철호 신부  179
255 2449호 2017.08.27  마리아와 마르타 이야기(루카 10, 38∼42)에서 말씀만 듣는 마리아가 열심히 시중드는 마르타보다 더 좋은 몫을 택했다는 예수님 말씀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염철호 신부  349
254 2454호 2017.10.01  욥기를 읽다 보면 친구들이 하는 말이 얄밉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틀린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하느님은 왜 욥의 친구들을 야단치실까요? 염철호 신부  141
253 2459호 2017.11.05  주님의 기도에“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라는 대목이 나옵니다. 다른 사람을 용서하지 않으면 나도 용서받지 못하는 걸까요? 염철호 신부  198
252 2464호 2017.12.10  무거운 고통이 주어질 때 욥처럼 하느님께 온전히 의탁하며 참을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요? 현실적이지 못한 말씀인 듯합니다. 참으면 복이 온다는 식의 이야기는 아니겠지요? 염철호 신부  169
251 2471호 2018.01.14  로마서 10장 10절을 보면 “마음으로 믿어 의로움을 얻고, 입으로 고백하여 구원을 얻습니다.”라는 말이 나오는데, 우리가 행하는 실천은 구원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건가요? 염철호 신부  265
250 2477호 2018.02.25  요나 4장 1절에서 예언자 요나는 니네베 사람들이 회개하여 하느님께서 재앙을 거두시자 매우 언짢아 화를 내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119
249 2483호 2018.04.08  마지막 날 부활 때 헤어진 가족들을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부모님께서 아프실 때 해드리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쉽습니다. 다시 만나면 꼭 해드리고 싶은 것이 있어요. 염철호 신부  305
248 2489호 2018.05.20  창세기 1장 26절에 하느님께서 직접 주님 스스로를 칭하시며“우리”라는 표현을 사용하셨는데, 이 구절을 삼위일체 하느님에 대한 주님의 계시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염철호 신부  113
247 2495호 2018.07.01  창세 18,2에 아브라함을 찾아온 세 분의 천사가 하느님으로 밝혀지는데, 주님께서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습으로 찾아오신 것으로 이해하면 되는지요? 염철호 신부  161
246 2502호 2018.08.19  여러 책에서 아마겟돈에서 인류 최후의 전쟁이 벌어진다고들 말하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염철호 신부  108
245 2508호 2018.09.30  하느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이 사이에서 태어난 나필족(창세 6,4)이 하늘에서 떨어진 타락한 천사들이라는데, 정말인가요? 염철호 신부  326
244 2514호 2018.11.11  최근 들어 자신들이 하느님인양 죽지 않는다고 믿는 이들이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52
243 2520호 2018.12.23  예수님께서는 돌아가시면서 “저의 하느님, 저의 하느님, 어찌하여 저를 버리셨습니까?”(마르 15,34; 마태 27,46)라고 외칩니다. 스스로 원하신 수난인데 왜 이렇게 외치셨을까요? 하느님을 원망하며 인간적 약점을 드러낸 말인지요? 염철호 신부  130
242 2473호 2018.01.28  왜 성당에서는 침묵해야 하나요? 임성근 신부  217
241 2479호 2018.03.11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아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임성근 신부  167
240 2485호 2018.04.22  제게 성소가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임성근 신부  140
239 2491호 2018.06.03  신부님 제의에 IHS라는 글자가 무슨 뜻인가요? 임성근 신부  291
238 2497호 2018.07.15  주님의 기도를 바치기 전에 “삼가 아뢰오니”라는 말이 무슨 뜻인가요? 임성근 신부  266
237 2504호 2018.09.02  어릴 적 성당을 잘 다니던 아들이 커서는 신을 믿지 않겠다고 합니다. 임성근 신부  9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