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러넘치는 생명

가톨릭부산 2017.11.22 10:09 조회 수 : 109

호수 2462호 2017.11.26 
글쓴이 우리농 본부 

흘러넘치는 생명
 

우리농 본부(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1996년 세상을 떠난 미국의 유명한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그의 생애 마지막 유언으로 이런 말을 남겼습니다.“죄송하지만 죽음 앞에 서 봐도 저의 신념엔 변화가 없습니다. 나는 이제 소멸합니다. 내 육체와 내 영혼 모두 태어나기 전의 무(無)로 돌아갑니다. 묘비에서 저를 기릴 필요 없습니다. 저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다만, 제가 문득 기억날 땐 하늘을 바라보세요.”이토록 자신만만한 자의식을 가진 당당한 무신론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요? 그는 인간 이성에 대한 무한한 신뢰로 우주의 신비를 차근차근 밝혀낼 수 있기에‘하느님’은 어쩌면 필요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의 신비, 그 끝은 어디에 가 닿을까요? 저는 인간의 이성으로는 생명의 신비를 완전히 다 밝혀낼 수 없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생명의 신비는 원칙적으로 신의 영역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사막에 사는 새우 중‘투구새우’라는 놈이 있답니다. 이 투구새우는 알에서 깨어나 죽을 때까지 고작 한 달이 넘지 않는 3주간 정도 산다고 합니다. 그런데 오랜 기간 가뭄이 지속되면 자체 봉합된 용기 안에서 사막에 물웅덩이가 생기고 온도와 빛이 좋아질 때까지 무려 수백 년을 기다릴 수 있다고 합니다. 이걸 인간에 비교해본다면 투구새우는 그 긴 시간 1년에 3번 심장 맥박을 치는 것으로 버틴다고 합니다. 과연 생명의 신비는 분명 인간 이성의 영역을 뛰어넘습니다. 지난 목요일 세상이 두 쪽 나도 결코 거스를 수 없는 수능이 1주일 연기되어 치러졌습니다. 인간의 지성, 계획 등이 얼마나 허무한지 단박에 드러난 사건입니다. 그래서 생명의 신비 앞에서 교황님의 이 말씀을 더 깊이 묵상하게 됩니다.“개별적으로 나타나는 환경 문제에 대한 기술적 해결방안만을 찾는 것은 …… 가장 심각한 진짜 문제들을 숨기는 것입니다.”(『찬미받으소서』111항)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45 2054호 2010.06.20  나무를 심은 사람 생명환경사목  52
44 2056호 2010.07.04  피라미드의 신비, 양파의 신비 생명환경사목  123
43 2058호 2010.07.18  생명의 밥상과 농민주일 생명환경사목  63
42 2060호 2010.08.01  시원한 감잎차와 야채효소 생명환경사목  59
41 2062호 2010.08.15  무쇠로 만든 프라이팬 생명환경사목  150
40 2064호 2010.08.29  일회용 기저귀, 천 기저귀 생명환경사목  66
39 2066호 2010.09.12  밀에는 있고 쌀에는 없는 것 생명환경사목  33
38 2069호 2010.09.26  중국산 불량 수입 식품은 누구 탓인가요? 생명환경사목  34
37 2071호 2010.10.10  편리한 건전지, 무서운 건전지 생명환경사목  114
36 2073호 2010.10.24  배추대란과 정부의 4대강 사업 생명환경사목  4
35 2075호 2010.11.07  도토리와 다람쥐 생명환경사목  45
34 2077호 2010.11.21  햄과 소씨지 생명환경사목  133
33 2079호 2010.12.05  형광등과 형광증백제 생명환경사목  129
32 2081호 2010.12.19  전기 흡혈귀 생명환경사목  20
31 2085호 2011.01.02  2011년,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  10
30 2087호 2011.01.16  감기와 항생제 생명환경사목  123
29 2089호 2011.01.30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생명환경사목  12
28 2092호 2011.02.13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생명환경사목  10
27 2094호 2011.02.27  구제역과 ‘우리 소 키우기 운동’ 생명환경사목  131
26 2096호 2011.03.13  사순 시기와 언플러그 운동 생명환경사목  3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