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77호 2016.04.10 
글쓴이 정의평화위원회 

‘사회교리학교’에 초대합니다.

  지금 전세계 가톨릭 교회는 자비의 희년을 지내고 있습니다. 자비의 희년은 우리로 하여금 하느님의 자비를 얻는 것에 만족하지 말고 실천할 것을 권고합니다. 그럼 우리는 누구에게 자비를 베풀어야 할까요?
  프란치스코 교황님은 자비의 특별 희년 선포칙서『자비의 얼굴』에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지금은 우리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때입니다. … 악행에 맞설 때, 심지어 중대한 범죄에 맞설 때가 바로 재산을 박탈당하고 존엄과 감정이 짓밟히며 생명마저도 빼앗긴 무고한 이들의 외침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때입니다.”이렇게 그리스도인들은 가난하고 변두리로 밀려나 고통 속에 울부짖는 이웃들에게 특별히 하느님의 자비를 전해야 하는데, 바로 사회교리에 이웃을 향한 하느님 사랑의 원리가 담겨 있습니다.
  교회는‘사회교리’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는데, 2014년 방한하신 프란치스코 교황님은 한국 주교단과의 만남에서“가난한 사람들과 함께 하는 연대는 교회의 풍요한 유산인 사회교리를 바탕으로 한 강론과 교리교육을 통하여 신자들의 정신과 마음에 스며들어야 하며, 교회 생활의 모든 측면에 반영되어야 한다.”면서 교회의 사회교리 교육과 교우들의 사회교리 학습 및 실천을 강조하셨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하느님의 자비와 사랑을 알아가는 시간, 사회교리학교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제5기 사회교리학교 입문과정
언  제 : 4.20(수)∼6.29(수) 19:00∼21:00(11주)
어디서 : 가톨릭센터 3층 교육실
수강료 : 5만원 (사회교리학교 동문, 정평위 후원인 : 3만원)
        (농협 301-0465-9508-21 천주교부산교구유지재단 정평위)
신  청 : 4.12(화)까지 전화 또는 이메일
busanjustice@naver.com
문  의 : 051)465-9508(정의평화위원회), busanjustice@naver.com

날 짜 강의 내  용 강  사
4월20일(수) 총론 1. 성경과 사회교리 송창현 신부(대구가톨릭대학교)
4월27일(수) 총론 2. 사회교리 원리와 인간존엄성 이태성 신부(봉래성당 주임)
5월 4일(수) 문헌강의 경제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 이동화 신부(부산가톨릭대학교)
5월11일(수) 문헌강의 노동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 이동화 신부(부산가톨릭대학교)
5월17일(화) 주제강의 한국 자본과 노동 현실 하종강 교수(성공회대학교)
5월25일(수) 문헌강의 정치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 박동호 신부(서울교구정평위)
5월31일(화) 문헌강의 평화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 장동훈 신부(인천가톨릭대학교)
6월 8일(수) 주제강의 한국 정치, 어떻게 봐야하나? 차재권 교수 (부경대학교)
6월15일(수) 문헌강의 환경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 권순호 신부(주례성당 주임)
6월22일(수) 주제강의 도시 난개발과 재생 윤일성 교수(부산대학교)
6월29일(수) 수료 미사 및 수료식  손삼석 주교(부산교구 총대리)

▣ 총대리 주교 명의의 수료증 발급, 수료생은 사회교리 봉사자 및 교육·행사에 우대혜택을 드립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91 2494호 2018.06.24  본당순례를 마치면서 김규인 요셉  55
290 2151호 2012.03.11  예비신학생 피정을 다녀온 후 김다훈 요한보스코  100
289 2204호 2013.02.24  겨울이야기 김두황 클레멘스  38
288 2279호 2014.06.29  ‘스드메’라고 했던가? 김란 에우랄리아  71
287 2122호 2011.09.04  나는 신자다. 김문석 미카엘  28
286 2163호 2012.06.03  하느님의 선물 김미정 헬레나  71
285 2403호 2016.10.09  부산가톨릭선교마라톤회, 창립 10주년을 맞이 하면서 김봉출 로마노  175
284 2443호 2017.07.16.  땅에서 배우는 겸손 김성중 베드로  82
283 2768호 2023. 7. 30  “과연 모든 사람에게 구원을 가져다주는 하느님의 은총이 나타났습니다.”(티토 2,11) 김수환 신부  7
282 2428호 2017.04.02  생명문화 확산을 위한 돌봄 교육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김숙남 리베라따  33
281 2262호 2014.03.02  진정한 통공(通功) 김숙남 리베라따  32
280 2017호 2009.10.18  그분이 홀로서 가듯 김양희 레지나  51
279 2426호 2017.03.19  삶의 길벗, 함께 하는 인문학, 제21기 인문고전대학 김영규 신부  167
278 2069호 2010.09.26  '참외 없수' 수녀님 김영대 도미니코  150
277 2274호 2014.05.25  ‘가정성화미사’에 다녀와서 김영숙 데레사  103
276 2288호 2014.08.24  아직 안 가셨네요! 김용배 알퐁소  94
275 2064호 2010.08.29  '희망’의 또 다른 이름 ‘청년’ 김용의 엘리사벳  40
274 2149호 2012.02.26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원을 졸업하면서… 김우수 안드레아  261
273 1998호 2009.06.21  2009년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담화문(요약) 김운회 주교  148
272 2289호 2014.08.31  아빠의 자리, 남편의 자리 김인식 사도요한  164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