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듦’에 대해서

가톨릭부산 2015.10.12 07:26 조회 수 : 66

호수 2267호 2014.04.06 
글쓴이 한정원 베로니카 

‘나이듦’에 대해서

한정원 베로니카 / 부산가톨릭대학교 노인복지보건학과 교수

헤밍웨이(E. M. Hemingway)의 ‘노인과 바다’에서 노인은 외로운 바다에서 고기와 사투를 벌이면서 담대한 용기와 인내를 보여준다. 노인은 희망, 삶에 대한 강한 의지, 패배를 모르는 용맹함, 타인에 대한 너그러운 연민과 삶에 대한 통찰력을 상징한다.

인간은 삶을 지속하는 동안 누구나 노인이 된다. 그러나 우리를 숨 쉬게 하는 공기의 존재가 보이지 않는 것처럼, 사람은 노화의 존재를 거의 느끼지 못한다. 매일, 매시간 노화의 진행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젊음에 대한 미련과 열정을 쉽게 잠재우지 않는다.

‘4월은 가장 잔인한 계절’이라는 엘리옷(T. S. Eliot)의 시는 가장 아름다운 때 요동치는 생명력으로부터의 멀어짐을 안타깝게 표현했고, 버지니아 울프(A. V. Woolf)는 모든 만물이 되살아나는 봄, 자신의 미약한 존재에 대해 가장 우울해했다. 생명의 힘이 절정에 이르렀다가 능선을 따라 내려갈 때, 한 번쯤은 성공적 늙어감에 대해 생각해야 할 시기가 온 것이다.

무엇보다도 사회의 노인 문제를 제고하기 위해서 몇 가지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첫째, 모든 노인은 힘없고 연약한 보호의 대상이 아니다. 성경에서 우리가 만나는 노인은 백발과 지혜의 소유자로 존경의 대상자가 많다. 노인을 단순히 힘없는 보호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것은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보지 못하는 우리 사회의 이분법적 사고방식 때문이다. 둘째, 많은 노인들이 일을 하고 있다. 일없이 쉬는 분들은 일부분이다. 아이를 돌보고, 가정과 지역 사회를 가꾸고 있다. 단지 일에 대한 금전적 대가가 거의 없는 부문에 종사할 뿐이지 무엇인가 더 가치 있는 일을 생산해 내고 있다. 이처럼 노인들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전환은 사회에 대한 의무를 개인으로 넘기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보다 발전적인 미래를 위해 필요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책무는 사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부분이 많다. 그러나 단지 노인 인구가 많아지고 노인이 사회적 문제화 되기 때문에 교회의 의무를 이야기하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사회의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진정 노인을 바라보는 시각을 올곧게 세우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현실화 방안을 고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느님이 내리신 네 번째 계명처럼 부모(어른)를 공경하되, 단순하고 일방적인 보호가 아니라, 인간의 존엄성과 죽을 때까지의 자립, 자기결정권을 감안한 존경방식을 끊임없는 대화와 소통으로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가 정해놓은 잣대와 다른 시각으로‘나이듦’ 을 고찰해 본다면 하느님‘보시기에 좋은’ 노후는 분명 지금과는 다르게 보일 것이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11 2727호 2022. 10. 16  “젊은이의 날 미사와 성체현시” 가톨릭부산  79
210 2265호 2014.03.23  CUM 기자단으로서의 1년을 마무리하며 우수연 아녜스  78
209 2492호 2018.06.10  청년들의 행복한 삶을 돕는 안내서, 선택 박종민 신부  77
208 2143호 2012.01.22  새 사제 모토·감사 인사 주보편집실  77
207 2063호 2010.08.22  낙동강 도보 순례를 마치고... 홍덕순 엘리사벳  77
206 2225호 2013.07.21  땅은 나의 것이다.(레위 25, 23) 우리농 본부  76
205 2674호 2021.10.24  제3차 부산교구 평신도 아카데미에 초대합니다. 박시현 가브리엘라  75
204 2541호 2019.05.05  2019년 성가정 축복미사 가톨릭부산  75
203 1985호 2009.03.22  당신의 사랑이 필요합니다! 메리놀병원 원목실  74
202 2670호 2021.09.26  레지오 마리애 설립 100주년 특집 (1) file 가톨릭부산  72
201 2279호 2014.06.29  ‘스드메’라고 했던가? 김란 에우랄리아  71
200 2163호 2012.06.03  하느님의 선물 김미정 헬레나  71
199 2569호 2019.11.17  천주교부산교구 학교법인 성모학원 산하 고등학교 소개 file 가톨릭부산  70
198 2477호 2018.02.25  부산교구 순교자 치명 150주년 file 오륜대순교자성지  69
197 2437호 2017.06.04  하느님께서 보시기에 참 좋으신 부산가톨릭대학교 사랑담긴 CUP 사회봉사시스템 정인성 프란치스코  68
196 2335호 2015.07.05  예비신학교 상반기 프로그램 독서 감상문 허원석 대건안드레아  68
195 2488호 2018.05.13  중독을 치유하는 그리스도의 사랑 박종주 신부  67
» 2267호 2014.04.06  ‘나이듦’에 대해서 한정원 베로니카  66
193 2130호 2011.10.23  밑거름이 되는 사람 성향숙 소피아  66
192 2117호 2011.08.07  우리는 하나다! 허승백 요한  6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