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 주신 분

가톨릭부산 2015.10.13 06:53 조회 수 : 103

호수 2062호 2010.08.15 
글쓴이 윤용선 신부 

희망 주신 분

윤용선 바오로 신부 (수영성당 주임) sarangyoon@hanmail.net

성모 승천 대축일을 지내며 ‘희망’을 생각한다. 우리도 성모님처럼 하늘로 올림(구원) 받을 수 있다는 희망이다. 이 희망이 나의 것 되기 위해서는, 나도 사명 받은 지상에서의 삶에서 성모님처럼 살아야 함이 전제된다. 그런데 막상 성모님처럼 살아야 한다니 ‘힘들겠다.’는 생각이 앞선다. 나 같은 사람을 성모님과 감히 비교한다는 것 자체도 부담으로 다가온다.

그러나 성모님의 삶을 다시금 헤아려 보니, 그분은 나에게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 아닌 ‘멀리 하기엔 너무 가까운 당신’이시다. 그리고 이것이 은혜로운 것은, 그분께서 당신의 희망을 나의 희망 되게 해 주시며, 나의 희망이 실현 될 수 있게 격려해 주시기 때문이다. 성모님께서는 나처럼 부족함을 지닌 인간이셨으나, 그분의 삶은 여러 어려움(마태 2, 13; 루카 2, 7. 35. 48; 요한 19, 25 참조) 가운데서도 믿음으로써 주님을 향해 거듭 나아갔다. 그분의 신앙은 처음부터 완성된 형태라기보다는 갖가지 장애와 혼란을 극복하고 완성(승천)으로 향하였다.

두 가지 주제, 즉 ‘마리아의 엘리사벳 방문’(루카 1, 39∼45. 56)과 ‘마리아의 노래’(루카 1, 46∼55)로 꾸며진 오늘의 복음은 성모님의 삶과 신앙을 잘 보여주고 있다.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방문한 목적은 엘리사벳의 출산을 돕기 위함이 아니라(루카 1, 56 참조) 아이를 못 낳는 늙은 여인 엘리사벳의 잉태(루카 1, 7. 24)가 지니는 의미를 찾기 위해서였다. 마리아는 “네 친척 엘리사벳을 보아라.”(루카 1, 36)는 천사의 말을 기억하며 엘리사벳을 만나러 서둘러 길을 떠났다. 그녀는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루카 1, 38)라는 가장 위대한 신앙의 응답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연약한 처녀로서 혼란스런 마음을 지닐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런 마리아의 마음은 엘리사벳을 만남으로써 정리된다. 마리아는 엘리사벳의 잉태가 주님께서 굽어보시고 주님 친히 이 일을 해 주신 것임(루카 1, 25)을 알게 되었고, 엘리사벳의 찬미(루카 1, 42∼45)를 들으며 자신의 잉태 또한 ‘주님의 일’임을 확신하였다. 그래서 주님께 대한 찬송으로 가득한 그 유명한 ‘마리아의 노래(Magnificat)’가 자연스레 그녀의 마음으로 부터 흘러나왔던 것이다.

오늘 대축일은 우리를 기쁘게 해 준다. 우리도 언젠가 가고 싶은 그곳으로 갈 수 있다는 것을 성모님을 통해 배우기 때문이다. 우리 희망의 실현을 위해, 우리는 이 땅에서 ‘또 다른 마리아’로 살아야 할 것이다.

호수 제목 글쓴이
2710호 2022. 6. 19  아비의 살을 먹어야 하는 운명 file 김지황 신부 
2711호 2022. 6. 26  “어디로 가시든지 저는 스승님을 따르겠습니다.” file 김병수 신부 
2712호 2022. 7. 3  그리스도는 우리를 통해 살아계십니다 file 김인한 신부 
2713호 2022. 7. 10  그렇게 하여라 file 강정웅 신부 
2714호 2022. 7. 17  “좋은 몫을 선택하였다”(루카 10,41) file 강우현 신부 
2715호 2022. 7. 24  빈말을 되풀이하지 마라 file 손지호 신부 
2716호 2022. 7. 31  가진 것의 노예가 되지 말 것을 엄중히 경고하시는 예수님 file 한인규 신부 
2717호 2022. 8. 7  내가 선택하지 않으면 남의 선택을 따르게 됩니다. file 이요한 신부 
2718호 2022. 8. 14  기도와 말씀, 사랑의 불 file 이재석 신부 
2718호 2022. 8. 15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성모님 file 박정용 신부 
2719호 2022. 8. 21  구원으로 가는 좁은 문 file 김태균 신부 
2720호 2022. 8. 28  밥상머리 교육 file 김영훈 신부 
2721호 2022. 9. 4  하느님 나라는 치열한? 계산된 포기의 결과이다. file 이재현 신부 
2722호 2022. 9. 11  찾음, 기다림, 받아들임 file 강지훈 신부 
2723호 2022. 9. 18  천국을 일군 사람들 file 장현우 신부 
2724호 2022. 9. 25  “하느님의 사람이여, 영원한 생명을 차지하십시오.” 김종규 신부 
2725호 2022. 10. 2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 file 김상균 신부 
2726호 2022. 10. 9  묵주기도, 우리 삶의 탁월한 이정표 file 권순도 신부 
2727호 2022. 10. 16  기도의 시작- 아멘! file 민병국 신부 
2728호 2022. 10. 23  은총의 삶, 초대의 삶 file 김두진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