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73호 2018.01.28 
글쓴이 임성근 신부 

왜 성당에서는 침묵해야 하나요?
 

임성근 신부 / 우동성당 부주임 pantaleon@naver.com
 

  침묵은 오해를 많이 받는 주제입니다. 침묵이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뭔가 억압되고 강요받은 것, 할 말이 있는데 참는 것, 불편하고 숨 막힐 것 같은 것, 내가 할 말이 있는데 네가 떠드니까 말 못하잖아, 조용히 해, 불의를 보고 외면하는 것 등. 이 모든 것이 침묵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태도입니다.
  가톨릭 영성에서 말하는‘거룩한 침묵’은 수단이 아니라 목적입니다. 무언가를 얻기 위한 준비나 도구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의미가 있는 일입니다. 침묵은 전인적인 행위입니다. 단순히 말과 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 아니라 몸과 마음, 정신의 고요함을 뜻합니다. 침묵은 영적인 충만함이 드러난 것입니다. 할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말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 침묵입니다. 하느님만으로 만족하기에, 하느님의 품안에서 온전히 그분의 사랑을 느끼기에, 하느님의 면전에서 당신의 사랑을 말로 표현할 길이 없기에. 그것이 거룩한 침묵입니다. 그러므로 침묵은 능동적이고 자발적이며 자유를 주는 것이고 무엇보다 참 행복한 일입니다.
  어린 시절 주일학교 선생님이 성당에서 조용히 하라고 해서 입을 꾹 다물자 이번에는 성가 왜 안 불러? 하고 야단맞았던 기억이 납니다. 침묵을 단순히 수단으로 생각하면 이런 갈등이 생깁니다. 참된 침묵은 찬양과 조화를 이룹니다. 침묵도 사랑의 표현이고 입을 열어 찬양 드리는 것도 사랑의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성당 안에서 침묵하면서 그분의 현존을 느껴보시기를 권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오늘도 당신의 품안으로 우리를 초대하십니다.“너희는 멈추고 내가 하느님임을 알아라”(시편 46,11)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56 2205호 2013.03.03  교우와의 의견이 맞지 않아 다투었습니다. 마음이 편치 않지만 그렇다고 제 생각이 잘못되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홍경완 신부  29
355 2290호 2014.09.07  저는 매일 양심성찰을 통해 자신이 죄인임을 잊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래서 항상 회개의 삶을 살려고 노력합니다. 그런데 양심 성찰 중에 어떤 잘못이 떠오르면 그것에 대한 후회 때문에 나 자신이 완전히 형편없는 사람 같아서 잠을 못 이루는 경우도 있습니다. 회개의 삶이 오히려 저를 더 우울하고 불행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권순호 신부  38
354 2303호 2014.12.07  저 자신의 모습이 못나 보여서 우울한 기분이 듭니다. 주위의 사람들이 잘되면 진심으로 축하해주고 싶은데, 제 처지랑 비교하다 보니 오히려 배가 아픕니다. 그리고 이런 제 모습이 더 못나 보여서 더 우울해집니다. 홍성민 신부  43
353 2334호 2015.06.28  화를 내면 참아주고, 항상 먼저 양보해주었더니 그것을 사람들이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습니다. 가끔은 저도 화가 나는데, 싸우기가 싫어서 그냥 혼자 분을 삭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제 안에서 화가 점점 치밀어 올라 참기가 힘이 든다는 것입니다. 홍성민 신부  46
352 2211호 2013.04.14  군대 제대하고 복학한 아들이 있는데, 중학교 때부터 컴퓨터 게임을 좋아하더니, 지금은 밖에도 나가지 않고 거의 컴퓨터 앞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학교도 잘 가지 않고, 학점도 엉망입니다. 마음 같아서는 집에서 컴퓨터를 없애버리고 싶은데, 그러면 집을 나갈까 봐 그저 기도만 드리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홍성민 신부  48
351 2224호 2013.07.14  예비신자입니다. 앞으로 신자로서 죄에 대해서 어떻게 다루고 처리해야 할까요? 장재봉 신부  49
350 2171호 2012.07.29  예전보다 생각이 많이 굳어버렸다는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 경직된 사고는 옳은 판단을 저해하는 요소라고 생각되어 없애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홍경완 신부  51
349 2514호 2018.11.11  최근 들어 자신들이 하느님인양 죽지 않는다고 믿는 이들이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52
348 2273호 2014.05.18  대형참사 앞에서 할 말을 잃었습니다. 가톨릭 신자의 눈으로 이런 인재를 어떻게 보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55
347 2159호 2012.05.06  길을 찾는 그대에게라는 컬럼제목이 눈길을 잡았습니다. 그러면서 드는 생각이 길을 찾기 위해 맨 먼저 해야 할 일이 무엇일까 라는 의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57
346 2272호 2014.05.11  어떻게 하느님의 목소리를 알아들을 수 있을까요? 어떤 방식으로 응답해 주시는 걸까요? 응답해 주시는 것을 모르고 지나친 건 아닐까요? 답답합니다. 장재봉 신부  62
345 2296호 2014.10.19  성당에 다니고 싶어서 사무실로 문의하니까“교리반 모집이 끝났으니 다음에 오라.”고 하더랍니다. 너무 답답합니다. 장재봉 신부  62
344 2189호 2012.11.25  하느님과 약속을 한 것이 있는데 계속 지키지 못해 죄책감이 듭니다. 왠지 벌 받을 것 같은 느낌도 들고, 그래서 마음이 더 불안하고, 하느님이 두렵게 느껴집니다. 하느님과 약속하는 것이 죄가 되나요? 홍성민 신부  65
343 2515호 2018.11.18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가난한 마음이 다른 종교에서 말하는 ‘마음을 비움’(空)과 비슷해 보이는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홍성민 신부  66
342 2267호 2014.04.06  저는 고3 학생인데, 제가 요즘 스마트 폰 게임에 너무 집착하는 것 같아 고민입니다. 조금 줄여야겠다고 생각은 하는데 왜 그런지 마음대로 되지를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  67
341 2297호 2014.10.26  대학생 아들에게 왜 냉담하냐고 물었더니, 교리를 합리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워, 믿어야 할 가치를 못 찾겠다고 합니다. 어떻게 답을 해 주어야 할지 난감합니다. 홍경완 신부  68
340 2169호 2012.07.15  고해성사를 본지 너무 오래되었는데, 막상 보려니 부끄러워 고해소에 들어가지 못하겠습니다. 어떡해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69
339 2326호 2015.05.03  유물론이 무엇인지는 알고 있지만 신앙과 관련해서는 헷갈립니다. 우리 신앙과 유물론은 어떤 관련에 놓여 있는지요? 홍경완 신부  69
338 2311호 2015.01.18  밖으로 보이는 것들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자꾸 옷이나 가방, 신발 등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고 남들과 비교를 하고 부러워합니다. 신앙인이라면 이런 것쯤은 무시하는 것이 옳은 것 같은데 잘 안됩니다. 홍경완 신부  71
337 2321호 2015.03.29  권위적인 교회, 권위적인 성직자들이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안타깝지만 제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습니다. 이 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홍경완 신부  7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