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64호 2014.03.16 
글쓴이 장재봉 신부 

외인인 남편이 성지순례 중에 테러가 일어났다는 소식에 “하느님이 계신다면 이런 사고는 막아주어야 하지 않느냐?”고 하는데, 대답을 못 했습니다. 어떻게 이해시켜야 할까요?

장재봉 신부 / 활천성당 주임 gajbong@hanmail.net

얄궂고 험한 일이 생기면 하느님께 언성을 높이는 세상을 생각합니다. 그리고 틀림없는 ‘인재’의 책임마저 하느님께 돌리는 이유가 무엇인지, 왜 세상의 갖은 불상사를 하느님께서 몽땅 책임져야 하는지, 되묻고 싶습니다. 이렇게 질책당하는 주님이 얼마나 억울할까 싶습니다. 어느 누구도 하느님의 뜻을 완전히 파악하여 설명할 재간은 없습니다. 그날 그 귀한 여정이 무슨 연유로 그렇게 처참한 결과를 맞은 것인지 끝내 알아낼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그 고통의 자리에 주님이 함께 계셨다는 것은 분명히 말할 수 있습니다. 아비규환의 현장에서 가장 큰 고통을 당하셨다는 것을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주님은 고통을 치워주는 분이 아니라 사랑과 연민으로 거칠고 무거운 우리의 십자가를 함께 짊어지는 분이심을 전해주세요. 주님의 정의는 슈퍼맨처럼 악의 세력을 일망타진하는 것이 아니며 주님의 자비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것을 알려주세요. 붙여서 주님의 사랑은 세상의 모든 이를 구원하기 위해서 우리 모두가 악의 세력을 이기고 당신께 돌아서기를 기다린다는 사실도 말씀드리세요. 물론 상대에게 우리의 의탁하는 믿음과 포기하지 않는 희망을 느끼게 하도록 행동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 잊지 마시고요.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56 2202호 2013.02.10  신부님이 부자들은 하느님 나라에 가지 못한다고 하시던데요, 정말로 그런지요? 성실하고 착한 부자들도 있는데, 부자들은 다 하늘나라에 못갑니까? 권순호 신부  123
255 2234호 2013.09.15  저는 오랫동안 주일 학교에서 교사로 봉사 활동을 하였습니다. 저의 봉사와 희생이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저의 삶에 아무 이익이 되지 않는 시간 낭비였다는 회의가 옵니다. 권순호 신부  123
254 2242호 2013.11.03  아는 분의 갑작스런 죽음 앞에 모든 것이 혼란스럽습니다. 산다는 것이 이렇게 허망한 것인지 새삼 느낍니다.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25
253 2281호 2014.07.13  같은 하느님을 주님으로 고백하면서도 오히려 비신자보다 못한 모습으로 우리 교회에 먹칠을 하는 사람을 보면 속이 상합니다. 신앙생활을 하면서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답답합니다. 홍경완 신부  125
252 2490호 2018.05.27  아이에게 평소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지만, 제가 다른 사람들을 만나거나, 일해야 할 때는 스마트폰을 주곤 하였는데 후회하고 있습니다. 점점 빠져드는 아이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125
251 2519호 2018.12.16  예수님께서 원수를 사랑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원수를 미워하지 않기도 어려운데 사랑까지 하라니 힘든 계명입니다. 이 계명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실천할 수 있을까요? 권순호 신부  125
250 2298호 2014.11.02  예수님이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을 약속하신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과학이 실제로 우리 인간의 무병장수의 꿈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결국 예수님이 아니라 과학 기술이 영원한 생명을 인간에 가져다주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26
249 2365호 2016.01.17  짜증이 너무나 많이 납니다. 자연히 술, 담배도 늘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짜증이 없어질까요? 홍성민 신부  126
248 2191호 2012.12.09  이웃사랑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디까지가 내가 사랑해야 할 이웃인가요? 홍경완 신부  127
247 2256호 2014.01.26  내 주변 사람들, 특히 자식과 배우자를 믿지 못하고 의심할 때가 많습니다. 의심하는 것은 죄란 생각이 들어 괴롭습니다. 홍경완 신부  127
246 2498호 2018.07.22  인간들이 자유를 잘못 사용할 때마다 하느님이 바로잡아 주면, 죄를 짓지 않을 테고 죄로 인한 고통도 당하지 않을 텐데 왜 그렇게 하지 않나요? 장재봉 신부  127
245 2513호 2018.11.04  어느 신문에서 외국의 가톨릭 성직자들이 아동 성추행 사건을 일으키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아마도 이런 문제들도 가톨릭 성직자들이 자연의 본성에 반해서 독신생활을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가톨릭교회에서 이제 성직자의 독신제에 다시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27
244 2157호 2012.04.22  남편이 계속해서 같은 잘못을 합니다. 신앙인이기에 남편의 잘못을 용서하려고 노력해왔지만, 항상 같은 모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남편을 보면서, ‘잘못한 이들을 용서하라는 말씀이 오히려 잘못된 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홍성민 신부  128
243 2310호 2015.01.11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방학 때에는 어린이 미사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의견이 있습니다. 물론“부모님과 주일미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당부를 하지만 부모님이 신자가 아닌 아이들의 처지는 난처해집니다. 교사 휴가를 위한 측면이라면 합반해서 운영해도 무리가 없지 않겠습니까? 오히려 방학에는 미사 개근상을 만들어서 부모님과 방학휴가 계획조차 세울 수 없는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활기를 주고 싶은 것이 제 개인적인 소망입니다. 장재봉 신부  128
242 2206호 2013.03.10  기도를 하면 분심에 시달리거나 심지어는 나쁜 생각이 들 때도 있습니다. 분심이나 나쁜 생각을 아예 없앨 수는 없는가요? 권순호 신부  129
241 2468호 2017.12.31  성경을 읽으며 하느님에 대해 상상하곤 합니다. 그런데 이런 상상이 위험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상상하는 일이 신앙에 도움이 될까요? 홍경완 신부  129
240 2332호 2015.06.14  요즘에 시대가 변해 결혼을 하려는 사람도 줄고 이혼도 많이 늘었습니다. 결혼 전 동거를 해보는 것이 미리 서로를 잘 알게 하여 결혼을 하더라도 유익하다고 생각합니다. 천주교도 시대에 흐름에 맞게 엄격한 결혼관을 버리고 동거 생활을 허용하는 것이 어떨까요? 권순호 신부  130
239 2520호 2018.12.23  예수님께서는 돌아가시면서 “저의 하느님, 저의 하느님, 어찌하여 저를 버리셨습니까?”(마르 15,34; 마태 27,46)라고 외칩니다. 스스로 원하신 수난인데 왜 이렇게 외치셨을까요? 하느님을 원망하며 인간적 약점을 드러낸 말인지요? 염철호 신부  130
238 2465호 2017.12.17  예전부터 두통이 있거나, 몸살이 오면 진통제를 먹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약 없이 못 살 것 같아서 불안합니다. 안 먹어보려고도 했는데, 그러면 통증 때문에 견디기가 어렵습니다. 약을 좀 더 쉽게 끊는 방법은 없을까요? 홍성민 신부  132
237 2313호 2015.02.01  성경을 보면 하느님이 누군가를 선택하시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하느님은 왜 누구는 선택하시고, 누구는 선택하지 않으시는가요? 사람을 차별하시는 건가요? 염철호 신부  13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