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복음화와 미디어 밥상

가톨릭부산 2015.10.12 08:10 조회 수 : 40

호수 2305호 2014/12/21 
글쓴이 윤기성 신부 

문화 복음화와 미디어 밥상

윤기성 미카엘 신부 / 부산평화방송 총괄국장

우리에게 우리가 원하는 대로 쓸 수 있는 천만 원이 주어진다면 그 돈으로 무엇을 하시겠습니까? 몇몇 분들은 평소 꼭 사고 싶었던 물건을 사실 것입니다. 어떤 분들은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나 자신을 보다 아름답게 가꾸기 위해 그 돈을 쓰실 것입니다. 또 다른 분들은 사랑을 실천하는데 그 돈을 쓰실 것입니다. 이렇게 천만 원이란 돈을 우리가 어떻게 쓰느냐를 관찰해 보면 우리가 내면에 가지고 있던 가치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평소 무엇이 소중한 일이고 가치 있는 일인지에 대한 생각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지요. 이런 가치관이 사회에 공유되어 구성원들의 생활양식이 된 것이 그 사회의 문화입니다. 2015년 부산교구 사목지침으로 황철수 바오로 교구장 주교님께서“문화 복음화의 해”를 선포하셨습니다. 올 한 해 동안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생활양식인 우리 본당 문화, 우리 사회 문화, 우리나라 문화가 복음적 가치관을 담고 있는지 식별하고 그것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자고 초대하신 것이지요.
문화는 사회 구성원들이 만들어내는 것이지만, 반대로 구성원들은 그 사회의 문화에 영향을 받으며 살아갑니다. 사람들과의 관계 안에서 사회에서 통용되는 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자신의 것으로 만듦으로써, 그리고 그 문화에 따라 말하고 행동함으로써 우리는 문화에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나아가 그 문화에 따라 만들어진 콘텐츠를 소비하고, 자신도 만들어냄으로써 문화에게 영향을 받고 영향을 미칩니다. 그 콘텐츠를 소비함으로써 그 안에 담긴 특정한 가치관도 함께 소비하는 것이지요.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매체를 통해 우리가 만들어내고 있는 콘텐츠는 복음의 가치를 담고 있습니까?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이나 라디오 음악 프로그램과 같이 우리가 소비하고 있는 콘텐츠는 복음의 가치를 담고 있습니까? 우리가 무심코 컴퓨터에서 읽은 포털 뉴스는 복음의 가치를 담고 있습니까? 우리가 소비하고 있는 콘텐츠에 물질주의, 과도한 소비주의, 외양을 중시하는 문화와 같이 반 복음적인 문화가 가득하다면, 우리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반 복음적문화를 소비하게 될 것입니다. 음식도 편식하면 건강을 해치듯이, 우리의 미디어 밥상 위에 평화방송과 같이 복음의 가치를 담은 가톨릭 매체들도 빼놓지 말고 놓아주세요. 훨씬 건강한 정신, 건강한 영성을 얻게 될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51 2504호 2018.09.02  가정을 세우는 ‘성요셉아버지학교’ 가정사목국  104
250 2256호 2014.01.26  부르심에 감사합니다 남수미 요세피나  104
249 2274호 2014.05.25  ‘가정성화미사’에 다녀와서 김영숙 데레사  103
248 2495호 2018.07.01  너희는 외딴 곳으로 가서 좀 쉬어라 (마르 6,31) 김경욱 신부  101
247 2091호 2011.02.06  예수님을 따르기 위한 우리들의 사명 정해성 프란치스코  101
246 2503호 2018.08.26  성가정의 지름길 ‘성모어머니학교’ 가정사목국  100
245 2151호 2012.03.11  예비신학생 피정을 다녀온 후 김다훈 요한보스코  100
244 1986호 2009.03.29  '어떻게' 살아야 할까? 이부현 바오로 교수  100
243 2433호 2017.05.07  노인대학(어르신성경대학) 1년을 마치고 전흥일 스테파노  99
242 2115호 2011.07.24  50주년의 영광을 주님과 함께 최병남 세례자요한  99
241 2420호 2017.02.05  “내게 가까이 오너라. 내 배움의 집에 묵어라.”(집회 51, 23) 이동화 신부  97
240 2405호 2016.10.23  말씀하신 대로 따르겠나이다! 원성현 스테파노  97
239 2125호 2011.09.18  시복시성을 위한 도보 순례 3주년을 돌아보며… 강송환 마르코  97
238 2099호 2011.04.03  스무 살, 주님의 자녀로 아름답게 살아가 주길… 청소년사목국  97
237 1987호 2009.04.05  대학 캠퍼스 신앙의 요람인 가톨릭 학생회 강헌철 신부  95
236 2288호 2014.08.24  아직 안 가셨네요! 김용배 알퐁소  94
235 2205호 2013/03/03  신학원 가는 길 손성래 마태오  94
234 2121호 2011.08.28  하느님께 한 걸음씩 박상범 요셉  94
233 2049호 2010.05.16  신부님 ○○가 터졌어요! 최은화 마르타  94
232 2760호 2023. 6. 4  희망을 여는 집 장 마리요한 수녀  9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