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설레는 이 느낌

가톨릭부산 2015.10.12 07:43 조회 수 : 83

호수 2295호 2014.10.12 
글쓴이 이광훈 시몬 

가슴 설레는 이 느낌

이광훈 시몬 / 314차 ME주말 수강, 서동성당

“부부의 체험 프로그램이 있다는데, 우리도 한번 참가해보면 어떨까요?”아내의 말에도 나는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얼마 후“ME주말 신청해 놓았으니 그날 시간 좀 내봐요.”라는 아내의 말을 뒤로한 채 난 출장을 떠났다. 일이 바빠서 어떻게 확답을 지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프로그램 첫날에도 청주에서 부산까지 헐레벌떡 달려와야 했다. 한마디로 난 마지못해서 참석했다. 사실 기쁜 마음으로 참여한 게 아니었기에 얼굴엔 먹구름이 가득했고 가슴은 답답한 심정이었다.

이렇게 시작된 2박 3일의 일정. 그래도 나름 우리 부부는 아무런 대립이나 어떤 큰 문제도 없다는 생각이 항상 머릿속을 지배하고 있었다. 그런데 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따라 점점 숨어 있던 내가 보였다. 아니, 아내 세실리아와 나는 대화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있었고 자꾸 깊이 묻어두고 상처를 키우고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 다른 부부들의 발표에서 거울에 비친 나의 작은 모습까지도 보는 것 같아 얼굴이 달아오르기도 하였다. 심장이 쿵쾅거리는 소리가 얼마나 크게 느껴지던지 침을 삼키기가 힘들고 고개를 들기도 부끄러운 심정이었다.

그러나 어둡게만 느껴지던 내 마음이 한줄기 빛을 향해 달리는 걸 느꼈을 때 무한한 기쁨과 감탄사가 절로 튀어나왔다. 프로그램에 참가한 부부들의 모습이 나의 모습이었고, 거기서 위로를 받고 더 나아가 부부가 올바로 대화하는 법을 익힐 수 있었다. 그리고 아이들이 우리 부부의 변해가는 모습을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보고 익히게 된다면‘탁하고 어둡다고만 생각했던 세상이 조금씩 맑아지고 밝아지는 시작점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2박 3일 후 무엇에 홀린 듯 주말이면 미친 듯이 ME모임에 참석하기 위해 달렸다. 책임감이었을까? 아니다. 그것보다는 그리운 ME가족들을 보고 싶었고 그들과 함께하면 행복해서 그랬던 것 같다. 돌이켜 생각해보건대, 진작 ME주말을 다녀왔더라면 삶의 울타리에서 한층 가볍게 뛰어다닐 수 있었을 것 같았다. 입가에 잔잔한 미소를 띠며 지금도 이렇게 좋은데, 가슴 설레는 이 느낌, 이 모든 것들이 주님의 사랑과 은총이라고 생각하며, 주님께서 베풀어주신 은혜에 감사드린다.

11월 ME주말 : 11월 21(금) - 23(일)
12월 ME주말 : 12월 12(금) - 14(일)
문의 및 신청 : 051-465-1010, 010-6580-8629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31 2456호 2017.10.15  사회교리학교 - ‘모든 이를 위한 경제정의’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40
230 2298호 2014.11.02  가장 필요한 준비는 무엇일까? 류혜진 비비안나  41
229 2007호 2009.08.16  본향에 돌아오니 신홍윤 에몬  42
228 2688호 2022. 1. 16  “시노달리타스”의 여정, 두 번째 이야기 노우재 신부  42
227 2805호 2024. 3. 24  신임 평협회장 인사 file 가톨릭부산  42
226 2253호 2014.01.05  실천지침-복음화의 원동력인 가정복음화 해설 ① 선교사목국  43
225 2527호 2019.01.27  누가 나를 이끌어 주지 않으면 내가 어떻게 알아들을 수 있겠습니까?(사도 8,31) 권순호 신부  43
224 2561호 2019.09.22  제2차 부산교구 평신도 아카데미에 초대합니다. 김태창 가브리엘  43
223 2602호 2020.06.21  반송 빛둘레 나눔가게 이야기 file 장옥선 마리아  44
222 2755호 2023. 4. 30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60차 성소 주일 담화 (요약) file 프란치스코 교황  44
221 2802호 2024. 3. 3  제1회 청소년·청년문학상 문예 작품 공모전 부산가톨릭문인협회  44
220 2035호 2010.02.07  그들과 함께 사는 세상에서 이경선 안젤라  45
219 2535호 2019.03.24  현시대에 필요한 또 하나의 소명 민정아 루시아  45
218 2445호 2017.07.30  『부산가톨릭문학』모두가 함께 하는 공간 김종대 가롤로  46
217 1979호 2009.02.08  그들의 친구가 되어 김종애 데레사  48
216 2010호 2009.09.06  독감바이러스의 변종, 신종인플루엔자 바로 알자 주보 편집실  48
215 2732호 2022. 11. 20  학교법인 성모학원 산하 고등학교 - 데레사, 성모, 지산 file 가톨릭부산  48
214 2231호 2013.08.25  새로운 여정의 시작 ‘ME주말’ 정은주 최진만 부부  49
213 2293호 2014.09.28  어머니학교 파견교육 일기 가정사목국  49
212 2574호 2019.12.22  2019년 부산교구 사제·부제 서품식 안내 file 가톨릭부산  4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