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함께 하는 문화 선교

가톨릭부산 2015.10.12 15:40 조회 수 : 60

호수 2138호 2011.12.18 
글쓴이 경훈모 신부 

모두가 함께 하는 문화 선교

경훈모 알렉시오 신부 / 가톨릭센터 관장

문화 선교는 현 시대에서 중요한 선교 주제 중 하나입니다. 오늘날 문화 선교가 전통적인 선교 방식보다 더욱 설득력 있는 선교 방식으로 제안되는 이유는 이것입니다.
먼저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멀티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는 다양한 문화적인 활동들이, 단순한 예술 장르를 넘어 그 속에 메시지를 담아내고 있고, 그러한 문화 활동의 직·간접적인 효과가 종교로서의 가톨릭을 보다 잘 알리고 전파하기 때문입니다.
또 하나 문화 선교가 중요한 이유로는 영상과 공연 등 대표적인 문화 선교의 방식이 젊은이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고, 쉽게 향유된다는 점입니다. 점차 노령화되는 교회 내 신자 구조로 볼 때 문화 선교는 젊은이들을 교회로 불러들일 수 있는 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가톨릭센터는 1982년 4월 30일 개관 이후 지금까지 교구의 유일한 문화 선교 공간으로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가톨릭센터가 설립된 이후 부산 문화의 중심지로서 부산 시민이면 이곳에서 영화 한 편이나 연극 한 편 보지 않았던 사람이 없을 정도입니다. 특히 ‘목요음악감상회’ 등의 프로그램은 그 유래를 찾기 힘들 정도의 장수 프로그램으로 부산의 음악인이라면 한 번쯤은 이 무대에 서보았고, 또 오르기를 원했던 가톨릭센터의 문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또한 지난 2001년부터 교구 전산홍보국과 더불어 펼쳐온 ‘아름다운 세상’ 공연은 교회 내 예술인들의 무대로, 젊은이들의 문화적 갈증을 풀어주는 역할을 톡톡히 한 바 있습니다.
‘아름다운 세상’ 공연이 2011년부터 새로운 모습으로 부활하여 좀 더 쉽게, 그리고 폭넓게 대중과 가까이 다가가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어떤 특정 단체나 소수만을 위한 공연이 아닌 내가 그리고 내 주변인들 모두가 좋은 문화를 향유하는 주체가 되어야만 합니다. 따라서 이곳 가톨릭센터가 교구민, 더 나아가 부산 시민들이 가톨릭 문화와 그 정신을 이런 것이다라고 공유·공감하며, 그 느낌을 삶에 반영하는 자리가 되고, 신앙과 문화가 서로 만나는 아름다운 성숙의 장(場)이 되기를 간절히 소망해 봅니다.

2012년 아름다운 세상 공연 출연자 모집

모집대상 가톨릭 문화 예술 단체, 예술인, 동호회, 청년회 등.
지원사항 공연 제작비 일부 지원, 가톨릭 소극장 사용, 음향
홍보(포스터, 프로그램북, 티켓 제작)
신청방법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다운로드
작성 후 메일로 접수(bccenter1@gmail.com)
공연 동영상 또는 녹음 파일 첨부
※ 팀 또는 개인 선정 후 별도 논의
문 의 462-1870, www.bccenter.or.kr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11 2278호 2014.06.22  2014년 사제연수를 다녀와서 김준한 신부  82
110 2042호 2010.03.28  교회의 사명과 4대강 사업 김준한 신부  92
109 2619호 2020.10.18  행복하여라! 주님의 가르침을 밤낮으로 되새기는 사람 file 김종철 레오  11
108 1979호 2009.02.08  그들의 친구가 되어 김종애 데레사  48
107 2445호 2017.07.30  『부산가톨릭문학』모두가 함께 하는 공간 김종대 가롤로  46
106 2430호 2017.04.16  계간『부산가톨릭문학』 믿음과 삶의 글이 자라는 텃밭 김종대 가롤로  29
105 2230호 2013.08.18  나에게 신앙은? 김정호 요셉  59
104 2260호 2014.02.16  순정공소 100주년 김정렬 신부  110
103 2372호 2016.03.06  부산교구 레지오 마리애 도입 60주년에 김정균 노엘  242
102 2552호 2019.07.21  생태적 회개 - 우리를 있게 하는 것들에 대한 감사와 찬미 김인한 신부  29
101 2497호 2018.07.15  농민주일 - 생태적 통공(通功)을 고백하기 김인한 신부  59
100 2289호 2014.08.31  아빠의 자리, 남편의 자리 김인식 사도요한  164
99 1998호 2009.06.21  2009년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담화문(요약) 김운회 주교  148
98 2149호 2012.02.26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원을 졸업하면서… 김우수 안드레아  261
97 2064호 2010.08.29  '희망’의 또 다른 이름 ‘청년’ 김용의 엘리사벳  40
96 2288호 2014.08.24  아직 안 가셨네요! 김용배 알퐁소  94
95 2274호 2014.05.25  ‘가정성화미사’에 다녀와서 김영숙 데레사  103
94 2069호 2010.09.26  '참외 없수' 수녀님 김영대 도미니코  150
93 2426호 2017.03.19  삶의 길벗, 함께 하는 인문학, 제21기 인문고전대학 김영규 신부  167
92 2017호 2009.10.18  그분이 홀로서 가듯 김양희 레지나  5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