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 주신 분

가톨릭부산 2015.10.13 06:53 조회 수 : 103

호수 2062호 2010.08.15 
글쓴이 윤용선 신부 

희망 주신 분

윤용선 바오로 신부 (수영성당 주임) sarangyoon@hanmail.net

성모 승천 대축일을 지내며 ‘희망’을 생각한다. 우리도 성모님처럼 하늘로 올림(구원) 받을 수 있다는 희망이다. 이 희망이 나의 것 되기 위해서는, 나도 사명 받은 지상에서의 삶에서 성모님처럼 살아야 함이 전제된다. 그런데 막상 성모님처럼 살아야 한다니 ‘힘들겠다.’는 생각이 앞선다. 나 같은 사람을 성모님과 감히 비교한다는 것 자체도 부담으로 다가온다.

그러나 성모님의 삶을 다시금 헤아려 보니, 그분은 나에게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 아닌 ‘멀리 하기엔 너무 가까운 당신’이시다. 그리고 이것이 은혜로운 것은, 그분께서 당신의 희망을 나의 희망 되게 해 주시며, 나의 희망이 실현 될 수 있게 격려해 주시기 때문이다. 성모님께서는 나처럼 부족함을 지닌 인간이셨으나, 그분의 삶은 여러 어려움(마태 2, 13; 루카 2, 7. 35. 48; 요한 19, 25 참조) 가운데서도 믿음으로써 주님을 향해 거듭 나아갔다. 그분의 신앙은 처음부터 완성된 형태라기보다는 갖가지 장애와 혼란을 극복하고 완성(승천)으로 향하였다.

두 가지 주제, 즉 ‘마리아의 엘리사벳 방문’(루카 1, 39∼45. 56)과 ‘마리아의 노래’(루카 1, 46∼55)로 꾸며진 오늘의 복음은 성모님의 삶과 신앙을 잘 보여주고 있다.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방문한 목적은 엘리사벳의 출산을 돕기 위함이 아니라(루카 1, 56 참조) 아이를 못 낳는 늙은 여인 엘리사벳의 잉태(루카 1, 7. 24)가 지니는 의미를 찾기 위해서였다. 마리아는 “네 친척 엘리사벳을 보아라.”(루카 1, 36)는 천사의 말을 기억하며 엘리사벳을 만나러 서둘러 길을 떠났다. 그녀는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루카 1, 38)라는 가장 위대한 신앙의 응답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연약한 처녀로서 혼란스런 마음을 지닐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런 마리아의 마음은 엘리사벳을 만남으로써 정리된다. 마리아는 엘리사벳의 잉태가 주님께서 굽어보시고 주님 친히 이 일을 해 주신 것임(루카 1, 25)을 알게 되었고, 엘리사벳의 찬미(루카 1, 42∼45)를 들으며 자신의 잉태 또한 ‘주님의 일’임을 확신하였다. 그래서 주님께 대한 찬송으로 가득한 그 유명한 ‘마리아의 노래(Magnificat)’가 자연스레 그녀의 마음으로 부터 흘러나왔던 것이다.

오늘 대축일은 우리를 기쁘게 해 준다. 우리도 언젠가 가고 싶은 그곳으로 갈 수 있다는 것을 성모님을 통해 배우기 때문이다. 우리 희망의 실현을 위해, 우리는 이 땅에서 ‘또 다른 마리아’로 살아야 할 것이다.

호수 제목 글쓴이
2339호 2015.08.02  확고한 믿음의 표현인 영성체 정영한 신부 
2561호 2019.09.22  십자가는 고통이 아니라 하느님의 뜻을 따르는 것 file 정영한 신부 
2703호 2022. 5. 1  부활 증인의 미사 file 정창식 신부 
1983호 2009.03.08  우리 본래 모습을 찾아서 정필종 신부 
2099호 2011.04.03  우리도 눈먼 자라는 말은 아니겠지요? 정필종 신부 
2321호 2015.03.29  예수님의 슬픔 정현진 신부 
2245호 2013.11.24  사랑하는 아버지의 선물 정호 신부 
2388호 2016.06.26  “예루살렘으로 가시려고 마음을 굳히셨다.”(루카 9, 51) 정호 신부 
2693호 2022. 2. 20  “너희는 사랑하여라.” file 정호 신부 
1966호 2008.11.23  하느님과 이웃을 섬기는 사람 조동성 신부 
2083호 2010.12.26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 조동성 신부 
2233호 2013.09.08  신앙의 열정 조동성 신부 
2435호 2017.05.21  성령께서 인도하시는 삶 file 조동성 신부 
2598호 2020.05.24  승천은 우리의 희망 file 조동성 신부 
2780호 2023. 10. 22  우리의 사명 file 조동성 신부 
2304호 2014.12.14  주님을 증거하는 이 조성문 신부 
2516호 2018.11.25  “내가 임금이라고 네가 말하고 있다.” file 조성문 신부 
2746호 2023. 3. 5  진정으로 사랑하면 보여주게 되는 것 file 조성윤 신부 
2061호 2010.08.08  코페르니쿠스의 대전환 조성제 신부 
2211호 2013.04.14  살아있네 조성제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