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삶에 동행하시는 주님

가톨릭부산 2015.10.13 07:56 조회 수 : 39

호수 2102호 2011.04.24 
글쓴이 황철수 주교 

우리의 삶에 동행하시는 주님

황철수 바오로 주교

부활하신 주님께서 모든 분들의 삶을 인도하시고 축복해주시기를 빕니다.

부활 신앙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다루는 것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당신은 부활을 믿습니까?’ 라는 질문에 그리스도교 신자들도 반신반의하는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http://blog.chosun.com/drssirem/4305844 참조)

이러한 결과를 보고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신앙심에 대해서 실망할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부활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응답은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하게 ‘당신은 부활을 믿느냐’ 하는 질문보다, ‘부활은 이러 이러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당신은 이런 부활을 믿느냐’ 고 묻는다면 그 대답은 달라질 것입니다. 부활이라는 말로써 표현되는 그 깊은 의미는 단답형으로 대답되어지는 단순한 뜻을 훨씬 넘어서는 다층적이고 중첩적인 이해를 요구합니다.

이미 복음서의 부활의 증언이 이러한 의미를 암시하고 있습니다 :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옆에 계시면서 먼 길을 같이 동행했는데도 알아보지 못했다는 증언’(루카 24, 16), ‘부활하신 예수님을 육안만으로 이해한 사람은 유령으로밖에 보지 못했다는 증언’(루카 24, 37). 이것은 부활에 대한 신앙이 일회적인 발현 사건으로 확립되는 것이 아님을 말하고 있습니다. 부활에 대한 신앙은 ‘살아있지만 실상은 죽은 삶’을 자각하고, ‘죽는 것 같으나 진정 살아있는 삶’에 놀라고 감동하는 과정을 통해서 체험되고 깨달아지는 생명의 길입니다.

부활의 깊은 의미를 깨달은 주님의 제자들이 전해준 복음서는 부활에 관련한 부분만이 아니라, 모든 곳이 부활의 빛 속에서 말해지는 생명의 소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요한 복음서는 복음서를 쓴 목적에서 ‘이것들을 기록한 목적은 예수님께서 구세주이시며 하느님의 아드님이심을 여러분이 믿어서, 그분의 이름으로 생명을 얻게 하려는 것입니다.’(요한 21, 31) 라고 밝힙니다.

우리 모두는 생명을 추구하지만 ‘썩어 없어질 생명, 영원과 단절된 시간속의 생명’에 머물 위험이 많습니다. 주님을 통한 ‘영원으로 확장된 참 생명의 길’로 복음서는 우리를 간곡히 초대하고 있는 것입니다.

부활 축일을 지내며 주님의 부활을 고백하는 의미도 ‘주님의 이름으로 생명을 얻는 길’을 고백하고 우리의 삶에 새롭게 새긴다는 뜻입니다. 주님의 이름으로 생명을 얻는 길은 거창한 어떤 일들에서 시작되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을 버리고 자기 십자가를 지는 일’에서 그 길은 시작됩니다. 온갖 욕망과 애증이 교차하는 세상살이가 이 길의 소중함을 무디게 하기도 합니다. 자신을 버리고 죽어, 자기 십자가를 지는 일에 온전히 성공하여 참되게 살아계신 주님께서 모든 분들의 삶에 동행하시기를 빕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490호 2018.05.27  내가 믿는 하느님은 삼위일체 하느님 file 도정호 신부 
2491호 2018.06.03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file 신동원 신부 
2492호 2018.06.10  하느님의 사랑으로 file 강병규 신부 
2493호 2018.06.17  하느님 나라 file 강헌철 신부 
2494호 2018.06.24  광야로초대 file 이동화 신부 
2495호 2018.07.01  행복의 절정 file 곽용승 신부 
2496호 2018.07.08  내가 너를 좀 아는데... file 최재현 신부 
2497호 2018.07.15  “찬미받으소서” file 노우재 신부 
2498호 2018.07.22  예수님이 머무시는 외딴곳 file 박갑조 신부 
2499호 2018.07.29  영적 가치 file 박근범 신부 
2501호 2018.08.12  영원한 생명의 새로움 file 김형수 신부 
2501호 2018.08.12  성모님처럼 우리도 하늘로 오를 것입니다 (성모 승천 대축일 강론) file 염철호 신부 
2502호 2018.08.19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있는 빵 file 맹진학 신부 
2503호 2018.08.26  주님께는 영원한 생명의 말씀이 있습니다. file 이상일 신부 
2504호 2018.09.02  틀 속에 갇혀 버린 하느님 file 최요섭 신부 
2505호 2018.09.09  “에파타” - 말씀에 대한 더 적극적인 경청(傾聽)의 요청 file 권동국 신부 
2506호 2018.09.16  우리들의 자리 file 조영만 신부 
2507호 2018.09.23  순교 성인들에게 드리는 고백 file 김태형 신부 
2508호 2018.09.30  문 없는 집, 담장 없는 마당 file 김준한 신부 
2509호 2018.10.07  묵주 한 알 file 천경훈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